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용추사 일주문"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용추사일주문.jpg
 
|사진=용추사일주문.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0540000 함양 용추사 일주문],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0540000 함양 용추사 일주문],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함양 용추사 일주문
 
|대표명칭=함양 용추사 일주문
|영문명칭=
+
|영문명칭=Iljumun Gate of Yongchusa Temple, Hamyang
 
|한자=咸陽 龍湫寺 一柱門
 
|한자=咸陽 龍湫寺 一柱門
|주소=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용추사 일주문
+
|주소=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용추사  
 
|소장처=
 
|소장처=
 
|지정번호=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4호
 
|지정번호=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4호
22번째 줄: 21번째 줄:
  
 
=='''해설문'''==
 
=='''해설문'''==
===기존 국문===
+
===국문===
일주문은 절 입구에 좌우 하나씩의 기둥으로 받쳐 세운 문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부처의 세계로 들어가는 첫 관문이다. 항상 한결같은 마음으로 수도하고 교화하라는 의미에서 세운 문이다. 이곳 용추계곡에는 487년(신라 소지왕9)에 각연대사(覺然大師)가 창건하였다고 하는 장수사(長水寺)가 있었다. 장수사는 신라시대의 원효(元曉)와 의상(義湘)을 비롯해, 조선시대의 무학(舞鶴), 서산(西山), 사명(四溟)둥 여러 고숭이 수도한 이름이 있는 절이었고, 용추사는 원래 장수사에 딸린 작은 암자였다. 그런데 6.25 전쟁 때 장수사가 일주문만 남고 타버리자 1959년에 중건하면서 아름을 용추사로 바꾸었다. “덕유산 장수사 조계문(德裕山 長水寺 曹溪門)”이라고 쓰여 있는 일주문 현판만이 장수사의 흔적을 말해준다. 이 일주문은 숙종28년(1702)에 건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일주문은 사찰 바깥문 중의 하나로 속세를 떠나 부처의 세계로 들어가는 첫 문으로서 2개의 기둥만으로 지붕을 지탱하는 건물이다.
  
일반적인 일주문이 그렇게 크지 않는 보통의 맞배지붕으로 만들어진데 비해, 이 일주문은 화려한 다포계(多包系) 팔작(八作)지붕의 양식을 하고 있는 점이 특이하다. 기둥 간격 4m, 직경 1.2m가 넘는 튼튼한 기둥에 떠 바쳐진 일주문은 그 규모가 매우 장대하다. 화려하고 웅장한 모습의 지붕 때문에 기둥이 오히려 작아 보일 정도이다. 혀를 말아 올린 듯이 길게 뻗어 나간 장식들은 기둥 위에서 구름과 연꽃으로 피어오르고, 기둥머리의 봉황조각은 길게 돌출된 서까래와 함께 처마선을 타고 올라 천상세계가 바로 여기라고 보여고 있는 듯하다.
+
용추사의 일주문은 숙종28년(1702)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75년에 고쳐 지었다. 정면에 걸린 현판에는 ‘덕유산 장수사 조계문(德裕山 長水寺 曹溪門)’이라는 글이 쓰여 있는데, 이는 원래 옛 장수사 일주문이었기 때문이다.
  
아마 이곳에서부터 부처의 극락세계가 시작된다는 종교적 의미를 상징적이면서도 장엄하고 화려한 구조로 표현한 것 같다.  
+
이 일주문은 화려한 다포계 건물로서,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하는 나무쪽인 공포가 빽빽하게 들어차 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이 화려하고 웅장한 모습의 지붕 때문에 지붕을 떠받치는 큰 기둥이 오히려 작아 보일 정도이다.
  
===수정 국문===
+
혀를 말아 올린 듯이 길게 뻗어 나간 장식들은 기둥 위에서 구름과 연꽃으로 피어오르고, 기둥머리의 봉황 조각은 길게 돌출된 서까래와 함께 처마 선을 타고 올라 천상 세계가 바로 여기라고 보여주는 듯하다. 용추사 일주문의 화려하고 웅장한 모습은 일주문으로는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대단히 장엄한 건축물로 평가받고 있다.
====초고====
 
일주문은 건물의 기둥이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며, 사찰로 진입하는 입구를 표시한다. 한국의 사찰 대부분에 지어지며, 사찰의 주요 영역으로 들어가기 위한 첫 번째 문으로, 사찰의 이름이 적힌 현판이 걸려있다. 일주문이라는 이름은 사찰 영역에 들어오기 전에 세속의 번뇌를 씻고 한결같은 마음을 가질 것을 상징한다.
 
