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여수 흥국사 제석도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28일 (화) 01:23 판 (참고 자료)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여수 흥국사 제석도
여수 흥국사 제석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여수 흥국사 제석도
한자 麗水 興國寺 帝釋圖
주소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길 160
지정번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00호
지정일 2009년 3월 20일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폭
웹사이트 여수 흥국사 제석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삼장보살도와 함께 1741년 제작된 작품으로서 현존하는 제석도로는 시기도 빠르고 작품의 수준도 우수하다.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에서 18세기 전남지방의 우수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수정 국문

초고

이 불화는 부처님을 수호하는 수호신 중 한 명인 제석천과 여러 권속들을 그린 것이다. 1741년 궁척을 포함한 의겸의 제자들이 제작하였다. 제석천은 불법을 지키는 여러 신들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신이다.

화면의 중앙에는 병풍을 배경으로 부채를 든 제석천이 위치하고 있으며, 좌우에 일월천자(日月天子)와 천동과 천녀가 에워싸며 대칭을 이룬 모습이다.

일본에 전해지는 16세기의 작품을 제외하고 국내에 남아있는 작품 중에서는 제작시기가 이른 편이며,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은 18세기 전라남도 지방에서 제작된 불화의 우수함을 보여준다.

  • 제석도(帝釋圖)는 제석천(帝釋天)[수미산 꼭대기에 있는 도리천의 임금으로, 사천왕과 32천을 통솔하면서 불법과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을 보호하고 아수라의 군대를 정벌하는 신] 등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 어디에 소장되어 있는지 확인 필요.

참고 자료

→ 구도 및 특징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