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안동 귀봉종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2번째 줄: 22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이 건물은 의성김씨 귀봉(龜峯) 김수일(金守一)의 종택으로, 조선 현종(顯宗) 원년(1660)에 건립하였고, 고종(高宗) 25년(1888)에 김주병(金周秉)이 중건하였다. 조선 중기의 전형적인 종택 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口’자형으로 대문채, 사랑채, 안채, 사당채 건물이 있다. 사당에는 운천 김용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
귀봉종택은 의성김씨 귀봉 김수일(龜峯 金守一, 1528~1583)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현종 원년(1660)에 건립되었고, 고종 25년(1888)에 김수일의 12대손 김주병(金周秉)이 고쳐 지었다.  
  
큰사랑채는 대문의 동쪽에 위치하며, 방 3칸과 대청 4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물마루를 깐 대청이 매우 넓다.
+
귀봉종택이 위치한 임하면 천전리(내앞마을)는 14세기 말 김수일의 증조부인 김만근(金萬謹)이 정착하면서부터 의성김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게 되었다. 귀봉종택 바로 왼쪽에는 대종가인 의성김씨 종택이 있다.
  
이 건물은 같은 마을에 있는 의성김씨 대종택과는 서로 다르지만 그 맥이 흡사함은 가문의 일관성 때문이다. 대종택과 이 집은 형상의 대소와 정교함에 차이는 있을지라도 법식과 기법에는 차이가 없다.
+
귀봉종택은 대문채, ㅁ자형의 본채,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채는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는 중문을 사이에 두고 동서로 나누어져 있지만, 동쪽의 사랑채를 조금 더 앞에 배치하고 지붕을 높게 만들어 위계를 드러냈다.  
  
===수정 국문===
+
사당에는 김수일의 맏아들 운천 김용(雲川 金涌, 1557~1620)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종택에는 김용이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위하며 따르면서 쓴 『호종일기(扈從日記』가 보관되어 있다.
====초고====
 
이 건물은 구봉(龜峯) 김수일(金守一,?~?)의 종가가 대대로 사는 집이다.  
 
  
조선 현종(顯宗,1641~1674) 원년(1660)에 건립하였고, 고종(高宗,1852~1919) 25년(1888,~)에 김수일의 12대손 김주병(金周秉,?~?)이 중건하였다.
+
===영문===
 +
'''Gwibong Head House, Andong'''
  
조선 중기의 전형적인 종택 양식을 보이고 있으며, ‘口’자형으로 대문채, 사랑채, 안채, 사당채 건물이 있다. 큰사랑채는 대문의 동쪽에 위치하며, 방 3칸과 대청 4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의 대청은 일반적인 4칸 대청과는 달리  6칸 대청을 가지고 있다.  2칸 대청의 앞에 정면 2칸 측면 2칸 규모의 4칸의 대청을 안마당쪽으로 돌출시켜  특이한 평면형태를 이루고 있다.
+
===영문 해설 내용===
 +
귀봉종택은 의성김씨 김수일(1528-1583, 호: 귀봉)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1660년에 건립되었고, 1888년에 김수일의 12세손 김주병이 고쳐 지었다.
  
사당에는 김수일의 맏아들  운천(雲川) 김용(金涌,?~?)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종택 안에 보물 484호인 『김용  호종일기(金涌 扈從日記)』가 보관되어 있다.
+
귀봉종택이 위치한 천전리는 14세기 말 김수일의 증조부인 김만근이 정착하면서부터 의성김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게 되었다. 귀봉종택 바로 왼쪽에는 대종가인 의성김씨 종택이 있다.
  
====1차 수정====
+
귀봉종택은 대문채, ㅁ자형의 본채,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채는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는 중문을 사이에 두고 둘로 나누어져 있고, 오른쪽을 조금 더 앞에 배치하고 지붕을 높게 만들었다.  
귀봉종택은 의성김씨 20세인 귀봉 김수일(龜峯 金守一, 1528~1583)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현종 원년(1660)에 건립되었고, 고종 25년(1888)에 김수일의 12세손 김주병(金周秉)이 중건하였다.  
 