  
용추사의 일주문은 1702년에 건립되었다고 하며, 남쪽에 걸려있는 현판에는 ‘장수사(長水寺)’라는 이름이 확인된다. 장수사는 용추사의 본찰이었던 곳으로 487년 각연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하며, 일주문이 세워진 1702년 중건되었으나 한국전쟁 때 일주문을 제외한 가람 전체가 불에 타서 사라졌다. 1959년에 절을 다시 지으면서 이름을 용추사로 바꾸었지만, 일주문의 현판은 그대로 두었다고 한다. 지금의 일주문은 1975년에 중건한 것이다.
+
===영문===
 +
'''Iljumun Gate of Yongchusa Temple, Hamyang'''
  
용추사의 일주문은 다른 사찰의 일주문과 비교했을 때 규모가 큰 편이다. 굵은 원기둥의 앞뒤에 보조 기둥을 덧대어 세웠으며, 화려한 팔작지붕 아래에는 지붕의 무게를 받치는 부재이자 장식을 겸하는 공포(栱包)를 촘촘하게 짜 올렸다.
+
Iljumun, meaning the “Gate of Pillars in a Single Row,” marks the entrance to a Buddhist temple. It is found in most Korean Buddhist temples and is customarily the first of three or four entrance gates leading to the main worship area. Its name symbolizes both the design of the gate as well as the single-minded devotion to which believers should ascribe, as they empty their minds of contaminating secular business before entering the temple premises.
  
====1차 수정====
+
Iljumun Gate of Yongchusa Temple is presumed to have been built in 1702 and was renovated in 1975. This gate originally served as the entrance to Jangsusa Temple, which was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At that time, Yongchusa Temple was a hermitage of Jangsusa Temple.
일주문은 사찰에 들어가는 첫 번째 관문으로, 기둥이 한 줄로 늘어서 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 줄의 기둥은 일심(一心)을 뜻하며, 사찰에 들어오기 전 세속의 번뇌를 씻고 한결같은 마음을 가질 것을 상징한다. 일주문에는 사찰의 이름이 적힌 현판을 걸어 놓는다.  
 
  
용추사의 일주문은 1702년에 건립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75년에 중건하였다. 정면에 걸린 현판에는 ‘덕유산 장수사 조계문(德裕山 長水寺 曹溪門)’이라고 쓴 현판이 걸려있는데, 이는 용추사의 예전 이름이 장수사이기 때문이다.
+
This gate is outstanding for its large and majestic hip-and-gable roof, as such gates typically have a relatively small and simple gable roof. A system of intricate wooden brackets was installed underneath the roof to support its weight, and motifs symbolizing the heavens, such as clouds, lotus flowers, and phoenixes, were painted onto the brackets.  
  
장수사는 487년 각연대사가 창건하였다. 일주문이 세워진 1702년 중건되었으나 한국전쟁 때 일주문을 제외한 가람 전체가 불에 타서 사라졌다. 1959년에 절을 다시 지으면서 이름을 용추사로 바꾸었지만, 일주문의 현판은 그대로 두었다고 한다.  
+
===영문 해설 내용===
 +
일주문은 건물의 기둥이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며, 사찰로 진입하는 입구를 표시한다. 한국의 사찰 대부분에 지어지며, 사찰의 주요 영역으로 들어가는 3-4개의 대문 중 제일 첫 번째 문이다. 일주문이라는 이름은 건물의 형태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지만, 사찰 영역에 들어오기 전에 세속의 번뇌를 씻고 한결같은 마음을 가질 것을 상징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일주문은 규모가 크지 않고 맞배지붕으로 만드는데, 용추사의 일주문은 화려한 팔작지붕을 올렸고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장대한 규모이다. 건물의 기둥 간격은 약 4m이고, 기둥 높이는 약 3m이며, 기둥 둘레는 약 3m이다. 팔작지붕 아래에는 지붕의 무게를 받치는 부재이자 장식을 겸하는 공포(栱包)를 촘촘하게 짜 올렸다.
+
이 일주문은 1702년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75년에 고쳐 지었다. 원래는 한국전쟁 때 소실된 장수사의 일주문이었으며, 당시 용추사는 장수사에 소속된 암자였다.
 +
 
