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화순 임대정 원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47번째 줄: 47번째 줄:
  
 
===영문===
 
===영문===
 +
'''Imdaejeong Garden, Hwasun'''
  
 +
Imdaejeong Pavilion and its garden were constructed in 1862 by the civil official Min Ju-hyeon (1808-1882, pen name: Saae).
  
 +
Born here in Sapyeong-ri Village, Min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851 and served official posts at the censor-general’s office and the inspector-general’s office. He came back to his hometown in 1861 and built Imdaejeong Pavilion the next year. Later, he continued his official career as the second minister of the Ministry of War and a royal secretary. In 1866 when he finally retired and returned home, Ganghwado Island was invaded by France. Deeply alarmed by this event, Min Ju-hyeon wrote a petition to the king insisting on military mobilization and preparations for potential foreign interventions(?) in the future.
  
 +
In the ''Records of Imdaejeong Pavilion'' (Imdaejeong gi) written by Min, he mentions that the pavilion was built on the spot with an outstanding view where in the 16th century the scholar Nam Eon-gi (1534-?) had his own pavilion built to enjoy nature. The place had been in a state of disrepair until Min Ju-hyeon decided to plant here new trees, dug ponds, and built the pavilion. In the record, Min Ju-hyeon also mentions that he built the pavilion as a small structure with a thatched roof to hide from the summer heat. It is said that the name Imdaejeong derives from the following line of a poem written by the Chinese philosopher Zhou Dunyi (1017-1073): “As the morning passes by, I am still at the shore observing Lushan Mountain.” 
 +
 +
Since its completion, the pavilion has served at times as a place of reclusion and sometimes as a place of academic exchange or a lecture hall. In 1921-1922, Min’s descendants Min Dae-ho, Min Yong-ho (1869-1922), and Min Geung-ho oversaw the remodeling of the pavilion and replaced the thatched roof with roof tiles. The building underwent another renovation in 1964. The current pavilion faces northwest, features a hip-and-gable roof, and consists of an underfloor-heated room with a wooden-floored veranda installed along its front, right, and left. The pavilion (and its garden?) were designated as a Jeollanam-do Monument in 1985 and as a State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in the status of a scenic site in 2012. 
 +
 +
The following is a translation of the poem written by Min Ju-hyeon moved by the completion of the pavilion and anticipating his peaceful life.
 +
 +
Now that I have my small pavilion built next to an apricot tree
 +
And can no longer resist the fragrant excitement built up in the air
 +
I observe elderly villagers working in the field and jostling for a better spot
 +
To see the morning glow between the green towers.
 +
 +
“Composed upon the completion of Imdaejeong Pavilion using the rhyming characters of the great Zhu Xi (1130-1200)” – from the ''Collected Works by Min Ju-hyeon'' (Saae jip)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3년 3월 29일 (수) 05:44 판


화순 임대정 원림
Imdaejeong Garden, Hwasun
화순 임대정 원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화순 임대정 원림
영문명칭 Imdaejeong Garden, Hwasun
한자 和順 臨對亭 園林
주소 전라남도 화순군 사평면 상사1길 48 일원 (사평리 601 일원)
지정번호 명승 제89호
지정일 2012년 4월 10일
분류 자연유산/명승/역사문화경관
수량/면적 11,027㎡
웹사이트 화순 임대정 원림,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화순 임대정 원림은 사평 출신으로 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지낸 사애(沙厓) 민주현(閔冑顯, 1808~1882)이 1862(철종 13)년에 정자를 지어 조성한 원림이다.

민주현의 <임대정기(臨對亭記)>에 의하면 이곳은 풍광이 수려해서 선조 대의 문인인 고반(考槃) 남언기(南彦紀, 1534년∼?)가 정자를 지어 수륜대(垂綸臺)라 이름하고 원유 생활(園遊生活)을 하였으며, 은행대(銀杏臺)라고도 불렀다고 한다.

