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울진 용장교회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8월 31일 (수) 11:0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울진 용장교회
Yongjang Church, Uljin
울진 용장교회, 두피디아.
대표명칭 울진 용장교회
영문명칭 Yongjang Church, Uljin
한자 蔚珍 龍場敎會
주소 경상북도 울진군 죽변면 화성리 274-2
지정번호 국가등록문화재 제287호
지정일 2006년 12월 4일
분류 등록문화재/기타/종교시설/종교시설
시대 일제강점기
수량/면적 1동(1층) 연면적 49.59㎡
웹사이트 울진 용장교회,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울진 용장교회는 1936년 무렵에 세워진 한옥형 교회이다. 울진 지역에 처음으로 기독교가 전파되던 시기인 1907년에 지역 최초의 교회인 행곡교회가 창립(예배당은 1934년 무렵 건립)되었는데, 행곡교회의 교세(敎勢: 종교의 세력)가 넓어지면서 이곳 용장교회가 세워지게 되었다.

처음 건물을 세웠던 당시에는 현재의 주 출입구 맞은편에 강단이 설치되어 있었다. 또한 강단 왼쪽은 남성용, 오른쪽은 여성용으로 출입구와 자리를 따로 두었고 그 사이를 천으로 가려 놓았었다. 현재는 강단이 오른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남녀 공간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

건물은 서북쪽 방향으로 서 있으며, 마을 민가보다 약간 높은 곳에 있어 전망이 트여 있다. 정면 세 칸, 측면 두 칸 구조이며 내부는 통간(通間: 집의 칸이 서로 통하여 하나로 이어지는 형식) 형식이다. 바닥은 한식 마루이고 천장은 고미(굵은 나무를 가로지르고, 그 위에 산자를 엮어 진흙을 두껍게 바른 반자) 천장이다.

용장교회는 울진 지역의 주택 건축을 응용한 초기 한옥형 교회 건축 양식의 원형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으며, 인근 행곡교회와 함께 한옥형 교회 건축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용장교회는 1936년 무렵에 세워진 한옥형 교회이다. 울진 지역에 처음으로 기독교가 전파되던 시기인 1907년에 울진 최초의 교회인 행곡교회가 창립되고 1934년 무렵 예배당이 건립되었다. 이후 행곡교회의 교세가 확장되면서, 이곳에 용장교회가 세워지게 되었다.

건물은 서북쪽 방향으로 서 있으며, 마을의 다른 집들보다 약간 높은 곳에 있어 전망이 트여 있다. 내부는 통간 형식이고, 바닥에는 나무로 마루를 깔았으며, 천장은 서까래 위에 산자(lattice stick)를 엮고 진흙을 두껍게 발라 마감하였다.

처음 건물을 세웠던 당시에는 현재의 주 출입구 맞은편에 강단이 설치되어 있었다. 또한 강단 왼쪽은 남성용, 오른쪽은 여성용으로 출입구와 자리를 따로 두었고 그 사이를 천으로 가려 놓았었다. 현재는 강단이 오른쪽에 설치되어 있으며, 남녀 공간이 분리되어 있지 않다.

용장교회는 20세기 한옥형 교회 건축 양식의 원형을 비교적 잘 유지하고 있어, 한국 교회 건축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