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예천향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예천향교.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701380000 예천향교], 국가문화유...)
(차이 없음)

2022년 7월 5일 (화) 15:17 판


예천향교
예천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예천향교
한자 醴泉鄕校
주소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백전리 199-1번지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8호
지정일 1985년 8월 5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수량/면적 4동
웹사이트 예천향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예천향교는 조선 태조 7년(1398) 예천읍 현산에 처음 건립되었고, 태종 18년(1418) 군수 김겸(金謙)이 현재 위치로 옮겨지었다. 이후 효종 7년(1656), 효종 9년(1658) 등 여러 차례 다시 고쳐지었다. 오늘날 대창중‧고등학교 동쪽에 위치하고 있다.

처음 세워진 당시에는 풍영루*, 전곡청, 동무, 서무, 동재, 서재, 이층 문루 등 9개 동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제사공간인 대성전과 교육공간인 명륜당, 음식을 준비하는 공간인 주사, 향교의 대문격인 외삼문과 대성전 앞의 내삼문 등이 남아 있다. 2005년에 동무와 서무에 해당되는 일신재(日新齋)와 직방재(直方齋)를 복원하였는데 일신재에는 제복(官服)을 직방재에는 제기(祭器)를 보관하고 있다.

외삼문으로 들어서서 계단을 오르면 정면 5칸, 측면 2칸 규모의 팔작지붕 건물인 명륜당이 있고, 명륜당 뒤쪽에 위치한 내삼문으로 들어서면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맛배지붕 건물인 대성전이 별도의 공간을 이루고 있다.

대성전은 공자를 비롯한 25위의 성현을 모신 곳으로, 지금까지도 매년 봄‧가을에 석전제**를 올리고 있다.


  • 풍영루(諷詠樓): 대창중‧고등학교의 음악실과 미술실이 있는 곳.
  • 석전제(釋奠祭): 공자를 모신 사당에서 선현에게 지내는 제사.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