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해 대성동 고분군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26일 (일) 00:07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김해대성동고분군.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333803410000 김해 대성동...)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해 대성동 고분군
Ancient Tombs in Daeseong-dong, Gimhae
김해 대성동 고분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해 대성동 고분군
영문명칭 Ancient Tombs in Daeseong-dong, Gimhae
한자 金海 大成洞 古墳群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 418-2번지 외 24필지
지정번호 사적 제341호
지정일 1991년 1월 9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고분군
수량/면적 56,762㎡
웹사이트 김해 대성동 고분군,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없음.


수정 국문

초고

1~10 공통문구(고분군 종합 안내..?→ 각 고분 설명 앞에 배치)

대성동 고분군은 국립김해박물관과 김해 수로왕릉 사이 경사가 완만한 구릉에 동서로 뻗어 형성되어 있는 가야의 무덤들이다. 구릉 주변 평지에는 1∼3세기 무덤이, 구릉 정상부에는 4∼5세기 무덤이 밀집되어 있다.

1990년부터 2014년까지 총 9차례의 발굴조사를 통해 총 206기가 조사되었으며, 고인돌, 독무덤, 덧널묘 등 삼한시대 구야국 단계에서 금관가야 시기까지 가야문명의 모든 묘제가 순차적으로 조성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곳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들은 한·중·일의 문화교류 상황을 밝혀주고 있어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며, 금관가야 전성기의 문화를 잘 보여준다.

  • 세계문화유산 정식 등재 추진중 ; 우리나라에서 4세기 대 대륙계 유물들이 대거 출토된 곳은 대성동고분군이 유일하다. 또 일본과의 교류를 설명해 주는 파형동기, 통형동기, 벽옥제석제품, 동촉 등 왜계 유물도 꾸준히 출토되고 있다. 이 중 파형동기는 대성동고분군에서만 확인됐다. 통형동기와 벽옥제 석제품이 함께 출토된 경우도 대성동고분군 외에는 없다. 대성동고분군은 금관가야의 지배집단인 대성동 세력이 중국 대륙 및 일본과 활발한 교역을 했음을 입증해 준다. ()

1)김해 대성동 고분군(91호분) 대성동 91호분은 2012년 대성동고분박물관에서 실시한 7차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구로, 4세기 전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동서향을 주축으로 하는 초대형 무덤이나, 도굴을 당해 전체적인 양상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피장자를 중앙에 안치하고 사방에 유물을 부장한 것으로 보이며, 토기류와 철기류, 청동류와 골각기 등 다양한 종류의 유물 260여 점과 순장자로 추정되는 인골 5개체가 수습되었다.

특히 두개골 쪽에서 빗 모양의 장신구가 출토된 인골이 주목되었으며, 당시 장례 의식에 활용한 것으로 보이는 생선과 맷돼지의 뼈를 담고 있는 토기 2기도 확인되었다.

또 여기에서 발굴된 유리 파편을 통해 중국과 요령지역을 경유해 진행된 북방 유목민족과의 실크로드 교류가 금관가야까지 미쳤음을 알 수 있으며, 그 외 고대 중국이나 일본과의 교역 사실을 알려주는 외래 유물도 다수 출토되었다.

이상의 출토 유물들을 통해 대성동 고분을 축조한 금관가야 지배층의 국제적 지위를 가늠해 볼 수 있다.

  • 목곽 중앙의 동쪽에 인접하여 남쪽으로 머리를 둔 순장자 3인이 위치하고, 서쪽 충전토 상부에서 순장자 2인이 확인되었다.
  • 발굴된 무덤들의 규모를 결정할 때 35㎡ 이상의 무덤은 ‘초대형’으로 분류함.
  • 91호분에서는 중원계 유물과 북방계 유물이 모두 출토되는 등 4세기대 가야・신라권역의 고분들 중에서 가장 많은 대륙계 유물이 출토되었다. 특히 91호분에서 출토된 로만글라스 파편 등은 중국의 중원지역이나 요령지역과의 직접적 교류와 이들 지역이나 정치체제를 매개로 진행되었던 북방 유목민족과의 교류나 이들을 통한 로마와 중국 간 실크로드 상의 교류가 금관가야지역까지 연결되었음을 알 수 있게 해주는 자료이다.
  • 91호분에서 발굴되어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가야시대 조개장식 말갖춤새(마구)가 현 일본 오키나와 근처에서 잡힌 조개류 껍데기로 만든 것이 확인되었다.