  
귀봉종택이 위치한 천전리는 14세기 말 김수일의 증조부인 김만근(金萬謹)이 정착한 이래 의성김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게 되었다. 귀봉종택 바로 왼쪽에는 대종가인 의성김씨 종택(보물 제450호)이 있다.
+
사당에는 김수일의 맏아들 김용(1557-1620, 호:운천)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종택에는 김용이 임진왜란 때 선조(재위 1567-1608)를 호종하며 쓴 『호종일기』가 보관되어 있다.
 
 
귀봉종택은 대문채, ㅁ자형의 정침,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침은 안채, 사랑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와 행랑채는 중문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사랑채를 조금 더 앞에 배치하고 지붕을 높게 만들어 위계를 드러냈다.
 
 
 
사당에는 김수일의 맏아들 운천 김용(雲川 金涌, 1557~1620)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종택에는 김용이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종하며 쓴 『호종일기(扈從日記, 보물 484호)』가 보관되어 있다.
 
  
 
=='''참고자료'''==
 
=='''참고자료'''==
62번째 줄: 57번째 줄:
 
[[분류:안동시 문화유산]]
 
[[분류:안동시 문화유산]]
 
[[분류:국가민속문화재]]
 
[[분류:국가민속문화재]]
[[분류:가옥]]
+
[[분류:종택]]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
[[분류:2021 영문집필]]

2021년 7월 26일 (월) 16:00 판


안동 귀봉종택
Gwibong Head House, Andong
안동 귀봉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안동 귀봉종택
영문명칭 Gwibong Head House, Andong
한자 安東 龜峰宗宅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내앞길 5-1 (천전리)
지정번호 국가민속문화재 제267호
지정일 2011년 11월 9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일곽(1필지)
웹사이트 안동 귀봉종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귀봉종택은 의성김씨 귀봉 김수일(龜峯 金守一, 1528~1583)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현종 원년(1660)에 건립되었고, 고종 25년(1888)에 김수일의 12대손 김주병(金周秉)이 고쳐 지었다.

귀봉종택이 위치한 임하면 천전리(내앞마을)는 14세기 말 김수일의 증조부인 김만근(金萬謹)이 정착하면서부터 의성김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게 되었다. 귀봉종택 바로 왼쪽에는 대종가인 의성김씨 종택이 있다.

귀봉종택은 대문채, ㅁ자형의 본채,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채는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는 중문을 사이에 두고 동서로 나누어져 있지만, 동쪽의 사랑채를 조금 더 앞에 배치하고 지붕을 높게 만들어 위계를 드러냈다.

사당에는 김수일의 맏아들 운천 김용(雲川 金涌, 1557~1620)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종택에는 김용이 임진왜란 때 선조를 호위하며 따르면서 쓴 『호종일기(扈從日記』가 보관되어 있다.

영문

Gwibong Head House, Andong

영문 해설 내용

귀봉종택은 의성김씨 김수일(1528-1583, 호: 귀봉)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1660년에 건립되었고, 1888년에 김수일의 12세손 김주병이 고쳐 지었다.

귀봉종택이 위치한 천전리는 14세기 말 김수일의 증조부인 김만근이 정착하면서부터 의성김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게 되었다. 귀봉종택 바로 왼쪽에는 대종가인 의성김씨 종택이 있다.

귀봉종택은 대문채, ㅁ자형의 본채,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본채는 안채와 사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사랑채는 중문을 사이에 두고 둘로 나누어져 있고, 오른쪽을 조금 더 앞에 배치하고 지붕을 높게 만들었다.

사당에는 김수일의 맏아들 김용(1557-1620, 호:운천)의 위패가 모셔져 있으며, 종택에는 김용이 임진왜란 때 선조(재위 1567-1608)를 호종하며 쓴 『호종일기』가 보관되어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