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안성 봉덕사 신중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안성봉덕사신중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101970000 안성 봉덕사...)
 
35번째 줄: 35번째 줄: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
이 불화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지키는 수호신 총 11위를 그린 그림이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전국에서 활동하던 승려 화가 축연이 세복, 운제 등의 스님과 함께 1917년에 그렸다.
  
 +
원래 이곳에서 남쪽으로 약 11km 떨어진 곳에 있는 서운면 청룡사에 봉안하기 위해 그려졌다. 이 불화가 1922년 창건된 봉덕사로 옮겨진 경위는 알려지지 않았다.
  
 +
화면 중앙에는 투구를 쓴 위태천을 그렸고, 양옆에는 신장을 2위씩 배치하였다. 위태천의 머리 양옆에는 손을 합장한 범천과 제석천이 있고, 범천과 제석천의 양옆에는 각각 천녀와 천동이 있다.
  
 
+
적색과 녹색을 주색으로 하여 청색을 가미한 것은 한국 전통 불교 회화의 특징이고, 음영과 원근법 등 서양 화풍을 적용한 것은 20세기 초 서울, 경기 지역 불화의 양식을 잘 보여준다.
=='''참고자료'''==
 
 
 
  
  

2022년 5월 31일 (화) 15:14 판


안성 봉덕사 신중도
안성 봉덕사 신중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성 봉덕사 신중도
한자 安城 奉德寺 神衆圖
지정(등록) 종목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97호
지정(등록)일 2021년 4월 16일
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나한조사도
시대 일제강점기
수량/면적 1점
웹사이트 안성 봉덕사 신중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신중도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역할을 하는 신들을 표현한 불화이다. 「안성 봉덕사 신중도」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전국에서 활동하던 고산 축연(古山 竺衍)이라는 화가 스님이 초암 세복(艸菴 世復), 금명 운제(錦溟 運齊) 스님과 함께 청룡사에 봉안하기 위해 1917년에 제작한 불화이다.

화면 중앙에 부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위타천을 그렸고, 좌우에 신장(神將)을 꽉 차게 배치하였다. 그 위로 손을 합장한 범천과 제석천이 있고, 복숭아와 붉은색, 푸른색, 녹색 비단으로 만든 보당을 든 비천상, 악기를 연주하는 동자를 그렸다.

서운면 청룡사에 봉안하기 위해 내원암에서 그려진 이 불화가 1922년 창건된 봉덕사로 옮겨진 경위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적색과 녹색을 주색으로 하여 청색을 가미한 화풍은 전통 화법에 음영과 원근법 등 서양 화풍이 적용된 것으로 20세기 초 서울, 경기지역의 불화 양식을 잘 보여준다.

영문

영문 해설 내용

이 불화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지키는 수호신 총 11위를 그린 그림이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전국에서 활동하던 승려 화가 축연이 세복, 운제 등의 스님과 함께 1917년에 그렸다.

원래 이곳에서 남쪽으로 약 11km 떨어진 곳에 있는 서운면 청룡사에 봉안하기 위해 그려졌다. 이 불화가 1922년 창건된 봉덕사로 옮겨진 경위는 알려지지 않았다.

화면 중앙에는 투구를 쓴 위태천을 그렸고, 양옆에는 신장을 2위씩 배치하였다. 위태천의 머리 양옆에는 손을 합장한 범천과 제석천이 있고, 범천과 제석천의 양옆에는 각각 천녀와 천동이 있다.

적색과 녹색을 주색으로 하여 청색을 가미한 것은 한국 전통 불교 회화의 특징이고, 음영과 원근법 등 서양 화풍을 적용한 것은 20세기 초 서울, 경기 지역 불화의 양식을 잘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