2)김해 대성동 고분군(88호분) 대성동 88호분은 2012년 대성동고분박물관에서 실시한 7차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구로, 4세기 중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도굴 여부 확인 필요>

88호분에서는 이전 시기에 조성된 봉분들과 달리 바닥 시설이 설치된 것이 확인되었다. 피장자를 중앙에 안치하고 'ㅁ‘자형으로 부장물을 배치한 것으로 보인다.

순장자로 추정되는 인골 3개체가 수습되었는데, 순장 당시의 연령 및 성별이 확인 가능하며 빗 모양 장신구와 관옥 등 여러 부장품을 지닌 상태로 발굴되었다.

88호분에서는 무구류와 거울을 비롯해 토기류, 철기류, 장신구류 등의 유물 이슬 (토론)점이 발굴되었다. 특히 일본 열도를 포함해 가장 많은 양인 13점의 파형동기*가 발견되는 등 고대 일본과의 관련성이 높은 유물들이 다수 확인되었다.


  • 파형동기 : 소용돌이 모양의 청동기 장식. 대성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파형동기는 서기 3세기 이후 일본에서 제작된 청동기가 금관가야에 유입되어 정치적 실력자의 무덤에 위세품으로 부장된 것으로 여겨진다. 파형동기는 통형동기와 더불어 당시 가야와 왜의 교류 관계를 입증하는 중요한 유물로서 평가된다.
  • 파형동기는 국내에서 대성동고분군에서만 부장된다. 특히 대성동 88호분에 파형동기 13점이 부장되었는데, 일본열도를 포함해서 가장 많은 양에 해당한다.
  • 주변 수형 유구에서 동물 유체 4종(너구리 맷돼지, 소, 말) 26점 출토 (너구리, 맷돼지 추청 유체는 패총에서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3)김해 대성동 고분군(70호분) 대성동 70호분은 4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2009년 5차 발굴조사로 확인된 유구로, 2013년 실시한 추가 조사에서 주곽을 확인하면서 5차 조사 때 발견한 것은 부곽으로 판명되었다. <도굴 당함>

중앙의 목관을 기준으로 오른쪽에는 무기류, 왼쪽에는 농기구류, 위아래로는 토기군이 배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70호 고분에서는 대성동 고분군에서 가장 많은 철촉이 확인되었다.

한편 3세기대의 것으로 추정되는 유리 파편들이 출토되었고, 이것은 91호분에서도 발굴된 로만글라스 조각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국에서 최상층 계급이 사용한 진식대금구도 발굴되었는데 이러한 유물들은 최상위 계층의 피장자의 무덤에만 부장되어 있는 것으로 70호 무덤의 주인 역시 가야의 지배층이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4)김해 대성동 고분군(93호분) 대성동 93호분은 2016년 실시된 9차 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된 유구로, 인근의 94호분 및 지석묘의 일부를 파괴한 형태로 조성되었으며 대부분의 유물들이 도굴되었다.


5)김해 대성동 고분군(7호분)


6)김해 대성동 고분군(3호분)


7)김해 대성동 고분군(1호분) 대성동 1호분은 1990년에 실시된 1차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구이다. 5세기 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도굴 때문에 부장 유물 대부분이 사라지고 남아있는 것도 원형을 잃은 것이 많다. 내부의 벽을 따라 물건들을 부장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8)김해 대성동 고분군(2호분) 대성동 2호분은 1990년에 실시된 1차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구로 구릉의 동쪽 최정상부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분묘와 중복되거나 파괴 현상이 없이 4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며, 도굴 때문에 원형이 많이 훼손되었다.


9)김해 대성동 고분군(73호분) 대성동 73호분은 2011년에 실시된 6차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구로 5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형 무덤이다. 도굴 때문에 원형이 많이 훼손되었다.


10)김해 대성동 고분군(고인돌)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 자료

→1,73,88호 대표유구로 소개, 관련 학술자료 다운로드 가능

→개요 및 현황 정보 요약 제시

  • 가야고분군 연구총서 1권, 2권(2018) ; 6권(2019),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추진단 발행.

→대성동 고분군의 묘제 변천과정 및 유물들의 가치에 대한 설명

  • 가야 자료총서 3 - 가야 발굴조사 자료편 I , 문화재청, 2018.

→대성동 고분군 발굴조사 내력 및 출토 유물 의의 확인가능.

  • 김해 대성동고분 추가보고 및 종합 고찰

→91호분 발굴 유물 정보(동물 유체, 청동자료) 및 사진 확인

  • 김해 대성동고분군 7차 보고서, 2015

→91, 88호분 발굴 유물 정보 확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D%8C%8C%ED%98%95%EB%8F%99%EA%B8%B0&ridx=0&tot=2 → 파형동기(88호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