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여수 흥국사 제석도
2020 안내문안 초안 작성 지원 사업
기존 국문
삼장보살도와 함께 1741년 제작된 작품으로서 현존하는 제석도로는 시기도 빠르고 작품의 수준도 우수하다.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에서 18세기 전남지방의 우수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수정 국문
초고
이 불화는 부처님을 수호하는 수호신 중 한 명인 제석천과 여러 권속들을 그린 것이다. 1741년 궁척을 포함한 의겸의 제자들이 제작하였다. 제석천은 불법을 지키는 여러 신들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신이다.
화면의 중앙에는 병풍을 배경으로 부채를 든 제석천이 위치하고 있으며, 좌우에 일월천자(日月天子)와 천동과 천녀가 에워싸며 대칭을 이룬 모습이다.
일본에 전해지는 16세기의 작품을 제외하고 국내에 남아있는 작품 중에서는 제작시기가 이른 편이며,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은 18세기 전라남도 지방에서 제작된 불화의 우수함을 보여준다.
- 제석도(帝釋圖)는 제석천(帝釋天)[수미산 꼭대기에 있는 도리천의 임금으로, 사천왕과 32천을 통솔하면서 불법과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을 보호하고 아수라의 군대를 정벌하는 신] 등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 어디에 소장되어 있는지 확인 필요.
1차 수정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신인 제석천과 여러 권속들을 그린 불화이다. 제석천은 힌두교 신화에 나오는 신들의 왕인 인드라에서 유래하였으며, 이후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님을 수호하는 최고의 수호신이 되었다.
이 불화는 1741년 궁척을 포함한 의겸의 제자들이 제작하였다. 화면의 중앙에는 병풍을 배경으로 부채를 든 제석천이 앉아 있으며, 좌우에 일월천자, 천동, 천녀가 에워싸며 대칭을 이룬 모습이다.
국내에 남아있는 제석도 중 제작시기가 이른 편이며,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은 18세기 전라남도 지방에서 제작된 불화의 우수함을 보여준다.
자문의견
- 분야별 자문위원 1
- 부처님을 수호하는 최고의 수호신이 되었다.-> 불법을 수호하는 최고의 신이 되었다.
- 분야별 자문위원 2
- 제석도에 그려진 제석천은 벼락을 신격화한 고대 인도의 신 인드라(Indra)가 불교에 수용되어 변모한 것으로 불법을 지키는 신중 가운데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제석천은 도리천(忉利天)에 상주하며 그 아래 사천왕을 부려 인간의 행실을 살피게 한다. 우리나라에서 제석천 신앙은 천신의 개념으로 신성함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특히 왕실과 관련되어 전개되는 특징을 보이지만 한편으로는 재물과 장수를 바라는 기복적인 성격도 동시에 갖고 있어 대중적인 호응도 높았다.
- <여수 흥국사 제석도>는 긍척을 비롯한 의겸의 제자들에 의해 1741년 흥국사 삼장보살도와 함께 조성된 불화이다.
- 제석천을 단독 주존으로 하여 그려진 흥국사 제석도는 함께 그려진 흥국사 천룡도와 조합을 이루어 2폭으로 구성된 제석천룡도 형태의 신중도이다. 18세기 중반 이후부터 서로 분리되던 제석과 천룡도는 결합되어 한 화면에 그려지는 현상이 보이는데 이 그림은 신중도상의 시대적 변화과정을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있다.
2차 수정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신인 제석천과 여러 권속들을 그린 불화이다. 제석천은 힌두교 신화에 나오는 신들의 왕인 인드라(Indra)에서 유래하였으며, 이후 불교에 수용되면서 불법(佛法)의 수호신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 불화는 1741년 긍척(亘陟)을 비롯한 당대 최고의 화승으로 명성이 높았던 의겸(義謙)의 제자들에 의해 그려졌다. 중앙에는 병풍을 배경으로 부채를 든 제석천이 앉아 있으며, 좌우에 일월천자, 천동, 천녀가 에워싸며 대칭을 이룬 모습이다.
국내에 남아 있는 제석도 중 제작시기가 이른 편이며,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은 18세기 전라남도 지방에서 제작된 불화의 우수함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