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김용학 가옥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23일 (목) 12:20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김용학가옥.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442400030000 김용학 가옥], 국가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용학가옥
김용학 가옥,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김용학가옥
한자 金容鶴家屋
지정(등록) 종목 광주광역시 민속문화재 제3호
지정(등록)일 1989년 3월 20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일제강점기
수량/면적 일곽
웹사이트 김용학 가옥,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이곳은 살림집과 정자의 조화로운 배치가 돋보이는 1900년대 초의 민간 원림이다. 건물의 배치는 동북쪽이 낮고 서남쪽이 높은 지형을 살려 낮은 곳에 사랑채와 안채를, 높은 곳에 하은정과 연파정을 배치하였다. 청풍헌이란 현판이 걸리 사랑채는 1개의 높은 기둥을 가진 5량집이며 외관은 홑처마 팔짝기와지붕이다. 상량의 기록이 “丁巳 閏二月”인 것으로 미루어 1917년에 지은 것임을 알 수 있다.

수정 국문

초고

개화기 때의 관료 김희수(金喜洙 1861~1934? *확인 예정)와 그의 부친 김용학의 가옥으로 1917년에 지은 집이다. 김희수는 광산김씨로 호는 하은(荷隱)이며, 1879년(고종 16) 문과에 급제하여 이조참의, 대사간, 궁내부 특진관 등을 지냈다.

김용학 가옥은 사랑채와 안채, 연파정(蓮坡亭)과 하은정(荷隱亭), 연못과 정원으로 구성되었다. 집은 동향이며 지대가 높은 서쪽 언덕에 연파정과 하은정이 있고, 동쪽 평지에 사랑채와 안채가 자리 잡았다. 집의 가장 동쪽에는 네모난 연못과 둥근 섬이 있다.

사랑채 청풍헌(淸風軒)은 정면 7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기와집이다. 4칸의 대청을 중심으로 좌우에 방을 배치했으며, 상량문의 기록(丁巳 閏二月)을 통해 1917년에 건축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은정은 정면 5칸 측면 3으로 1933년에 지었으며, 연파정은 1918년 김희수가 조부 김영덕을 위해 지은 정자로 정면 3칸 측면 3칸이다. 하은정 건축 당시의 실화로 불이 나 1934년에 중건하였다. 김용학가옥은 전체적으로 주거공간과 정원공간이 서고동저(西高東低)의 지형 및 주변 환경과 자연스러운 조화를 이루고 있다.

1차 수정

문맥요소

Nodes

Links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