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 흥국사 제석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고 자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여수흥국사제석도.jpg
 
|사진=여수흥국사제석도.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603000000 여수 흥국사 제석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603000000 여수 흥국사 제석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여수 흥국사 제석도
 
|대표명칭=여수 흥국사 제석도
|영문명칭=
+
|영문명칭=Buddhist Painting of Heungguksa Temple, Yeosu (Indra)
 
|한자=麗水 興國寺 帝釋圖
 
|한자=麗水 興國寺 帝釋圖
 
|주소=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길 160
 
|주소=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길 160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삼장보살도와 함께 1741년 제작된 작품으로서 현존하는 제석도로는 시기도 빠르고 작품의 수준도 우수하다.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에서 18세기 전남지방의 우수한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
제석도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신인 제석천과 여러 권속들을 그린 불화이다. 제석천은 원래 힌두교 신화에 나오는 신들의 왕인 인드라인데, 불교에 들어와서는 불법의 수호신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수정 국문===
+
흥국사 제석도는 영조 17년(1741), 긍척(亘惕)을 비롯하여 당대 최고의 화승으로 명성이 높았던 의겸(義謙)의 제자들이 그렸다. 중앙에는 병풍을 배경으로 부채를 든 제석천이 앉아 있으며, 좌우에 일월 천자, 천동, 천녀가 에워싸며 대칭을 이룬 모습이다.  
====초고====
 
이 불화는 부처님을 수호하는 수호신 중 한 명인 제석천과 여러 권속들을 그린 것이다. 1741년 궁척을 포함한 의겸의 제자들이 제작하였다. 제석천은 불법을 지키는 여러 신들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신이다.
 
 
화면의 중앙에는 병풍을 배경으로 부채를 든 제석천이 위치하고 있으며, 좌우에 일월천자(日月天子)와 천동과 천녀가 에워싸며 대칭을 이룬 모습이다.
 
  
일본에 전해지는 16세기의 작품을 제외하고 국내에 남아있는 작품 중에서는 제작시기가 이른 편이며,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은 18세기 전라남도 지방에서 제작된 불화의 우수함을 보여준다.  
+
이 불화는 국내에 남아 있는 제석도 중 제작 시기가 이른 편이며,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 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은 18세기 전라남도 지방에서 제작한 불화의 우수함을 보여 준다.  
  
*제석도(帝釋圖)는 제석천(帝釋天)[수미산 꼭대기에 있는 도리천의 임금으로, 사천왕과 32천을 통솔하면서 불법과 불법에 귀의하는 사람을 보호하고 아수라의 군대를 정벌하는 신] 등을 그린 그림을 말한다.
+
===영문===
*어디에 소장되어 있는지 확인 필요.
+
'''Buddhist Painting of Heungguksa Temple, Yeosu (Indra)'''
  
==참고 자료==
+
This painting depicts Indra and his retinue. Indra is a god from the ancient Indian myths, who in Buddhism has become the most prominent guardian spirit protecting the Buddha and his teachings. The painting was created in 1741 by the painter-monk Geungcheok and other disciples of Uigyeom, the most renowned painter-monk of the 18th century.
 +
 
 +
Indra is depicted in the center of the painting sitting in front of a folding screen. Located to either side are the Ministers of the Sun and the Moon, divine youths, and divine females.
 +
 
 +
Among the extant paintings of Indra in Korea, it is an early work. It also shows the high quality of Buddhist paintings created in Jeollanam-do region during the 18th century, which can be seen in the overall tone and composition, as well as the figures’ expressions.
 +
 
 +
===영문 해설 내용===
 +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신인 제석천과 여러 권속들을 그린 불화이다. 제석천은 인도 고대 신화에 나오는 신으로,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님을 수호하는 최고의 수호신이 되었다. 이 불화는 1741년 긍척을 비롯하여, 당대 최고의 화승으로 명성이 높았던 의겸의 제자들이 그렸다.
 +
 
 +
중앙에는 병풍을 배경으로 제석천이 앉아 있으며, 좌우에 일월천자, 천동, 천녀가 에워싸며 대칭을 이룬 모습이다.
 +
 
 +
현재 한국에 남아 있는 제석도 중 제작시기가 이른 편이며,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 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은 18세기 전라남도 지방에서 제작된 불화의 우수함을 보여준다.
 +
 
