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상사 칠성도
실상사 칠성도 |
|
대표명칭 | 실상사 칠성도 |
---|---|
한자 | 實相寺 七星圖 |
주소 | 부산광역시 동구 수정로68번길 7 실상사 |
지정(등록) 종목 | 부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4호 |
지정(등록)일 | 2015년 3월 18일 |
웹사이트 | 실상사 칠성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기존 국문
칠성도는 인간의 수명과 길흉화복을 주재하는 북두칠성의 신인 칠성(七星)을 불교의 호법선신으로 수용하고 이를 의인화하여 묘사한 그림이다. 사람들은 칠성신에게 재난이 없어지기를, 아들을 얻기를,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빌었다. 실상사 칠성도는 정방형에 가까운 중소형 불화로 화면 중앙에는 두광과 신광을 갖춘 치성광여래가 있고 그 앞쪽 좌우에는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이 있으며, 치성광여래삼존 주위에는 관복을 입은 8위의 천자가 상하 2열로 그려져 있다. 화면 위쪽에는 하늘을 배경으로 여래형의 칠성을 좌우에 총 7위를 배치하였다. 도상들의 표현 기법이나 광배의 물결무늬는 조선 후기 불화의 양식을 따르고 있으며, 도상 구성과 배열도 19세기 불화의 일반적 형식을 계승하고 있다. 또한 적색과 황색을 활용하여 나타낸 구름 표현은 19세기 말 이후 유행한 양식을 이어받은 것으로서 착의에 표현된 황색 문양과 적색 대좌에 적힌 범어 문자는 완호 스님의 작품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이다. 그리고 구름무늬를 표현한 기법과 채색(등)에서 19세기 이후 20세기 전반까지 조성된 불화의 화풍을 찾아볼 수 있다. 이 불화는 20세기 전반의 칠성도에 대한 도상 연구는 물론이고, 금어와 완호의 화풍을 파악하는 데 자료적 가치가 높은 문화재로 평가된다.
수정 국문
초고
칠성도는 북두칠성을 신격화한 칠성(七星)을 그린 그림이다. 칠성은 인간의 수명과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신으로, 오랜 옛날부터 민간에서 숭배의 대상이 되어왔다. 이러한 칠성이 불교에 수용되어 신으로 여겨지는 것은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는 현상이며, 한국의 불교가 토착신앙과 조화를 이루며 발전한 모습을 보여준다.
실상사의 신중도는 20세기 초반 부산을 중심으로 활동한 승려화가 완호 낙현(1869~1933)과 그의 제자 월주 덕문(1913~1992)이 1929년에 함께 그렸다.
화면 중앙에는 북극성을 부처로 표현한 치성광여래가 앉아있고, 그 앞쪽 좌우에는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이 있다. 화면 양옆에는 천자(天子)가 관복을 입고 서 있으며, 위쪽에는 북두칠성을 나타내는 일곱 부처가 배치되어 있다.
전체적인 구성과 인물 배치는 19세기 불화의 일반적인 형식을 계승하고 있다. 옷에 표현된 황색 문양과 대좌에 적힌 범자(梵字) 문양은 완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특징이다.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
- "실상사 칠성도", 부산역사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busan.grandculture.net/Contents?local=busan&dataType=99&contents_id=GC04219502
- "칠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8490
- "완호낙현", 불교신문, 2008.05.03.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87621
- "한국의 화승들 - (8) 월주 덕문 상", 법보신문, 2006.11.22. https://www.beopbo.com/news/articleView.html?idxno=44040
- "일본 연호 표기 거부한 최고 '금어(金魚: 불화를 최고의 경지에서 그리는 스님)'", 불교신문, 2015.07.22. http://www.ibulgyo.com/news/articleView.html?idxno=142302
- "실상사 불화 '신중도, 칠성도' 시문화재자료 지정]", 부산일보, 2015.05.11.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50509000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