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문화유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4번째 줄: 4번째 줄:
 
| style="width:10%; background:#BDCFE1; text-align:center" | '''유형문화재''' || 건조물, 전적(典籍), 서적(書跡),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考古資料)
 
| style="width:10%; background:#BDCFE1; text-align:center" | '''유형문화재''' || 건조물, 전적(典籍), 서적(書跡),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考古資料)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
파일:화서문1.jpg | 수원 화성
 +
파일:BHST Bongjeongsa Geungnakjeon.jpg | 안동 봉정사 극락전
 +
파일: 조선왕조실록_태백산.jpg | 조선왕조실록 태백산사고본
 +
파일: 연소답청.jpg | 신윤복 필 풍속도 화첩
 +
파일:부산진순절도.jpg | 부산진 순절도
 +
파일: 이이남매화회문기.jpg | 이이 남매 화회문기
 +
파일: 파주용미리마애이불입상.jpg | 파주 용미리 마애이불입상
 +
파일:울주대곡리반구대암각화.jpg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
파일: 청자오리모양연적.jpg | 청자 오리모양 연적
 +
파일: 도기기마인물형명기.jpg |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
</gallery>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17번째 줄: 29번째 줄:
 
*전통적 놀이·축제 및 기예·무예
 
*전통적 놀이·축제 및 기예·무예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
</gallery>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 style="width:10%; background:#BDCFE1; text-align:center"| '''민속문화재''' || 의식주, 생업, 신앙, 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이나 관습에 사용되는 의복, 기구, 가옥 등으로서 국민생활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
 
| style="width:10%; background:#BDCFE1; text-align:center"| '''민속문화재''' || 의식주, 생업, 신앙, 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이나 관습에 사용되는 의복, 기구, 가옥 등으로서 국민생활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
 +
</gallery>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30번째 줄: 47번째 줄:
 
*동물(서식지, 번식지, 도래지 포함), 식물(자생지 포함), 지형,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역사적·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
 
*동물(서식지, 번식지, 도래지 포함), 식물(자생지 포함), 지형,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역사적·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
 +
</gallery>
  
 
=='''지정 및 등록 여부에 따른 분류'''==
 
=='''지정 및 등록 여부에 따른 분류'''==
116번째 줄: 136번째 줄:
 
**지역의 역사·문화적 배경이 되고 있으며, 그 가치가 일반에게 널리 알려진 것
 
**지역의 역사·문화적 배경이 되고 있으며, 그 가치가 일반에게 널리 알려진 것
 
**기술발전 또는 예술적 사조 등 그 시대를 반영하거나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기술발전 또는 예술적 사조 등 그 시대를 반영하거나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
 +
</gallery>
  
 
===문화재자료===
 
===문화재자료===
 
*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을 시도조례에 따라 지정한 것.
 
*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을 시도조례에 따라 지정한 것.
 +
<gallery mode=packed heights=230px>
  
 
+
</gallery>
 
 
  
 
=='''참고자료'''==
 
=='''참고자료'''==

2019년 3월 7일 (목) 12:20 판

문화재의 유형에 따른 분류

유형문화재 건조물, 전적(典籍), 서적(書跡), 고문서, 회화, 조각, 공예품 등 유형의 문화적 소산으로서 역사적·예술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과 이에 준하는 고고자료(考古資料)
무형문화재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 전통적 공연·예술
  • 공예, 미술 등에 관한 전통기술
  • 한의약, 농경·어로 등에 관한 전통지식
  • 구전 전통 및 표현
  • 의식주 등 전통적 생활관습
  •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儀式)
  • 전통적 놀이·축제 및 기예·무예
민속문화재 의식주, 생업, 신앙, 연중행사 등에 관한 풍속이나 관습에 사용되는 의복, 기구, 가옥 등으로서 국민생활의 변화를 이해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것
기념물
  • 절터, 옛무덤, 조개무덤, 성터, 궁터, 가마터, 유물포함층 등의 사적지(史蹟地)와 특별히 기념이 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큰 것
  •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
  • 동물(서식지, 번식지, 도래지 포함), 식물(자생지 포함), 지형,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역사적·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

지정 및 등록 여부에 따른 분류

지정 및 등록 여부 종목 주체
지정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문화재청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시도지정문화재 시도유형문화재 시·도지사
시도기념물
시도무형문화재
시도민속문화재
등록문화재 국가등록문화재 문화재청
시도등록문화재 시·도지사
비지정문화재 문화재자료 시·도지사


지정문화재

지정 주체 / 속성 유형문화재 기념물 무형문화재 민속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국가무형문화재 국가민속문화재
시도지정문화재 시도유형문화재 시도기념물 시도무형문화재 시도민속문화재

국가지정문화재

국보 보물에 해당하는 문화재 중 인류문화의 관점에서 볼 때 그 가치가 크고 유례가 드문 것.
보물 건조물·전적·서적·고문서·회화·조각·공예품·고고자료·무구 등의 유형문화재 중 중요한 것.
사적 선사유적, 성곽, 고분, 도요지, 지석묘, 사지, 패총 등과 역사적으로 특별히 기념될 만한 지역과 시설물.

수원 화성 서울 풍납동 토성 경주 황룡사지

명승 경승지로서 중요한 것.
천연기념물 동물(서식지·번식지·도래지 포함), 식물(자생지 포함), 지질·광물로서 중요한 것.
국가무형문화재 여러 세대에 걸쳐 전승되어 온 무형의 문화적 유산 중 역사적, 학술적, 예술적, 기술적 가치가 있는 것. 지역 또는 한국의 전통문화로서 대표성을 지닌 것. 사회문화적 환경에 대응하여 세대 간의 전승을 통해 그 전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
국가민속문화재 의식주·생산·생업·교통·운수·통신·교역·사회생활·신앙 민속·예능·오락·유희 등으로서 중요한 것

등록문화재

  •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 건설·제작·형성된 후 50년 이상이 지난 것으로서 보존과 활용을 위한 조치가 특별히 필요하여 등록한 문화재.
    • 역사, 문화, 예술, 사회, 경제, 종교, 생활 등 각 분야에서 기념이 되거나 상징적 가치가 있는 것
    • 지역의 역사·문화적 배경이 되고 있으며, 그 가치가 일반에게 널리 알려진 것
    • 기술발전 또는 예술적 사조 등 그 시대를 반영하거나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

문화재자료

  •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 향토문화 보존에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을 시도조례에 따라 지정한 것.

참고자료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