 +
=='''참고자료'''==
 
*디지털여수문화대전 http://yeosu.grandculture.net/Contents?local=yeosu&dataType=01&contents_id=GC01302161
 
*디지털여수문화대전 http://yeosu.grandculture.net/Contents?local=yeosu&dataType=01&contents_id=GC01302161
 
*불교중앙박물관 관람기(3) (cds9494님의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2017.12.15.)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ds9494&logNo=221164021264&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directAccess=false
 
*불교중앙박물관 관람기(3) (cds9494님의 블로그, 네이버 블로그, 2017.12.15.)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cds9494&logNo=221164021264&redirect=Dlog&widgetTypeCall=true&directAccess=false
 
→ 구도 및 특징 설명.
 
→ 구도 및 특징 설명.
 +
 +
[[분류:문화유산해설문]]
 +
[[분류:여수시 문화유산]]
 +
[[분류:여수 흥국사]]
 +
[[분류:시도유형문화재]]
 +
[[분류:불화]]
 +
[[분류:2020 영문집필]]
 +
[[분류: 2020 국문집필]] [[분류: 2020 국문초안지원사업]]

2021년 2월 5일 (금) 16:34 기준 최신판

여수 흥국사 제석도
Buddhist Painting of Heungguksa Temple, Yeosu (Indra)
여수 흥국사 제석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여수 흥국사 제석도
영문명칭 Buddhist Painting of Heungguksa Temple, Yeosu (Indra)
한자 麗水 興國寺 帝釋圖
주소 전라남도 여수시 중흥동 흥국사길 160
지정번호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300호
지정일 2009년 3월 20일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폭
웹사이트 여수 흥국사 제석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제석도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신인 제석천과 여러 권속들을 그린 불화이다. 제석천은 원래 힌두교 신화에 나오는 신들의 왕인 인드라인데, 불교에 들어와서는 불법의 수호신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흥국사 제석도는 영조 17년(1741), 긍척(亘惕)을 비롯하여 당대 최고의 화승으로 명성이 높았던 의겸(義謙)의 제자들이 그렸다. 중앙에는 병풍을 배경으로 부채를 든 제석천이 앉아 있으며, 좌우에 일월 천자, 천동, 천녀가 에워싸며 대칭을 이룬 모습이다.

이 불화는 국내에 남아 있는 제석도 중 제작 시기가 이른 편이며,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 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은 18세기 전라남도 지방에서 제작한 불화의 우수함을 보여 준다.

영문

Buddhist Painting of Heungguksa Temple, Yeosu (Indra)

This painting depicts Indra and his retinue. Indra is a god from the ancient Indian myths, who in Buddhism has become the most prominent guardian spirit protecting the Buddha and his teachings. The painting was created in 1741 by the painter-monk Geungcheok and other disciples of Uigyeom, the most renowned painter-monk of the 18th century.

Indra is depicted in the center of the painting sitting in front of a folding screen. Located to either side are the Ministers of the Sun and the Moon, divine youths, and divine females.

Among the extant paintings of Indra in Korea, it is an early work. It also shows the high quality of Buddhist paintings created in Jeollanam-do region during the 18th century, which can be seen in the overall tone and composition, as well as the figures’ expressions.

영문 해설 내용

부처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신인 제석천과 여러 권속들을 그린 불화이다. 제석천은 인도 고대 신화에 나오는 신으로, 불교에 수용되면서 부처님을 수호하는 최고의 수호신이 되었다. 이 불화는 1741년 긍척을 비롯하여, 당대 최고의 화승으로 명성이 높았던 의겸의 제자들이 그렸다.

중앙에는 병풍을 배경으로 제석천이 앉아 있으며, 좌우에 일월천자, 천동, 천녀가 에워싸며 대칭을 이룬 모습이다.

현재 한국에 남아 있는 제석도 중 제작시기가 이른 편이며, 전체적인 색감과 화면 구성, 각 군중의 표현 등은 18세기 전라남도 지방에서 제작된 불화의 우수함을 보여준다.

참고자료

→ 구도 및 특징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