자작리 지석묘
자작리 지석묘 Dolmen in Jajak-ri |
|
대표명칭 | 자작리 지석묘 |
---|---|
영문명칭 | Dolmen in Jajak-ri |
한자 | 自作里 支石墓 |
주소 | 경기도 포천시 호국로 1007 |
지정(등록) 종목 | 포천시 향토유적 제2호 |
지정(등록)일 | 1986년 4월 9일 |
소유자 | 포천시 |
해설문
국문
지석묘는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거석 구조물로 고인돌이라고도 한다.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등에 분포하고 있으며, 한반도는 세계에서 지석묘가 가장 집중적으로 분포된 지역이다. 무덤 또는 제단으로 쓰인 것으로 추정되며, 생김새에 따라 땅 위에 책상처럼 세우는 탁자식, 큰 돌을 조그만 받침돌로 고이거나 받침돌 없이 평평한 돌을 얹는 바둑판식으로 나뉜다.
자작리에 있는 이 지석묘는 덮개돌의 길이가 4m가 넘는 대형 탁자식이다. 받침돌 4개로 직사각형 모양의 무덤방을 만들어 그 안에 시신을 안치하고, 위에 판판한 덮개돌을 올려놓았다. 받침돌 4개가 모두 있으나 남쪽의 받침돌은 중간에 잘려져 나간 듯이 보인다. 덮개돌은 두께가 거의 일정하여 마치 사람이 고르게 다듬어놓은 듯하다.
무덤 속에 다른 유물이 남아 있지 않아 정확히 언제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무덤을 이루는 돌들이 대부분 처음 만들었을 때의 모양 그대로 있어서 지석묘 연구의 좋은 자료가 되고 있다.
영문
Dolmen in Jajak-ri
A dolmen is a megalithic monument constructed during the Bronze Age (1500-300 BCE). Dolmens are found in parts of Europe, Africa, and Asia. The Korean Peninsula has the largest concentration of dolmens in the world.
There are mainly two types of dolmens: the table type, which are comprised of upright stone slabs covered by a wide, flat capstone to create an above-ground burial chamber, and the go-board type, in which large capstones are placed over small supporting stones.
The dolmens in Jajak-ri is a large-scale table type, as the capstone measures 4 m in width. Those four stone slabs all remain today, but the one to the south seems to have been broken in the middle. Considering the even thickness of the capstone, it is presumed to have been chiselled by hands.
There is no artifacts remaining inside the burial chamber, so it is difficult to presume when it was made. Nonetheless, the dolmen itself remains as original shape as the way as it was built, and provides a good example in the study of dolmens.
참고자료
- 『경기도 고인돌』, 2007, 경기도박물관. https://memory.library.kr/items/show/26804
- 자작동 지석묘,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디지털 포천 문화대전. http://pocheon.grandculture.net/Contents?local=pocheon&dataType=01&contents_id=GC05000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