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성 사직단
고성 사직단 Sajikdan Altar, Goseong |
|
대표명칭 | 고성 사직단 |
---|---|
영문명칭 | Sajikdan Altar, Goseong |
한자 | 固成 社稷壇 |
주소 | 경상남도 고성군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남도 기념물 제296호 |
지정(등록)일 | 2019년 1월 3일 |
분류 | 유적건조물/종교신앙/제사유적/제사터 |
수량/면적 | 598 |
웹사이트 | 고성 사직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해설문
국문
사직단은 과거 농경 사회의 으뜸이라 할 수 있는 토지의 신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에게 나라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제례를 올리는 곳이다. 고려 시대에는 유교의 통치 이념을 강조했던 성종이 사직을 제도화하였고, 의종 때 정비가 이루어졌다. 조선 초 태종은 전국의 부ㆍ목ㆍ군ㆍ현의 행정 단위마다 사직단을 세우고 봄과 가을에 제사를 지내라는 명을 내렸다. 이후 조선 후기에 들어서는 3백여 개가 넘는 고을에 사직단이 있게 되었고, 각 고을의 중요 제례 시설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1908년 통감부의 명령으로 제사에 관한 시설이 대부분 철폐됨에 따라 폐지되었다.
고성 사직단의 위치는 조선후기지방지도(朝鮮後期地方地圓)에 적힌 지명을 통해 추정이 가능하다. 또한 일제 강점기의 고정 지형도에 이곳이 사직동으로 표기되어 있다는 점으로 보아 이곳에 사직단이 있었을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사직단이 있는 곳의 지명이 향교가 있는 교동(校洞)과 사직단이 있는 사동(社洞)을 합쳐서 만든 교사리(校社里)라는 점으로도 고성 사직단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고성 사직단은 현재 그 터만 남아 있지만 『고성총쇄록』을 통해 원래의 모습을 추측할 수 있다. 남아 있는 시설물에는 담으로 추정되는 부분이 있는데, 제단으로 추정되는 중앙의 둔덕을 중심으로 사방에 둘러져 있다. 사직단의 남쪽에는 출입 시설이었던 것으로 보이는 낮은 턱이 있으며 기와 조각이 발견되는 점으로 보아 담장과 문 등의 시설물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고성 사직단은 비교적 당시의 원형이 잘 남아 있는 편이며, 조선 시대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한다.
영문
Sajikdan Altar, Goseong
An altar is a place where rituals for the spirits of the land and grain were held. According to records, altars existed in Korea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68 CE). During the Goryeo period (918-1392), rituals conducted in such altars were institutionalized.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y were established by the government in important location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the capital. By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re were about 300 altars in the country, but most were abo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in 1908.
A mound in the center, which is presumed to be the foundation of the altar, and a circling stone wall is all that is left. In the north, there is a spot (낮은 턱), which might be an entrance. Since shards of roof tiles were discovered here, altar might have had walls and a gate.
Current name of this place, Gyosa-ri, comes from Gyodong, where there was hanggyo, local Confucian school, and Sadong, where there was an altar.
- 참고 : 창녕 사직단
영문 해설 내용
사직단은 토지의 신과 곡식의 신에게 나라의 풍요와 안녕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기록에 따르면 한국에서는 삼국시대부터 이러한 제단이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려시대에는 사직단에서의 제례를 제도화하였고, 조선시대에는 도성을 비롯한 전국의 주요 지역에 사직단을 설치하여 봄과 가을에 제례를 올렸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는 전국에 300여 개의 사직단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인 1908년 일제에 의해 대부분이 철폐되었다.
고성 사직단은 제단으로 추정되는 중앙의 둔덕과 사방에 둘러진 담만이 남아 있다. 남쪽에는 출입구였던 것으로 보이는 낮은 턱이 있으며, 기와 조각이 발견되는 점으로 보아 담장과 문 등이 세워져있던 것으로 보인다.
현재 이곳 교사리(校社里)의 지명은 향교가 있던 교동(校洞)과 사직단이 있던 사동(社洞)의 첫 글자에서 따온 것이다.
참고자료
- 고성 사직단,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333802960000
- (재)삼강문화재연구원, 고성 사직단-학술조사보고서-, 2017. http://archives.gyeongnam.go.kr/00079/00141.web?amode=view&idx=4437&
- “고성사직단 경상남도 기념물 지정, 복원사업 박차”, 『고성신문』 2019년 1월 11일.
http://www.gosnews.kr/default/index_view_page.php?part_idx=447&idx=202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