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부용대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6월 10일 (수) 15:10 판 (새 문서: =='''해설문'''== ===기존 국문=== 부용대는 ‘부용을 내려보는 언덕’이라는 뜻이다. ‘부용(芙蓉)’은 연꽃을 뜻하며, 하회마을의 또 다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해설문

기존 국문

부용대는 ‘부용을 내려보는 언덕’이라는 뜻이다. ‘부용(芙蓉)’은 연꽃을 뜻하며, 하회마을의 또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여기에서 려다보면 하회마을은 물위에 떠 있는 한송이 연꽃처럼 보여 마을의 모양을 ‘연화부수형(蓮花浮水形)’이라 한다. ‘하회(河回)’라는 이름처럼 낙동강이 마을을 휘돌아 나가는 모습도 한눈에 볼 수 있다. 부용대 허리 부분에는 류운룡, 류성룡 형제의 두 정사를 연결하는 ‘층길’이 나있는데 이 길로 형제가 왕래하며 우애를 다졌다고 한다. 류원지는 부용대에서 바라본 하회의 아름다운 경치를 읊어 ‘하회16경(河回16景)’이라 하였다.부용대에서 하회솔숲까지 하회마을의 옛 선비들이 선유줄불놀이를 하였던 곳이기도 하다.

2020 초고

부용대는 ‘연꽃을 내려다보는 언덕’이라는 뜻이다. 이곳에서 내려다보면 하회마을이 물 위에 떠 있는 한 송이 연꽃처럼 보이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하회마을, 마을 앞의 만송정숲, 그리고 마을 전체를 휘감아 도는 낙동강이 어우러진 아름다운 경치를 즐길 수 있는 곳이다.

류운룡(柳雲龍, 1539~1601), 류성룡(柳成龍, 1542~1607) 형제는 부용대 좌우에 각각 겸암정사와 옥연정사를 짓고 학문에 힘쓰며 제자들을 가르쳤다. 부용대 절벽의 허리 부분에는 두 정사를 잇는 좁은 벼랑길이 있는데, 형제는 이 길로 서로 왕래하며 우애를 다졌다고 한다.

부용대는 하회마을 옛 선비들이 매년 음력 7월 선유줄불놀이를 즐기던 곳이기도 하다. 부용대와 만송정 숲 사이에 동아줄을 걸고 숯가루를 넣은 주머니를 매달아 불을 붙이고 놀았으며, 배를 띄워 술을 마시고 시를 짓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