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심암 터-청주 상당산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17번째 줄: 17번째 줄:
  
 
===영문===
 
===영문===
 +
'''Cheongsimam Hermitage Site – Sangdangsanseong Fortress'''
  
 +
Cheongsimam was a Buddhist Hermitage established next to the western command post of Sangdangsanseong Fortress. The fortress had two Buddhist temples and one hermitage located within its walls, namely, Guryongsa Temple, Namaksa Temple, and Cheongsimam Hermitage. At the time, military units formed by Buddhist monks were actively used in the fortress for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fortress walls, and thus, temples were built to accommodate them.
 +
 +
Various historical records mention this place by one of two names: Cheongsimam Hermitage or Jangdaesa Temple. The latter name is presumed to have been a reference to the hermitage’s proximity to a command post, '''which is called ''jangdae'' in Korean'''. ''Sangdangsanseong Fortress Map'' (Sangdangsanseongdo), presumably made in 1764, depicts this hermitage located slightly below the western command post.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2년 7월 24일 (일) 20:21 판

청심암 터 淸心庵 址
Goto.png 종합안내판: 청주 상당산성



해설문

국문

조선 후기에 편찬된 『여지도서』에 따르면 산성 내 사찰로 구룡사, 남악사, 청심사(淸心寺)가 있었다고 한다. 공공건물을 뜻하는 공해(公廨) 관련 기록에서는 청심사를 확인할 수 없고, 구룡사, 남악사, 장대사(將臺寺)만 기록되어 있다. 영조 40년(1764)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상당산성도」에는 서장대(제승당)의 아래에 청심암(淸心庵)이 그려져 있다. 이를 보면 장대사, 청심사, 청심암은 같은 사찰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청심암의 다른 이름인 ‘장대사’는 서장대(제승당)와 인접하여 생긴 명칭으로 보인다. 청심암의 규모는 16칸이며, 현재 사찰 건물은 사라지고, 청심암 터만 남아 있다.

상당산성 내에서는 구룡사(九龍寺), 남악사(南岳寺), 청심암(淸心庵) 등의 사찰이 있었다. 당시 상당산성의 축성과 운영은 승려들로 조직된 군대가 동원되었는데, 사찰은 이때 승려들이 머물기 위해 지은 것이다.

영문

Cheongsimam Hermitage Site – Sangdangsanseong Fortress

Cheongsimam was a Buddhist Hermitage established next to the western command post of Sangdangsanseong Fortress. The fortress had two Buddhist temples and one hermitage located within its walls, namely, Guryongsa Temple, Namaksa Temple, and Cheongsimam Hermitage. At the time, military units formed by Buddhist monks were actively used in the fortress for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the fortress walls, and thus, temples were built to accommodate them.

Various historical records mention this place by one of two names: Cheongsimam Hermitage or Jangdaesa Temple. The latter name is presumed to have been a reference to the hermitage’s proximity to a command post, which is called jangdae in Korean. Sangdangsanseong Fortress Map (Sangdangsanseongdo), presumably made in 1764, depicts this hermitage located slightly below the western command post.

영문 해설 내용

청심암은 서장대 옆에 세워졌던 사찰이다. 상당산성 내에는 구룡사, 남악사, 청심암 등의 사찰이 있었다. 당시 상당산성의 축성과 운영에는 승려들로 조직된 군대가 동원되었는데, 이 승려들이 머물수 있도록 여러 사찰을 지은 것이다.

청심암은 기록에 따라 청심사 또는 장대사라고 기록되어 있다. 장대사라는 이름은 서장대 가까이에 있었기 때문에 붙은 이름인 것으로 추정된다. 1764년에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상당산성도」에도 서장대의 아래에 청심암이 그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