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11월 30일 (토) 07:29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단양향산리삼층석탑.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304050000 단양 향산리...)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Three-story Stone Pagoda in Hyangsan-ri, Danyang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영문명칭 Three-story Stone Pagoda in Hyangsan-ri, Danyang
한자 丹陽 香山里 三層石塔
주소 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향산1길 24 (향산리)
지정번호 보물 제405호
지정일 1964년 9월 3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탑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단양 향산리 삼층석탑,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단양 향산리 삼층 석탑은 2단으로 이루어진 기단 위에 탑신부 세 층을 쌓은 전형적인 3층 석탑이다. 2층 몸돌의 높이가 1층 몸돌의 3분의 1 정도라 안정되고 날씬한 느낌을 준다. 형태와 비례, 석재의 맞춤이 단정하고 세련된 점으로 보아 9세기 무렵 통일 신라 후기에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1935년 도굴꾼이 훼손하여 쓰러졌었으나, 5년 후 마을 사람들이 다시 세운 것이라고 한다.

이 탑은 현재에는 밭 한가운데에 있지만 원래 이곳은 향산사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향산사는 신라 눌지왕 때 묵호자가 이곳을 지나다가 부처님 꿈을 꾸고 나서 세웠다고 전해진다. 1972년 마을에 일어난 홍수로 마을 주민들이 석탑 주변으로 이주하면서 옛 절의 자취가 사라졌다. 1980년 작은 청동 불상이 출토되었고, 주변에 기와 조각 등이 있어서 절터였음을 알 수 있지만, 향산사와 관련된 기록이나 유물은 남아 있지 않다.

영문

Three-story Stone Pagoda in Hyangsan-ri, Danyang

A pagoda is a symbolic monument enshrining the relics or remains of the Buddha. In many cases, a pagoda does not contain the actual remains, but is still regarded as a sacred place enshrining the Buddha.

영문 해설 내용

불탑은 부처의 유골을 모신 조형물이다. 실제 유골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징적으로 부처를 모신 신성한 곳으로 여겨진다.

이 삼층석탑은 통일신라 후기인 9세기 무렵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1935년경 탑 속의 사리를 도둑맞으면서 허물어졌던 것을 5년 후 마을 사람들이 다시 세웠다고 한다.

2단으로 된 기단, 3층의 몸돌과 지붕돌, 상륜부로 이루어져 있다. 1층 몸돌에는 사리를 안치한 공간이 있다는 의미로 문 모양을 새겼다.

이 탑이 있는 곳은 원래 향산사라는 사찰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향산사는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다. 1972년 마을에 일어난 홍수로 마을 주민들이 석탑 주변으로 이주하면서 옛 절의 자취가 사라졌다. 1980년 석탑 인근에서 작은 청동 불상이 출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