 +
일반적으로 사찰의 일주문은 규모가 크지 않고 소박한 맞배지붕을 올리는데, 용주사 일주문은 규모가 매우 크고 화려한 팔작지붕 양식을 하고 있다. 지붕의 무게를 받치기 위한 장치인 공포도 매우 빽빽하게 설치되어 있고, 구름, 연꽃, 봉황 등 다양한 모양의 장식을 사용하여 천상 세계를 표현하였다.
  
 
=='''문맥요소'''==
 
=='''문맥요소'''==
51번째 줄: 51번째 줄:
 
!style="width:200px"| ID ||style="width:100px"| Class ||style="width:200px"| Label || Description
 
!style="width:200px"| ID ||style="width:100px"| Class ||style="width:200px"| Label || Description
 
|-
 
|-
| 함양 용추사 일주문 || Place || 함양_용추사_일주문 ||  
+
| 함양 용추사 일주문 || Object || 함양_용추사_일주문 ||
 +
|-
 +
| H38-0054-0000 ||Heritate || (경상남도_유형문화재_제54호)_함양_용추사_일주문 ||  
 
|-
 
|-
 
| 일주문 || Concept || 일주문(一柱門) ||
 
| 일주문 || Concept || 일주문(一柱門) ||
71번째 줄: 73번째 줄:
 
|-
 
|-
 
| 용추사 || 함양_용추사_일주문 || hasPart
 
| 용추사 || 함양_용추사_일주문 || hasPart
 +
|-
 +
| 함양_용추사_일주문 || H38-0054-0000 || isDesignatedAs
 
|-
 
|-
 
| 장수사 || 용추사 || hasOldName
 
| 장수사 || 용추사 || hasOldName
90번째 줄: 94번째 줄: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함양군 문화유산]]
 
[[분류:함양군 문화유산]]
[[분류:함양 용추사]]
+
[[분류:경상남도 유형문화재]]
[[분류:시도유형문화재]]
+
[[분류:일주문]]
[[분류:사찰]]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집필]]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분류:2021 국문초안지원사업]]
 +
[[분류:2021 영문집필]]
 +
[[분류:불교문화유산]]

2023년 11월 1일 (수) 10:00 기준 최신판

함양 용추사 일주문
Iljumun Gate of Yongchusa Temple, Hamyang
함양 용추사 일주문,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함양 용추사 일주문
영문명칭 Iljumun Gate of Yongchusa Temple, Hamyang
한자 咸陽 龍湫寺 一柱門
주소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용추사
지정번호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4호
지정일 1972년 2월 12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불교/문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함양 용추사 일주문,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일주문은 사찰 바깥문 중의 하나로 속세를 떠나 부처의 세계로 들어가는 첫 문으로서 2개의 기둥만으로 지붕을 지탱하는 건물이다.

용추사의 일주문은 숙종28년(1702)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75년에 고쳐 지었다. 정면에 걸린 현판에는 ‘덕유산 장수사 조계문(德裕山 長水寺 曹溪門)’이라는 글이 쓰여 있는데, 이는 원래 옛 장수사 일주문이었기 때문이다.

이 일주문은 화려한 다포계 건물로서, 지붕 처마를 받치면서 장식을 하는 나무쪽인 공포가 빽빽하게 들어차 있다. 지붕은 옆면에서 볼 때, 여덟 팔(八)자 모양인 팔작지붕이다. 이 화려하고 웅장한 모습의 지붕 때문에 지붕을 떠받치는 큰 기둥이 오히려 작아 보일 정도이다.

혀를 말아 올린 듯이 길게 뻗어 나간 장식들은 기둥 위에서 구름과 연꽃으로 피어오르고, 기둥머리의 봉황 조각은 길게 돌출된 서까래와 함께 처마 선을 타고 올라 천상 세계가 바로 여기라고 보여주는 듯하다. 용추사 일주문의 화려하고 웅장한 모습은 일주문으로는 유례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대단히 장엄한 건축물로 평가받고 있다.

