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HeritageWiki
이슬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20년 9월 26일 (토) 17:44 판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경주남산삼릉계석조여래좌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706660000 경...)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Stone Seated Buddha in Samneunggye Valley of Namsan Mountain, Gyeongju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영문명칭 Stone Seated Buddha in Samneunggye Valley of Namsan Mountain, Gyeongju
한자 慶州 南山 三陵溪 石造如來坐像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배동 산 72-6
지정번호 보물 제666호
지정일 1980년 6월 11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시대 통일신라
수량/면적 1구
웹사이트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삼릉계곡의 왼쪽 능선 위에 자리한 석불로 불상의 몸과 광배, 대좌를 모두 갖추었다. 불상의 얼굴 아래쪽이 부서지고 광배(光背)도 부서져 흩어져 있던 것을 발굴조사한 후 복원하였다.

머리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카락으로 덮었고 큰 상투모양의 머리[육계, 肉髻]가 있다. 처음부터 불상의 머리와 몸을 따로 제작해 조립한 것인데, 얼굴 아래쪽이 심하게 손상되었던 것을 복원했다. 왼쪽어깨에만 걸친 옷은 옷주름이 간결하고 몸의 윤곽이 드러나게 밀착되었다.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려 땅을 가리키는 촉지인을 하였다. 다른 돌로 만들어진 광배도 파손되어 주변에 흩어져 있던 것을 모아 복원한 것이다. 대좌는 아래 위쪽을 연꽃무늬로 장식한 3단 대좌이다.

당당하고 안정감 있는 자세나 섬세한 조각 수법 등은 8~9세기에 만들어진 통일신라시대 작품으로 보인다.

영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