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학 가옥
김용학가옥 Kim Yong-hak’s House |
|
대표명칭 | 김용학가옥 |
---|---|
영문명칭 | Kim Yong-hak’s House |
한자 | 金容鶴家屋 |
주소 | 광주광역시 북구 하백로29번길 24(매곡동) |
지정(등록) 종목 |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 제3호 |
지정(등록)일 | 1989년 3월 20일 |
분류 |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
시대 | 일제강점기 |
수량/면적 | 일곽 |
웹사이트 | 김용학 가옥,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김용학 가옥은 매곡동 하백(荷白)마을*의 언덕진 대지 위에 살림집과 정자가 조화롭게 배치된 전통 민간가옥이다.
이 가옥은 안채와 사랑채, 정자, 연못이 일곽을 이루고 있는데, 당시 광주지역의 유지였던 하은 김희수(荷隱 金喜洙)*가 1900년대 초에 지었다가 아들인 김용학이 고쳐 지은 것이다.
가옥 배치는 지대가 높은 서쪽 언덕에는 정자인 연파정(蓮坡亭)과 하은정(荷隱亭)이 있고, 낮은 평지인 동쪽과 남쪽에는 살림집과 연못이 자리하고 있다.
사랑채[청풍헌(淸風軒)]는 김희수가 1917년에 지었으며 백암정사(白菴精舍)라고도 한다. 정면 7칸, 측면 3칸 구조로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이 있으며, 건물 뒤쪽으로 마루와 부엌을 증축하였다. 안채는 원래 2층의 초가집이었으나 김용학이 양옥으로 새로 지었다.
연파정은 김희수가 그의 아버지인 김영덕(金永德)을 위해 1918년에 지었으나 화재로 1934년에 다시 지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 구조로 비바람을 막기 위해 정자 네 면에 판자덧문을 달아 놓았고, 내부는 벽이 없는 마루로 터져 있다.
하은정은 김용학이 아버지 김희수를 위해 1933년에 지었다. 정면 5칸, 측면 3칸 구조로, 정자 바깥에는 유리덧문이 설치되었고, 내부는 중앙의 마루를 중심으로 양쪽에 한 칸의 온돌방이 있다. 이 두 정자는 광주지역 선비들의 문화공간으로, 학자들이 교류하면서 남긴 많은 시문들이 있다.
김용학 가옥은 하백마을 대대로 터를 잡고 살아온 김용학 일가가 조성한 누정원림이자 주거공간으로서 민속·건축학적 가치가 크다.
- 하백마을: 예전부터 흰(白) 연꽃(荷)이 많아 이름 붙여진 자연마을로, 김용학 일가는 이 마을에서 6대째 거주하고 있다.
- 김희수(1891~1929): 한말 유학자인 고광선의 문하에서 수학한 유학자였다.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을 크게 늘려 ‘천석꾼’이라고 불릴 정도의 부호였지만 주변 어려운 사람들을 보살핀 덕망 있는 선비였다. 1930년대 소작농들이 김희수의 감사한 마음을 담은 시혜비(施惠碑) 3기가 하은정 입구 옆에 세워져 있다.
영문
Kim Yong-hak’s House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19세기 말 20세기 초의 유학자이자 당시 광주 지역의 유지였던 김희수(1891-1929, 호: 하은)가 20세기 초에 지은 것을 아들인 김용학이 고쳐 지었다.
김용학 일가는 이 집이 위치한 하백마을에서 6대째 거주하고 있다. 김희수는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재산을 크게 늘린 부호였지만 주변의 어려운 사람들을 잘 보살핀 덕망 있는 선비이기도 하였다. 1930년대 소작농들이 김희수에게 감사한 마음을 담아 이 집 인근에 3기의 비석을 세웠다.
이 집은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된 주거공간과 2동의 정자가 언덕진 대지 위에 조화롭게 배치되어 있다. 지대가 높은 서쪽 언덕에는 정자인 연파정과 하은정이 있고, 동쪽과 남쪽의 낮은 평지에는 주거공간과 연못이 있다.
사랑채 청풍헌은 1917년에 지었다.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이 있으며, 뒤쪽으로 마루와 부엌이 있다. 안채는 원래 초가집이었으나, 김용학이 양옥으로 새로 지었다.
이 집의 두 정자는 광주 지역 선비들의 문화공간으로, 학자들이 이곳에서 교류하면서 많은 시문들을 남겼다. 연파정은 김희수가 아버지 김영덕을 위해 1918년에 지었던 것인데, 1933년 화재로 소실되어 1934년에 다시 지었다. 정자의 네 면에 판자로 만든 덧문을 달아 비바람을 막을 수 있게 하였고, 내부는 벽이 없이 마루로 되어 있다. 하은정은 김용학이 아버지 김희수를 위해 1933년에 지었다. 정자 바깥에는 유리 덧문이 설치되었고, 내부는 중앙의 대청을 중심으로 양옆에 온돌방이 있다.
갤러리
참고자료
- 김희수, 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http://people.aks.ac.kr/front/dirSer/exm/exmView.aks?exmId=EXM_MN_6JOc_1879_014044&curSetPos=3&curSPos=1&category=dirSer&isEQ=true&kristalSearchArea=B
- 광주광역시 지정문화재대장.
- 김용학가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A%B9%80%EC%9A%A9%ED%95%99&ridx=0&tot=1
- 연파정,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 연구지식포털. https://portal.nrich.go.kr/kor/overviewUsrView.do?menuIdx=572&mcidx=2077
- "南道 정자기행(15)-대도시의 청량제 같은 광주 연파정(蓮坡亭)", 한국매일뉴스, 2010.08.23. http://hankukmail.com/newshome/detail.php?number=15989&thread=21r03r06r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