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묘 외곽담장 각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별안내판
 
|사진=
 
|사진출처=
 
|대표명칭=종묘 외곽담장 각자
 
|한자=
 
|영문명칭=
 
|종합안내판=종묘
 
|위도=
 
|경도=
 
}}
 
 
 
=='''해설문'''==
 
=='''해설문'''==
 
===국문===
 
===국문===
‘각자’란 나무판이나 돌 등에 글자를 새기는 것으로, 종묘 외곽담장에는 담장 수리 연도를 알려주는 각자가 있다. 조선시대에는 담장을 수리·보수하면서 해당연도를 새기는 것이 관례였고, 일제강점기에도 이를 따랐다. 현재 종묘 외곽담장에는 60간지를 새긴 각자 73개와 일왕연호를 새긴 각자 9개가 있다. 각자에 관한 기록은 『승정원일기』와 『종묘일지』 등에서 볼 수 있다.
+
‘각자’는 나무 판이나 돌 등에 글자를 새기는 것 또는 새긴 글자를 말한다. 종묘 외곽 담장에는 82개의 각자가 있다. 이 각자 중 육십갑자를 새긴 73개는 『승정원일기』에 종묘 담장을 수리한 후 수리 연도를 새겨 후세에 알리라는 기록으로 보아 담장 공사를 했던 당시 연도를 새긴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각자 9개에는 일본식 연호로 수리 연도가 새겨져 있다. 이는 『종묘일지』에 1932년과 1933년에 담장을 수리했다는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영문===
 
'''Inscriptions on Outer Enclosure Wall of Jongmyo Shrine'''
 
'''Inscriptions on Outer Enclosure Wall of Jongmyo Shrine'''
  
On the outer enclosure wall of Jongmyo Shrine, there are 82 inscriptions that '''(are presumed to)''' record the years in which the wall was repaired or renovated. Among them, 72 date to the Joseon period (1392-1910) and record the year according to the sexagenary calendar cycle, while nine date to the 1930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and record the year according to the Emperor of Japan's reign year. This practice '''(of inscribing the years of repairs and renovations on the outer enclosure wall of Jongmyo Shrine)''' is described in historical records such as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Seungjeongwon ilgi).  
+
On the outer enclosure wall of Jongmyo Shrine, there are 82 inscriptions that are presumed to record the years in which the wall was repaired or renovated. Among them, 73 record the year according to the sexagenary calendar cycle, while nine date to 1932 and 1933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and record the year according to the Emperor of Japan’s reign year. This practice of inscribing the years of repairs and renovations on the outer enclosure wall of Jongmyo Shrine is described in historical records such as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Seungjeongwon ilgi) and the ''Diaries of the Custodians of Jongmyo Shrine'' (Jongmyo ilji).
  
*순서가 자연스럽지 않아 수정했어요.
+
===영문 해설 내용===
*승정원일기 얘기 굳이 할 필요가 없는 것 같아요. 그래서 필요하면 마지막 문장을 생략해도 될 것 같아요.  
+
종묘 외곽담장에는 담장을 수리·보수한 해를 기록한 것으로 보이는 글자가 총 82개소에 새겨져 있다. 이 중 73개는 60간지를 사용해 연도를 표시하였고, 9개는 1932년과 1933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에 일왕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담장의 수리·보수 연도를 종묘 외곽담장에 새기는 이러한 관행은 『승정원일기』와  『종묘일지』와 같은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각자는 연도를 알려주는 것을 국문은 아주 확실하게 표현하는데, 영문 해설 내용을 조심스럽게 표현한 이유가 있나요? 확실하면 'are presumed to'라는 말을 생략하면 돼요.
 
