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여수 흥국사 목조석가여래삼존상
2020 안내문안 초안 작성 지원 사업
기존 국문
흥국사 대웅전 주존불인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제화갈라보살입상, 미륵보살입상으로 이루어져있다. 좌우보살상의 보관 뒷면에 새겨진 글을 통해 1628년-1644년(숭정 연간)에 조성된 사실을 알 수 있다.
당시 전라도 지역불상의 양식적 특징과 개성을 보여주고 있는 목불로서, 조각 수법도 매우 뛰어나서 몸체의 양감 표현과 옷자락의 자연스러움이 잘 표현되어 있다. 손과 발의 표정 또한 잘 살아있고, 특히 제화갈라보살입상과 미륵보살입상의 옷주름의 표현은 몸체의 균형과 변화를 절묘하게 조화시키고 있으며, 장신구의 자연스러운 곡선 표현도 유려하다.
17세기 전반의 불상으로 이와 같은 크기의 보살상을 동반한 삼존불이 드물다는 점과 도상과 양식 면에서 대표적인 불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수정 국문
초고
이 삼존불상은 1628년-1644년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흥국사 대웅전에 모셔져 있다.
좌우 협시보살이 쓰고 있는 보관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대략적인 조성 시기와 협시불의 존명을 확인한 경우로, 본존인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제화갈라보살이, 왼쪽에는 미륵보살이 자리하고 있다.
석가모니불의 목에는 삼도가 뚜렷하게 표현되어 있고, 오른손은 손가락을 맞대어 하늘을 향하고 있고 왼손은 땅을 향해 무릎 아래로 내리고 있다.
화려한 보관을 쓴 양쪽의 협시보살들은 손에 연꽃을 들고 대칭을 이루며 서 있다. 전체적인 모습이 매우 흡사하지만, 제화갈라보살의 옷주름이 조금 더 화려하게 표현되었다.
좌우 협시보살이 쓰고 있는 보관에 새겨진 명문을 통해 대략적인 조성 시기와 협시불의 존명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존인 석가여래에 비슷한 크기의 보살입상을 동반하는 구도의 삼존불은 매우 드문 경우이다. 또한 전북 지역의 목조 불상은 대부분 17세기 후반에 만들어졌으나 이 삼존불상은 17세기 초반에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 본존불 연화대좌 모서리에 1741년 개금불사가 이루어진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1차 수정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제화갈라보살과 미륵보살로 이루어진 삼존불이다. 각각 현세불, 과거불, 미래불을 나타낸다.
이 세 불상은 모두 1628년에서 1644년 사이에 조성되었다.
석가모니불의 목에는 번뇌, 업, 고통을 상징하는 세 주름이 뚜렷하게 표현되어 있다. 오른손은 땅을 향하고 있고 왼손은 무릎 위에 있는데, 이는 부처가 모든 악마를 항복시키고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상징한다. 화려한 보관을 쓴 양쪽의 협시보살들은 손에 연꽃을 들고 대칭을 이루며 서 있다. 전체적인 모습이 매우 흡사하지만, 석가모니의 오른쪽에 있는 제화갈라보살의 옷주름이 조금 더 화려하게 표현되었다.
전북 지역의 목조 불상은 대부분 17세기 후반에 만들어졌으나 이 삼존불상은 17세기 초반에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자문의견
- 분야별 자문위원 1
-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제화갈라보살과 미륵보살로 이루어진 삼존불이다. 각각 현세불, 과거불, 미래불을 나타낸다. 이 세 불상은 모두 1628년에서 1644년 사이에 조성되었다. ->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제화갈라보살과 미륵보살로 이루어진 삼존불로, 각각 현세불, 과거불, 미래불을 나타낸다. 좌우보살상의 보관 뒷면에 새겨진 글을 통해 1628년에서 1644년 사이에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 분야별 자문위원 2
- 가운데 석가모니불은 모든 번뇌를 누르고 깨달음을 얻은 존재임을 상징하는 항마촉지인의 손 모습을 하고 있으며, 풍만하고 머리가 큰 비례를 통해 느긋하고 여유로운 인상을 주면서 세상에 휩쓸리지 않는 고요함을 표현했다. 반면 양옆의 보살상은 늘씬하고 훤칠한 비례를 통해 사실적인 표현을 보여줌으로써 부처와 인간세계의 중간에 있는 존재임을 암시한다. 특히 제화갈라보살은 쇼올 같은 천의(天衣)를 입고, 배에는 복갑(腹甲)과 무릎에는 슬갑(膝甲)이라는 갑옷 같은 것을 착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형식은 그 예가 드물어 주목된다.
- 이 삼존불상은 조선시대의 다른 불상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미감이 특징이다. 또한 뒤에 걸린 1693년에 그려진 후불탱화가 이 삼존불의 표현을 의식하고 제작한 것으로 보여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있는 보기 드문 사례이다.
2차 수정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제화갈라보살과 미륵보살로 이루어진 삼존불로, 각각 현세불, 과거불, 미래불을 나타낸다. 세 불상은 모두 1628년에서 1644년 사이에 조성되었다.
석가모니불은 오른손은 땅을 향하고 왼손은 무릎 위에 올린 자세를 하고 있는데, 이는 부처가 모든 악마를 항복시키고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상징한다. 석가모니불이 풍만하고 머리가 큰 비례를 통해 느긋하고 여유로운 인상을 주는 반면, 양옆의 협시보살은 늘씬하고 훤칠한 비례를 통해 사실적인 표현을 보여준다. 두 보살은 머리에 화려한 보관을 쓰고 손에는 연꽃가지를 들고 있다. 전체적인 모습이 매우 흡사하지만, 석가모니의 오른쪽에 있는 제화갈라보살의 옷주름이 조금 더 화려하게 표현되었다.
전북 지역의 목조 불상은 대부분 17세기 후반에 만들어졌으나 이 삼존불상은 17세기 초반에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