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HeritageWiki
강혜원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2년 6월 3일 (금) 01:33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한자 古方寺 木造阿彌陀三尊佛像
주소 경상북도 김천시 농소면 봉곡리 485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67호
지정일 2004년 10월 14일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3구
웹사이트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고방사의 중심 전각인 보광명전에 모셔져 있는 이 삼존불상은 본존*인 아미타불과 협시*인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로 이루어져 있다. 아미타불은 죽은 이를 서방 극락세계로 인도하여 영혼을 구제하는 부처이고, 관세음보살은 자비를 상징하며, 대세지보살은 중생의 구제를 의미한다. 세 불상 모두 조선 현종 11년(1670)에 조성되었으며, 나무를 조각해 형태를 만들고 그 위에 금칠을 했다.

아미타불상의 높이는 102cm로 양옆의 보살상보다 크게 만들어 본존으로서의 위엄을 나타냈다. 양손의 엄지와 중지를 맞댄 채 오른손은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하게 하고 왼손은 손바닥이 위를 향하게 두었는데, 이는 아미타불이 설법을 할 때 취하는 손 모양이다.

두 보살상은 모두 화려한 보관을 썼으며 여러 갈래의 검은 머리카락이 어깨 위에 늘어져 있다. 둘 다 한 손은 무릎에 올리고 다른 한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채 어깨높이까지 올리고 있는데, 방향은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관세음보살의 오른손에는 가장 깨끗한 물을 담는다고 하는 정병이, 대세지보살의 왼손에 있는 것은 경전으로 추정된다.

세 불상 모두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17세기 조선에서 유행한 목조아미타삼존불상의 전형적인 양식을 반영하고 있어 당시의 불교 조각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 본존(本尊): 법당에 모신 부처 가운데 가장 으뜸인 부처.
  • 협시(脇侍): 부처를 좌우에서 모시는 두 보살.

영문

영문 해설 내용

고방사의 중심전각인 보광명전에 모셔져 있는 이 삼존불상은 본존인 아미타불과 협시인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로 이루어져 있다. 아미타불은 죽은 이를 서방 극락세계로 인도하여 그의 영혼을 구제하는 부처이다. 세 불상 모두 1670년에 제작되었으며, 나무를 조각해 형태를 만들고 그 위에 금칠을 했다.

아미타불상의 높이는 102cm로 양옆의 보살상보다 크게 만들어 본존으로서의 위엄을 나타냈다. 양손의 엄지와 중지를 맞댄 채 오른손은 손바닥을 바깥으로 향하게 하고 왼손은 손바닥이 위를 향하게 두었는데, 이는 아미타불이 설법을 할 때 취하는 손 모양이다.

두 보살상은 모두 화려한 보관을 썼으며 여러 갈래의 검은 머리카락이 어깨 위에 늘어져 있다. 둘 다 한 손은 무릎에 올리고 다른 한 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채 어깨높이까지 올리고 있는데, 방향은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관세음보살은 가장 깨끗한 물을 담는다고 하는 정병을 오른손에 들고 있다. 대세지보살의 왼손에 있는 것은 경전으로 추정된다.

세 불상 모두 보존 상태가 양호하고, 17세기 조선에서 유행한 목조아미타삼존불상의 전형적인 양식을 반영하고 있어 당시의 불교 조각사 연구에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자료

  •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김천의 문화재』, 76쪽. (김천시청 제공 자료)
  •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 디지털김천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gimcheon.grandculture.net/gimcheon/toc/GC03200570 → . 고방사 목조아미타삼존불상은 복장다라니[조선 후기, 종이, 46×55.6㎝ 2매, 직지성보박물관 소장]에 의하면 1670년에 봉안되었다. 좌우 협시로는 중생을 극락으로 인도하는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두었다. 본존인 아미타불좌상은 협시보살보다 10㎝ 정도 크고 전체적으로 당당한 모습이다. 삼존불상은 모두 나무로 만들어졌다. / 목조라는 재료의 한계성에도 불구하고 보존 상태가 우수하며 완형이다. 불상의 좌대에 묵서된 명문에 의하여 1670년에 조성되었다는 절대 연대를 알 수 있으며 17세기에 유행한 목조아미타삼존불상의 전형적인 양식을 반영하고 있다.
  • 김천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18540000 -> 1688년에 조성된 이 그림은 17세기에 활동한 수화승 민원(敏圓)과 보조화승 각림 등 4명의 화승이 그린 것으로, 본존의 키형 광배와 높은 육계의 표현, 천공(天空) 바탕에 표현된 화문(花紋, 꽃무늬) 등 세부표현과 기법에서 17세기 후반 불화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이 불화는 수화승 민원의 유일한 작품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