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창녕 사직단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17일 (금) 01:3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창녕 사직단
창녕 사직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창녕 사직단
한자 昌寧 社稷壇
주소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교리 372 일원
지정번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278호
지정일 2011년 11월 10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제사유적/제사터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3,750㎡
웹사이트 창녕 사직단,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사직단은 토지의 신 ‘사(社)’와 곡식의 신 ‘직稷’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조선시대 창녕현의 사직단에 관한 기록은 중종 25년(1530)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처음 등장하며, 모든 기록에서 말하는 위치와 현재 사직단의 위치와 방향이 일치한다. 창녕 사직단은 16세기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현감 이전수(李田秀)에 의해 고쳐진 기록도 남아 있다.

창녕 사직단은 조선시대의 사직단과 관련한 제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지형적인 조건을 감안하여 어느 정도 변화를 주었다. 제단을 쌓는 것이 아니라 언덕을 깎아 만들고, 돌로 쌓은 담장은 동·서·남쪽에만 있다. 또한 언덕 전체에 단段을 만든 것은 다른 지방에서 볼 수 없는 창녕 사직단만의 특징이다.

창녕 사직단은 원래 모습을 잘 유지하면서 조선시대 지방 사직단의 지역색을 두드러지게 보여준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사직단은 토지의 신 ‘사(社)’와 곡식의 신 ‘직(稷)’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창녕 사직단은 최소 16세기 이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과 관련된 기록은 1530년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처음 등장하고, 이후의 여러 문헌에도 꾸준히 언급되는데, 모든 기록의 내용과 현재 사직단의 위치 및 방향이 일치한다.

지형적인 조건을 감안하여 해발 100m 가량의 낮은 구릉의 정상부를 사각형으로 깎아 평평하게 만들어 제단을 마련하였다. 언덕 전체에 단을 만든 것은 이곳에서만 확인되는 특징이다.

2006년과 2011년에 발굴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북쪽을 제외한 나머지 방향에서 돌로 쌓은 담장의 기초시설과 계단 형태의 출입구 흔적이 확인되었으며, 제단에 인접한 담장 안쪽에서는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