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경주 헌강왕릉

HeritageWiki
Lyndsey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9년 10월 27일 (일) 20:48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 헌강왕릉
Tomb of King Heongang, Gyeongju
대표명칭 경주 헌강왕릉
영문명칭 Tomb of King Heongang, Gyeongju
한자 慶州 憲康王陵
지정(등록) 종목 사적 제187호
분류 유적건조물/무덤/왕실무덤/고대



해설문

국문

이 능은 신라 제49대 헌강왕(875~886 재위)을 모신 곳으로 알려져 있다. 경문왕(景文王)의 맏아들로서 왕위를 이었다. 헌강왕은 불교와 국학(國學)에 큰 관심을 가지고 문치*(文治)를 지향하였다. 재위 기간에 해마다 풍년이 들어 태평성대(太平聖代)를 이루었다는 기록이 있다. 헌강왕이 죽은 후에 보리사(菩提寺) 동남쪽에서 장사를 지냈다고 한다.

이 능이 있는 곳은 경주 남산의 북동쪽 자락이다. 무덤 아래쪽에 4단의 둘레돌이 둘러져 있다. 1993년에 발굴과 조사로 석실 내부 구조를 확인하였다. 동남쪽으로 널길이 있고 서쪽으로 석실을 배치하였다. 석실 입구에 돌문, 문지방, 폐쇄석 등이 있으며, 서쪽 벽 가까이에는 시신을 안치한 시상(屍床)이 있다.


  • 문치: 학문과 법령으로 세상을 다스림. 또는 그런 정치.

영문

This is known to be the tomb of Kim Heongang (r. 875-886), the 59th ruler of the Silla dynasty (57 BCE–935 CE).

King Heongang was the eldest son of King Gyeongmun (r.861–875). He took a great interest in Buddhism and the National Academy and strove for governance based on learning and law. He held a ritual every year wishing for a prosperous harvest which resulted in a time of peace and prosperity.

Around the base of the tomb mound are three levels of stones. The tomb was excavated in 1993, which revealed a tunnel in the southeast and a stone chamber in the west. At the entrance to the chamber were a stone door, threshold, and rubble. Near the western wall was a low bench where the corpse would have been laid to rest.

영문 해설 내용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