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흥국사 십육나한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흥국사십육나한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613330000 흥국사 십육나...)
 
43번째 줄: 43번째 줄:
 
*가섭과 아난은 머리광배를 했으며, 회색장삼에 붉은 가사를 입고 있어 이 그림을 그릴 당시의 승복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어 복장사 연구에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가섭과 아난은 머리광배를 했으며, 회색장삼에 붉은 가사를 입고 있어 이 그림을 그릴 당시의 승복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어 복장사 연구에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1ㆍ3ㆍ5존자 탱은 존자 모두의 상호가 거룩하고 차분하며, 자세 또한 편안하게 묘사했다. 산수는 수묵(水墨)으로 간결하게 처리했는데, 색채도 잘 보존되어 불화 제작의 귀중한 자료이다. 왼쪽에 서서 오른쪽으로 향한 노안(老顔)의 가섭존자로부터 오른쪽으로 16나한 가운데 제1 빈두로바라타사(賓頭盧跋羅墮) 존자와 제3 가라가바리타사(痂라迦跋釐墮) 존자, 그리고 제5 라후라(諾矩羅) 존자가 등장하고 있는데, 라후라 존자는 여의주를 들고 용을 달래는 모습이고, 그 아래에는 동자가 醍湯을 받쳐들고 있다. 2ㆍ4ㆍ6 존자 탱화는 바위 속의 푸른 파초가 돋보이고, 7ㆍ9ㆍ11ㆍ13 존자를 그린 그림은 괴석과 고목의 표현이 흥미롭다. 8ㆍ10ㆍ12ㆍ14 존자 그림은 색채가 완화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으며, 15존자를 나타내고 있는 탱화는 아시다(阿氏多) 존자가 석굴 아래 웅크리고 있는 모습과 그 옆에 범천과 사자등이 이어져 있다. 16 존자(注茶半託迦)탱화는 구름이 피어 오르는 바위 앞에서 합장한 모습이며, 侍者가 있다. 16명의 아라한들은 각각의 특이한 형태로 그려졌으며 복장의 형태도 각각이다.
 
*1ㆍ3ㆍ5존자 탱은 존자 모두의 상호가 거룩하고 차분하며, 자세 또한 편안하게 묘사했다. 산수는 수묵(水墨)으로 간결하게 처리했는데, 색채도 잘 보존되어 불화 제작의 귀중한 자료이다. 왼쪽에 서서 오른쪽으로 향한 노안(老顔)의 가섭존자로부터 오른쪽으로 16나한 가운데 제1 빈두로바라타사(賓頭盧跋羅墮) 존자와 제3 가라가바리타사(痂라迦跋釐墮) 존자, 그리고 제5 라후라(諾矩羅) 존자가 등장하고 있는데, 라후라 존자는 여의주를 들고 용을 달래는 모습이고, 그 아래에는 동자가 醍湯을 받쳐들고 있다. 2ㆍ4ㆍ6 존자 탱화는 바위 속의 푸른 파초가 돋보이고, 7ㆍ9ㆍ11ㆍ13 존자를 그린 그림은 괴석과 고목의 표현이 흥미롭다. 8ㆍ10ㆍ12ㆍ14 존자 그림은 색채가 완화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으며, 15존자를 나타내고 있는 탱화는 아시다(阿氏多) 존자가 석굴 아래 웅크리고 있는 모습과 그 옆에 범천과 사자등이 이어져 있다. 16 존자(注茶半託迦)탱화는 구름이 피어 오르는 바위 앞에서 합장한 모습이며, 侍者가 있다. 16명의 아라한들은 각각의 특이한 형태로 그려졌으며 복장의 형태도 각각이다.
 +
 +
=='''갤러리'''==
 +
<gallery mode=packed heights=400px>
 +
파일:흥국사응진전_배치도.jpg | 흥국사응진전배치도
 +
</gallery>
 +
  
 
==참고 자료==
 
==참고 자료==
51번째 줄: 57번째 줄:
 
*디지털여수문화대전 http://yeosu.grandculture.net/Contents?local=yeosu&dataType=01
 
*디지털여수문화대전 http://yeosu.grandculture.net/Contents?local=yeosu&dataType=01
 
→ 나한도 도상 및 각 권속 특징 설명.
 
→ 나한도 도상 및 각 권속 특징 설명.
 +
○역사문화라이브러리 HISTORYLIBRARY, 2019.4.11. 글 https://historylibrary.net/entry/%EC%97%AC%EC%88%98-%ED%9D%A5%EA%B5%AD%EC%82%AC-%EB%82%98%ED%95%9C%EC%83%81
 +
→ 응진전 그림배치 확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2020년 4월 27일 (월) 17:18 판


흥국사 십육나한도
Buddhist Painting of Heungguksa Temple (Sixteen Arhats)
흥국사 십육나한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흥국사 십육나한도
영문명칭 Buddhist Painting of Heungguksa Temple (Sixteen Arhats)
한자 興國寺 十六羅漢圖
주소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길 160
지정번호 보물 제1333호
지정일 2002년 1월 2일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나한조사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6폭
웹사이트 흥국사 십육나한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십육나한도는 원래 석가설법도를 중심으로 좌우 3폭씩 각각 배치되어 있었으나, 지금은 나한도 6폭만이 전하고 있다. 중앙의 본존불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가섭존자와 홀수 존자들이, 오른쪽에는 아난존자와 짝수 존자들이 대칭을 이루면서 서로 마주보고 있는 독특한 구성법을 보여주고 있다.

