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산청 소남리 권씨고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사진=산청소남리권씨고가.jpg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1640000 산청 소남리...)
 
1번째 줄: 1번째 줄:
 
{{진행중}}
 
{{진행중}}
 
{{문화유산정보
 
{{문화유산정보
|사진=산청소남리권씨고가.jpg
+
|사진=
|사진출처=[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3413801640000 산청 소남리 권씨고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사진출처=
 
|대표명칭=산청 소남리 권씨고가
 
|대표명칭=산청 소남리 권씨고가
 
|영문명칭=
 
|영문명칭=

2022년 8월 2일 (화) 20:24 판


산청 소남리 권씨고가
대표명칭 산청 소남리 권씨고가
한자 山淸 召南里 權氏古家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64호
지정일 1986년 8월 6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4동
웹사이트 산청 소남리 권씨고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산청 소남리 권씨고가는 안채와 사랑채, 헛간채가 앞뒤로 나란히 위치한 ‘三’자형 배치를 이루는 남부지방의 민가이다.

안채는 앞면 8칸, 옆면 2칸의 큰 규모로, ‘一’자형 모양의 건물이다. 처음에는 앞면 6칸에 대청과 부엌, 방을 둔 일반적인 남부지방 건물의 형태였으나, 오른쪽으로 누마루* 형식의 대청과 왼쪽으로 부엌에 필요한 물건을 보관하는 광을 추가로 설치하였다.

사랑채는 앞면 2칸, 옆면 2칸 규모로 안채와 앞뒤로 나란히 위치한다. 1칸의 마루를 중심으로 왼쪽에는 2칸의 고방**을 두고, 오른쪽에는 방 뒤로 좁은 툇마루를 둔 3칸의 온돌방이 위치한다. 왼쪽의 고방 2칸과 가장 오른쪽의 온돌방 1칸은 안채가 있는 뒤쪽에만 문을 달고 앞쪽으로는 문 없이 넓은 창만 설치하였다.

권씨고가가 위치한 경사지형에 맞추어 사랑채 뒤쪽으로는 기단을 두지 않고 온돌방 뒤로 좁고 긴 툇마루를 설치하여 안채 마당에서 사랑채로 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배려하였다.


  • 누마루 : 다락처럼 높게 만든 마루.
  • 고방(庫房) : 세간이나 그 밖의 여러 가지 물건을 넣어두는 곳인 ‘광’의 원말.

영문

영문 해설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