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여수흥국사목조석가여래삼존상.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615500000...)
 
(초고)
43번째 줄: 43번째 줄:
 
본존인 석가여래에 비슷한 크기의 보살입상을 동반하는 구도의 삼존불은 매우 드문 경우이다. 또한 전북 지역의 목조 불상은 대부분 17세기 후반에 만들어졌으나 이 삼존불상은 17세기 초반에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본존인 석가여래에 비슷한 크기의 보살입상을 동반하는 구도의 삼존불은 매우 드문 경우이다. 또한 전북 지역의 목조 불상은 대부분 17세기 후반에 만들어졌으나 이 삼존불상은 17세기 초반에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연화대좌 모서리에 1741년 개금불사가 이루어진 사실을 기록하였다.
+
*본존불 연화대좌 모서리에 1741년 개금불사가 이루어진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참고 자료==
 
==참고 자료==

2020년 4월 27일 (월) 16:43 판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Wooden Sakyamuni Buddha Triad of Heungguksa Temple, Yeosu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영문명칭 Wooden Sakyamuni Buddha Triad of Heungguksa Temple, Yeosu
한자 麗水 興國寺 木造釋迦如來三尊像
주소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길 160
지정번호 보물 제1550호
지정일 2008년 3월 12일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3구
웹사이트 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기존 국문

흥국사 대웅전 주존불인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제화갈라보살입상, 미륵보살입상으로 이루어져있다. 좌우보살상의 보관 뒷면에 새겨진 글을 통해 1628년-1644년(숭정 연간)에 조성된 사실을 알 수 있다.

당시 전라도 지역불상의 양식적 특징과 개성을 보여주고 있는 목불로서, 조각 수법도 매우 뛰어나서 몸체의 양감 표현과 옷자락의 자연스러움이 잘 표현되어 있다. 손과 발의 표정 또한 잘 살아있고, 특히 제화갈라보살입상과 미륵보살입상의 옷주름의 표현은 몸체의 균형과 변화를 절묘하게 조화시키고 있으며, 장신구의 자연스러운 곡선 표현도 유려하다.

17세기 전반의 불상으로 이와 같은 크기의 보살상을 동반한 삼존불이 드물다는 점과 도상과 양식 면에서 대표적인 불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수정 국문

초고

이 삼존불상은 1628년-1644년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흥국사 대웅전에 모셔져 있다.

좌우 협시보살이 쓰고 있는 보관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대략적인 조성 시기와 협시불의 존명을 확인한 경우로, 본존인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제화갈라보살이, 왼쪽에는 미륵보살이 자리하고 있다.

석가모니불의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게 표현되어 있고, 오른손은 손가락을 맞대어 하늘을 향하고 있고 왼손은 땅을 향해 무릎 아래로 내리고 있다.

화려한 보관을 쓴 양쪽의 협시보살들은 손에 연꽃을 들고 대칭을 이루며 서 있다. 전체적인 모습이 매우 흡사하지만, 제화갈라보살의 옷주름이 조금 더 화려하게 표현되었다.

좌우 협시보살이 쓰고 있는 보관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대략적인 조성 시기와 협시불의 존명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존인 석가여래에 비슷한 크기의 보살입상을 동반하는 구도의 삼존불은 매우 드문 경우이다. 또한 전북 지역의 목조 불상은 대부분 17세기 후반에 만들어졌으나 이 삼존불상은 17세기 초반에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본존불 연화대좌 모서리에 1741년 개금불사가 이루어진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참고 자료

  • 문화재대관 보물 불교조각Ⅱ, 문화재청, 2017.
  • 흥국사 대웅전 정밀실측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2013.

→ 불상 특징 및 가치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