1723년(경종 3년)에 의겸의 주도로 12명의 화승이 제작에 관여하였는데, 조선후기 나한도 가운데 수작으로 꼽힌다. 특히 존자들의 배치와 얼굴 및 의상 표현, 수묵 담채풍의 설채법을 통해 조선 최고의 화승이었던 의겸의 탁월한 역량을 확인할 수 있다.

수정 국문

초고

이 불화는 부처의 제자인 나한 16명을 그린 것으로, 1723년에 당대 최고의 화승으로 꼽히는 의겸의 주도 하에 12인의 화승이 참여하여 제작된 것이다.

나한은 부처의 깨달음을 얻은 제자이다. 중생에게 복을 주고 소원을 이뤄주는 능력이 있다고 하며, 존경과 공양을 받을 만한 성자로 여겨진다. 부처의 여러 제자 중 아난과 가섭이 가장 으뜸으로 꼽힌다.

원래는 중앙에 석가모니불이 설법하는 그림이 있었다고 하나 없어지고, 지금은 좌우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던 나한도 6폭만 전한다.

중앙을 기준으로 왼쪽에는 늙은 승려의 모습의 가섭존자를 비롯하여 홀수 존자들이, 오른쪽에는 청년의 모습을 한 아난존자와 짝수 존자들이 대칭을 이루면서 서로 마주보고 있다. 한 폭에 4명씩 그려진 나한들은 제각각인 복장의 형태와 표정들이 인상적이다. 마지막 화폭에는 1명씩의 나한과 함께 좌우에 각각 부처님을 수호하는 역할을 하는 대범천과 제석천과 그 권속들을 각각 그려 넣었다.

이 그림은 배경이 되는 바위를 수묵담채로 처리하는 등 불화에 수묵화 기법을 도입한 의겸의 화풍을 잘 보여주며, 이후 조성된 십육나한도의 기준이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현재 응진전에 있는 그림은 모사본이고, 진본은 흥국사 의승수군 유물전시관에 소장되어 있다.

  • 가섭과 아난은 머리광배를 했으며, 회색장삼에 붉은 가사를 입고 있어 이 그림을 그릴 당시의 승복의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어 복장사 연구에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 1ㆍ3ㆍ5존자 탱은 존자 모두의 상호가 거룩하고 차분하며, 자세 또한 편안하게 묘사했다. 산수는 수묵(水墨)으로 간결하게 처리했는데, 색채도 잘 보존되어 불화 제작의 귀중한 자료이다. 왼쪽에 서서 오른쪽으로 향한 노안(老顔)의 가섭존자로부터 오른쪽으로 16나한 가운데 제1 빈두로바라타사(賓頭盧跋羅墮) 존자와 제3 가라가바리타사(痂라迦跋釐墮) 존자, 그리고 제5 라후라(諾矩羅) 존자가 등장하고 있는데, 라후라 존자는 여의주를 들고 용을 달래는 모습이고, 그 아래에는 동자가 醍湯을 받쳐들고 있다. 2ㆍ4ㆍ6 존자 탱화는 바위 속의 푸른 파초가 돋보이고, 7ㆍ9ㆍ11ㆍ13 존자를 그린 그림은 괴석과 고목의 표현이 흥미롭다. 8ㆍ10ㆍ12ㆍ14 존자 그림은 색채가 완화하고 차분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으며, 15존자를 나타내고 있는 탱화는 아시다(阿氏多) 존자가 석굴 아래 웅크리고 있는 모습과 그 옆에 범천과 사자등이 이어져 있다. 16 존자(注茶半託迦)탱화는 구름이 피어 오르는 바위 앞에서 합장한 모습이며, 侍者가 있다. 16명의 아라한들은 각각의 특이한 형태로 그려졌으며 복장의 형태도 각각이다.

갤러리


참고 자료

→ 현재 소장처 정보 확인

→ 해당 그림 요약 제시 및 후대에 준 영향 확인 가능

→ 나한도 도상 및 각 권속 특징 설명. ○역사문화라이브러리 HISTORYLIBRARY, 2019.4.11. 글 https://historylibrary.net/entry/%EC%97%AC%EC%88%98-%ED%9D%A5%EA%B5%AD%EC%82%AC-%EB%82%98%ED%95%9C%EC%83%81 → 응진전 그림배치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