세월이 흘러 황폐되었던 이곳을 사애 선생이 수림을 조성하고, 연못도 다듬고, 정자를 지어 임대정이라 하였다. 임대정은 송나라 주돈이의 ‘종조임수대려산(終朝臨水對廬山, 아침 내내 물가에서 여산을 대한다.)’이라는 시구에서 그 이름을 취하였다고 한다. 이는 민주현의 <임대정기>에 ‘수취종조임수대려산지구 명이임대(遂取終朝臨水對廬山之句 名以臨對)’라고 한 기록에서 알 수 있다.

사애 민주현이 고향 사평에 임대정을 건립한 것은 55세 때인 1862년이다. 44세 되던 1851년에 문과에 급제한 뒤 사간언 정언, 사한부 장령을 거쳐 54세 되던 1861년에 사헌부 집의를 제수받는다. 그런데 그해 10월에 <화도연명귀거래사(和陶淵明歸去來辭)>라는 글[부(賦)]을 짓고 고향으로 돌아오게 된다. 문집인 <사애집(沙厓集)> 권1에 ‘신유시월 자경하래이작(辛酉十月 自京下來而作, 신유년(1861, 철종 12) 10월에 서울에서 내려와 지었다.)’이라고 쓰여 있다.

임대정을 건립하면서 지은 <임대정기> 첫머리에는 ‘임술조하(壬戌肇夏)’라는 연기를 기록하고 있어 1862년 초여름에 지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작은 정자를 지어 더위를 가시게 하고자 한 칸 초가를 지었음(構小榭以爲消暑之計乎....構成一間草廬)을 적고 있어 민주현이 처음 건립할 당시에는 단칸 초가였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新築小亭杏種陰 작은 정자를 살구나무 곁에 새롭게 지으니
箇中幽興倍難禁 곳곳의 그윽한 흥취 배가 됨을 금할 수 없네
碧臺間有待明到 푸른 누대 사이에서 밝아 오길 기다리고
爭席時看野老尋 자리 다투며 때때로 들에서 일하는 촌로를 바라보네

민주현은 다시 병조 참판으로 관직에 나아갔다가 1866년에 고향으로 돌아왔는데, 병인양요로 프랑스군이 강화도를 점령했다는 말을 듣고 밤낮으로 우분(憂憤)을 이기지 못하다가 마침내 십만 양병책(十萬養兵策)을 주장하는「청양병위이비완급지책(請養兵威以備緩急之策)」을 상소하였다.

임대정은 건립 이후, 때로는 은둔처로, 때로는 교류와 강학처로 활용되었으며 1922년에 기와 지붕으로 중건되었다.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고 서북쪽을 바라보고 있다. 후손 민용호(龍鎬, 1869~1922)가 지은 <임대정중건상량문>(신유년, 1921)과 민병승(丙承, 1866~?)의 <임대정중수기>(병자년, 1936)를 통하여 1921년에 중건 상량하여 1922년에 준공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주도한 이는 민대호, 민용호, 민긍호 등이다. 그리고 김문옥(金文鈺, 1897~1965)의 <임대정중건기>(갑술년, 1964)를 통하여 1964년에도 중건했음을 알 수 있다.

1985년에 전라남도 기념물 제69호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국가 지정 문화재인 명승으로 승격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영문

Imdaejeong Garden, Hwasun

Imdaejeong Pavilion and its garden were constructed in 1862 by the civil official Min Ju-hyeon (1808-1882, pen name: Saae).

Born here in Sapyeong-ri Village, Min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851 and served official posts at the censor-general’s office and the inspector-general’s office. He came back to his hometown in 1861 and built Imdaejeong Pavilion the next year. Later, he continued his official career as the second minister of the Ministry of War and a royal secretary. In 1866 when he finally retired and returned home, Ganghwado Island was invaded by France. Deeply alarmed by this event, Min Ju-hyeon wrote a petition to the king insisting on military mobilization and preparations for potential foreign interventions(?) in the future.

In the Records of Imdaejeong Pavilion (Imdaejeong gi) written by Min, he mentions that the pavilion was built on the spot with an outstanding view where in the 16th century the scholar Nam Eon-gi (1534-?) had his own pavilion built to enjoy nature. The place had been in a state of disrepair until Min Ju-hyeon decided to plant here new trees, dug ponds, and built the pavilion. In the record, Min Ju-hyeon also mentions that he built the pavilion as a small structure with a thatched roof to hide from the summer heat. It is said that the name Imdaejeong derives from the following line of a poem written by the Chinese philosopher Zhou Dunyi (1017-1073): “As the morning passes by, I am still at the shore observing Lushan Mountain.”