  
===영문 해설 내용===
+
=='''갤러리'''==
종묘 외곽담장에는 총 82개소에 글자가 새겨져 있다. 『승정원일기』에 종묘 담장을 수리한 후 수리 연도를 새겨 후세에 알리도록 하라는 기록이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이 각자들은 담장을 수리·보수하면서 해당연도를 새긴 것으로 보인다. 전체 각자 중 73개는 60간지를 사용해 연도를 표시하였고, 9개는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에 일왕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
<gallery mode=packed heights=500px>
 +
File:종묘외곽담장각자-1.jpg | 종묘 외곽담장 각자석의 현황과 분포<ref>『종묘 외곽담장 기초현황 자료조사 용역』,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종묘관리소, 2019, 77쪽.</ref>
 +
File:종묘외곽담장각자-2.jpg | 각자석 위치와 추정연도<ref>『종묘 외곽담장 기초현황 자료조사 용역』,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종묘관리소, 2019, 78쪽.</ref>
 +
</gallery>
  
 
=='''참고자료'''==
 
=='''참고자료'''==
* "종묘 담장에 새겨진 60간지는 담장 수리 시기 의미", 문화재청, 2019.08.28.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1598&sectionId=b_sec_1&pageIndex=25&strWhere=&strValue=&mn=NS_01_02_02  
+
* “종묘 담장에 새겨진 60간지는 담장 수리 시기 의미”, 문화재청, 2019.08.28. http://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1598&sectionId=b_sec_1&pageIndex=25&strWhere=&strValue=&mn=NS_01_02_02
* 기초현황조사보고서: 종묘 외곽담장 기초현황 자료조사 용역, 역사문화라이브러리, 2019.08.28. https://historylibrary.net/entry/기초현황조사보고서-종묘-외곽담장-기초현황-자료조사-용역
+
* 『종묘 외곽담장 기초현황 자료조사 용역』,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종묘관리소, 2019.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nttId=74986&bbsId=BBSMSTR_1021&mn=NS_03_08_01
 +
 
 +
=='''주석'''==
 +
<references/>
 +
 
 +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문화유산해설문]]
 
[[분류:서울특별시 문화유산]]
 
[[분류:서울특별시 문화유산]]
 +
[[분류:서울특별시 종로구 문화유산]]
 
[[분류:사적]]
 
[[분류:사적]]
 +
[[분류:금석문]]
 
[[분류:종묘]]
 
[[분류:종묘]]
 
[[분류:2022 영문집필]]
 
[[분류:2022 영문집필]]

2023년 4월 10일 (월) 11:37 기준 최신판

해설문

국문

‘각자’는 나무 판이나 돌 등에 글자를 새기는 것 또는 새긴 글자를 말한다. 종묘 외곽 담장에는 82개의 각자가 있다. 이 각자 중 육십갑자를 새긴 73개는 『승정원일기』에 종묘 담장을 수리한 후 수리 연도를 새겨 후세에 알리라는 기록으로 보아 담장 공사를 했던 당시 연도를 새긴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각자 9개에는 일본식 연호로 수리 연도가 새겨져 있다. 이는 『종묘일지』에 1932년과 1933년에 담장을 수리했다는 기록으로 확인할 수 있다.

영문

Inscriptions on Outer Enclosure Wall of Jongmyo Shrine

On the outer enclosure wall of Jongmyo Shrine, there are 82 inscriptions that are presumed to record the years in which the wall was repaired or renovated. Among them, 73 record the year according to the sexagenary calendar cycle, while nine date to 1932 and 1933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and record the year according to the Emperor of Japan’s reign year. This practice of inscribing the years of repairs and renovations on the outer enclosure wall of Jongmyo Shrine is described in historical records such as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 (Seungjeongwon ilgi) and the Diaries of the Custodians of Jongmyo Shrine (Jongmyo ilji).

영문 해설 내용

종묘 외곽담장에는 담장을 수리·보수한 해를 기록한 것으로 보이는 글자가 총 82개소에 새겨져 있다. 이 중 73개는 60간지를 사용해 연도를 표시하였고, 9개는 1932년과 1933년에 해당하는 것으로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에 일왕의 연호를 사용하였다. 담장의 수리·보수 연도를 종묘 외곽담장에 새기는 이러한 관행은 『승정원일기』와 『종묘일지』와 같은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갤러리

참고자료

주석

  1. 『종묘 외곽담장 기초현황 자료조사 용역』,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종묘관리소, 2019, 77쪽.
  2. 『종묘 외곽담장 기초현황 자료조사 용역』,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종묘관리소, 2019, 7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