영문

Iljumun Gate of Yongchusa Temple, Hamyang

Iljumun, meaning the “Gate of Pillars in a Single Row,” marks the entrance to a Buddhist temple. It is found in most Korean Buddhist temples and is customarily the first of three or four entrance gates leading to the main worship area. Its name symbolizes both the design of the gate as well as the single-minded devotion to which believers should ascribe, as they empty their minds of contaminating secular business before entering the temple premises.

Iljumun Gate of Yongchusa Temple is presumed to have been built in 1702 and was renovated in 1975. This gate originally served as the entrance to Jangsusa Temple, which was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1950-1953). At that time, Yongchusa Temple was a hermitage of Jangsusa Temple.

This gate is outstanding for its large and majestic hip-and-gable roof, as such gates typically have a relatively small and simple gable roof. A system of intricate wooden brackets was installed underneath the roof to support its weight, and motifs symbolizing the heavens, such as clouds, lotus flowers, and phoenixes, were painted onto the brackets.

영문 해설 내용

일주문은 건물의 기둥이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며, 사찰로 진입하는 입구를 표시한다. 한국의 사찰 대부분에 지어지며, 사찰의 주요 영역으로 들어가는 3-4개의 대문 중 제일 첫 번째 문이다. 일주문이라는 이름은 건물의 형태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지만, 사찰 영역에 들어오기 전에 세속의 번뇌를 씻고 한결같은 마음을 가질 것을 상징하기도 한다.

이 일주문은 1702년에 세워진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1975년에 고쳐 지었다. 원래는 한국전쟁 때 소실된 장수사의 일주문이었으며, 당시 용추사는 장수사에 소속된 암자였다.

일반적으로 사찰의 일주문은 규모가 크지 않고 소박한 맞배지붕을 올리는데, 용주사 일주문은 규모가 매우 크고 화려한 팔작지붕 양식을 하고 있다. 지붕의 무게를 받치기 위한 장치인 공포도 매우 빽빽하게 설치되어 있고, 구름, 연꽃, 봉황 등 다양한 모양의 장식을 사용하여 천상 세계를 표현하였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함양 용추사 일주문 Object 함양_용추사_일주문
H38-0054-0000 Heritate (경상남도_유형문화재_제54호)_함양_용추사_일주문
일주문 Concept 일주문(一柱門)
용추사 Place 용추사(龍湫寺)
장수사 Place 장수사(長水寺) 장수사는 용수사의 본찰이었다.
각연대사 Actor 각연대사(覺然大師) 장수사를 창건했다고 전한다.
호남사혜 Actor 호남사혜(湖南社慧) 장수사를 1702년에 중창하였다. 일주문도 중창 당시 세워졌다고 전한다.
한국전쟁 Event 한국전쟁(1950) 전쟁 때 일주문 외의 다른 전각 모두가 불에 타 사라졌다.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용추사 함양_용추사_일주문 hasPart
함양_용추사_일주문 H38-0054-0000 isDesignatedAs
장수사 용추사 hasOldName
장수사 각연대사 founder
장수사 호남사혜 renovator
장수사 한국전쟁 isDamagedBy
함양 용추사 일주문 일주문 type

참고자료

  • 함양 용추사 일주문,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2113800540000&pageNo=1_1_1_1 → 문화재 기본 설명
  • 함양 용추사 일주문, 디지털함양문화대전 http://hamyang.grandculture.net/hamyang/toc/GC07200461 → 용추사는 본래 장수사(長水寺)였다. 장수사는 487년(소지왕 9)에 각연(覺然)대사가 창건하였는데, 이때 ‘항상 한결같은 마음으로 수도하고 교화하라’고 했다고 전한다. 장수사는 1702년(숙종 28)에 호남사혜(湖南社慧)에 의하여 중건되었는데, 일주문은 이때 건립된 것이다. 한국전쟁 때 장수사는 거의 불탔는데, 유일하게 일주문만 남았다. 1959년 중건 당시 사찰의 명칭을 용추사로 바꾸면서 용추사 일주문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일주문의 현판은 옛 명칭 그대로 ‘덕유산 장수사 조계문’을 유지하고 있다.
  • 함양 용추사 일주문, story77616,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story77616/220462321727 → 일주문 사진 상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