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창녕 남휘, 정선공주 묘역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4월 16일 (목) 12:16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창녕남휘정선공주묘역.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2360000 창녕 남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창녕 남휘, 정선공주 묘역
창녕 남휘, 정선공주 묘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창녕 남휘, 정선공주 묘역
한자 昌寧 南暉, 貞善公主 墓域
주소 경상남도 창녕군 부곡면 구산리 산 1-2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36호
지정일 1997년 2월 13일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기타
수량/면적 2기
웹사이트 창녕 남휘, 정선공주 묘역,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조선 태종의 넷째 딸 정선공주와 부마駙馬 남휘의 묘이다. 남휘는 의령 남씨의 7세손으로, 정선공주와 결혼하여 임금의 사위인 부마가 되었다.

남휘, 정선공주의 묘는 각각 나란히 묏자리를 쓴 쌍분으로 서쪽에 남휘, 동쪽에 정선공주의 묘가 위치한다. 묘는 세 개의 단으로 되어있는데, 윗단에 두 개의 무덤이 있고 그 주위에 석물(石物)*들이 놓여있다. 그 중 무덤 뒤쪽에 석양(石羊)**이 세 방향으로 자리하고 있다. 중간단과 아랫단에도 석물들이 배치되어 있다.

원래 남휘묘는 경기도 안성시 장서리, 정선공주묘는 경기도 평택시 동천리에 있었는데, 1974년에 현재 놓여 있는 석물과 함께 이곳으로 옮겨졌다.


  • 석물(石物) : 무덤 앞에 세우는 돌로 만든 여러 가지 물건
  • 석양(石羊) : 왕릉이나 무덤 앞에 세워 놓은 돌로 만든 양 모양 조각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왼쪽은 남휘의 묘이고, 오른쪽은 정선공주의 묘이다.

남휘는 1416년 조선 태종의 막내딸인 정선공주와 결혼하였으며, 조선 최초로 간택을 통해 임금의 사위가 되었다.

정선공주(1404-1424)는 조선왕조실록에 기록이 실려있지 않은 공주로, 21세의 나이에 죽었다. 남휘와의 사이에서 1남 1녀를 두었다.

봉분 주위에는 봉분을 보호하기 위해 돌을 둘렀고, 앞에는 상석과 묘표 한 쌍씩을 두었다. 무덤 뒤쪽에는 돌로 만든 양이 세 방향으로 자리하고 있다. 사자상 한 쌍은 후대에 만들어진 것이다.

중간단에는 향로석, 장명등, 문인석 한 쌍을 두었고, 가장 아래에 문인석 한 쌍을 더 놓았다.

본래 남휘의 묘는 경기도 안성에, 정선공주의 묘는 경기도 평택에 있었는데, 1974년에 후손들이 석물들과 함께 이 곳으로 옮겨졌다.

  • 조선 세조 대의 장군 남이(1441∼1468, 전설이 많이 전해짐)의 친조부-친조모이며, 신사임당의 외고조부-외고조모(딸이 신사임당의 할아버지를 낳았음.)
  • 남휘는 과부의 아들이었지만 그 집안이 명문가였다고 하며, 결혼 후에는 유교의 삼년상을 따르는 정선공주와 불화가 있어 여노비와 바람을 피웠다고 함...

참고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