Since its completion, the pavilion has served at times as a place of reclusion and sometimes as a place of academic exchange or a lecture hall. In 1921-1922, Min’s descendants Min Dae-ho, Min Yong-ho (1869-1922), and Min Geung-ho oversaw the remodeling of the pavilion and replaced the thatched roof with roof tiles. The building underwent another renovation in 1964. The current pavilion faces northwest, features a hip-and-gable roof, and consists of an underfloor-heated room with a wooden-floored veranda installed along its front, right, and left. The pavilion (and its garden?) were designated as a Jeollanam-do Monument in 1985 and as a State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in the status of a scenic site in 2012.

The following is a translation of the poem written by Min Ju-hyeon moved by the completion of the pavilion and anticipating his peaceful life.

Now that I have my small pavilion built next to an apricot tree And can no longer resist the fragrant excitement built up in the air I observe elderly villagers working in the field and jostling for a better spot To see the morning glow between the green towers.

“Composed upon the completion of Imdaejeong Pavilion using the rhyming characters of the great Zhu Xi (1130-1200)” – from the Collected Works by Min Ju-hyeon (Saae jip)

영문 해설 내용

임대정 원림은 조선시대의 학자이자 문신인 민주현(1808-1882, 호: 사애)이 1862년 정자를 짓고 조성하였다.

민주현은 이곳 사평리 출신으로 1851년 과거에 급제한 뒤 사간원, 사헌부 등에서 여러 관직을 지내다가, 1861년 고향으로 돌아와 이듬해 초여름에 임대정을 지었다. 이후 민주현은 다시 관직에 나가 병조참판과 좌승지 등을 지냈고 1866년에 고향으로 돌아왔다. 같은 해 프랑스가 강화도를 침략했다는 소식을 듣고 밤낮으로 근심하며 분하게 여기다가, 군사를 모집하여 후일에 대비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민주현이 남긴 「임대정기」에 따르면 임대정이 위치한 곳은 풍광이 수려하며, 16세기의 학자인 남언기(1534-?)가 정자를 짓고 자연을 벗 삼아 지내던 곳이라고 한다. 세월이 흘러 황폐해졌던 이곳에 민주현이 나무를 심고 연못을 만들고 정자를 지었다. 「임대정기」에 “더위를 가시게 하고자 한 칸 초가를 지었다”는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아, 처음 건립 당시에는 한 칸짜리 초가지붕 건물이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임대정’이라는 이름은 송나라 유학자 주돈이(1017-1073)가 지은 시의 ‘종조임수대려산(終朝臨水對廬山, 아침 내내 물가에서 여산을 대한다.)’이라는 구절에서 따왔다고 한다.

임대정은 건립 이후, 때로는 은둔처로, 때로는 교류와 강학처로 활용되었다. 1921년 민주현의 후손 민대호, 민용호(1869-1922), 민긍호 등이 기존의 건물을 기와지붕 건물로 바꿔 짓기 시작하였고 1922년에 완공하였다. 임대정은 1964년에도 한 차례 중건하였고, 지금의 정자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며 서북쪽을 바라보고 있다. 1985년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국가지정문화재인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아래는 민주현이 임대정이 완성된 후 유유자적하며 만년을 보낼 수 있게 된 감회를 읊은 시이다.

新築小亭杏種陰 작은 정자를 살구나무 곁에 새롭게 지으니
箇中幽興倍難禁 곳곳의 그윽한 흥취 배가 됨을 금할 수 없네
碧臺間有待明到 푸른 누대 사이에서 밝아 오길 기다리고
爭席時看野老尋 자리 다투며 때때로 들에서 일하는 촌로를 바라보네
- 「임대정이 새로 완성되어 주자의 시에 차운하다」, 『사애집』

갤러리

참고자료

주석

  1. 노재현, 박태희, 신상섭, 김현욱, 「기문(記文)을 중심으로 고찰한 임대정원림(臨對亭園林)의 입지 및 조영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29, no.4, 2011, 24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