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구미 죽장리 이정표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영문)
38번째 줄: 38번째 줄:
 
'''Stone Post in Jukjang-ri, Gumi'''
 
'''Stone Post in Jukjang-ri, Gumi'''
  
This granite stone post was erected in Seonsan-dohobu Government Office to mark the distance of the road between Sangju and Seonsan (today’s Gumi area). Seonsan-dohobu Government Office operated from 1415 to 1894 and this stone post is presumed to have been erected between 1485 and 1789.
+
This granite post was erected presumably sometime between 1485 and 1789 to mark the distance along the road between Sangju and Seonsan (today’s Gumi area).  
 
+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stone posts such as this one were erected every 10 ''ri'' (~5 km) along a road and were inscribed with the name of the nearby village. This post is no exception. The inscription on the front of the post reads, "[This post] stands 10 ''ri'' to the west of the walled town of the Seonsan-dohobu Government Office and the village's name is Gobangsong," referring to Gobangsil Village within Jukjang-ri. The back of the stone was left unhewn without an inscription. The Seonsan-dohobu Government Office, which would have been responsible for the installation of this post, served as the center of local administration from 1415 to 1894.
The front side of the stone post is inscribed with the calligraphy “Located at a distance of 10 ''ri''” (equivalent to 5 kilometers) to the west of Seonsan-dohobu Government Office’s district(?), the name of the village is “Gobangsong (古方松)”. Gobangsong refers to Gobangsil Village in Jukjang-ri where this stone post is located. The condition of the back side is an unhewn natural stone which is not inscribed with characters. According to ''National Code'' (Gyeongguk daejeon), the national code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a small stone post inscribed with a village’s name was erected each 10 “''ri''” of the roads and the stone post in Jukjang-ri honestly maintains the style of this national code.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4년 6월 17일 (월) 21:09 판


구미 죽장리 이정표석
구미 죽장리 이정표석,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대표명칭 구미 죽장리 이정표석
한자 龜尾 竹杖里 里程標石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죽장리 1163
지정번호 경상북도 문화유산자료
지정일 2022년 9월 5일
분류 유적건조물 / 교통통신 / 교통 / 도로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구미 죽장리 이정표석,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이정표석은 두 지점 사이 길의 거리를 표시하기 위해 세우는 도로 표지석을 뜻한다. 구미 죽장리 이정표석은 조선시대 선산도호부*에서 상주에서 선산부로 이어지는 선산부 서쪽 관도**에 세운 이정표석이다.

표석은 화강석으로 만들었다. 앞면은 평평하게 다듬어 “부치서십리 방명고방송(府治西十里 坊名古方松, 선산도호부 읍치에서 서쪽으로 10리 거리에 있으며 마을 이름은 ‘고방송(古方松)’이다)”이라는 글씨를 새겼다. 뒷면은 다듬지 않은 자연석 상태이며 글자도 새기지 않았다. 조선시대의 법전 『경국대전***』의 외방 도로 표지 법제에 따르면 10리마다 소후****를 세워 마을 이름을 새기도록 하였는데, 죽장리 이정표석은 이러한 법전 형식을 충실하게 지키고 있다.

이정표석을 세운 때는 『경국대전』을 펴낸 1485년 이후부터 『호구총수』를 펴낸 1789년경 사이 어느 시기에 세운 것으로 보인다.


  • 선산도호부(善山都護府): 1415년부터 1894년까지 현재의 경상북도 구미 선산 지역에 설치되었던 지방 행정 기관.
  • 관도(官道): 예전에 나라에서 관리하던 주요 도로.
  • 경국대전(經國大典): 조선시대 최초의 법전.
  • 소후(小堠): 조선시대 지방 도로의 10리마다 세웠던 작은 이정표.

영문

Stone Post in Jukjang-ri, Gumi

This granite post was erected presumably sometime between 1485 and 1789 to mark the distance along the road between Sangju and Seonsan (today’s Gumi area). During the Joseon period (1392-1910), stone posts such as this one were erected every 10 ri (~5 km) along a road and were inscribed with the name of the nearby village. This post is no exception. The inscription on the front of the post reads, "[This post] stands 10 ri to the west of the walled town of the Seonsan-dohobu Government Office and the village's name is Gobangsong," referring to Gobangsil Village within Jukjang-ri. The back of the stone was left unhewn without an inscription. The Seonsan-dohobu Government Office, which would have been responsible for the installation of this post, served as the center of local administration from 1415 to 1894.

영문 해설 내용

이 화강암 표석은 상주와 선산(지금의 구미 지역) 사이 길의 거리를 표시하기 위해 선산도호부에서 세웠다. 선산도호부는 1415년부터 1894년까지 운영되었으며, 이 표석은 1485년과 1789년 사이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표석 앞면에는 “선산도호부 읍치에서 서쪽으로 10리 거리에 있으며 마을 이름은 ‘고방송(古方松)’이다)”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고방송은 이 표석이 위치한 죽장리 고방실마을을 가리킨다. 뒷면은 다듬지 않은 자연석 상태이며 글자도 새기지 않았다. 조선시대의 법전인 『경국대전』에 따르면, 지방 도로의 10리마다 작은 이정표를 세워 마을 이름을 새기도록 하였는데, 죽장리 이정표석은 이러한 법전 형식을 충실하게 지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