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문)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35번째 줄: 35번째 줄:
  
 
===영문===
 
===영문===
 +
'''Baegunjeong Pavilion and Gaehosongsup Pine Grove, Andong'''
  
 +
Baegunjeong Pavilion was established in 1568 by the scholar Kim Su-il (1528-1583) of the Uiseong Kim clan. Surrounded by lush vegetation, it commands a spectacular view of Gaehosongsup Pine Grove stretching along the opposite bank of the Bannyeoncheon Stream, a tributary of the Nakdonggang River. The whole area is also of historical importance due to its connection to Naeap Village, a clan village of the Uiseong Kim clan.
 +
 +
The history of Naeap Village begins at the end of the 15th century when Kim Man-geun (1446-1500) settled here. It has since remained home to many generations of the Uiseong Kim clan with many preserved old houses, including the head house of the clan (Treasure), and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clan village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Kim Su-il, a great-grandson of Kim Man-geun, built Baegunjeong Pavilion on the land that he received from his father Kim Jin (1500-1580). The pavilion was built on a hillside to enjoy the picturesque view of the pine grove and Naeap Village.
 +
 +
Located on the crescent-shaped island in the middle of the stream is another pine grove, which is said to have been originally planted by Kim Man-geun himself. It is said he did so to enhance the energy of the local terrain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feng shui'' principles and to protect the nearby farmland. The original trees were lost during a severe flood in 1605 and were replanted by Kim Su-il’s eldest son Kim Yong (1557-1620) in 1617. It was then that the clan formulated a guideline to protect the grove. The guideline states that those who honor their clan and revere their great ancestor, who planted pines to protect the clan’s land, must use all their strength in the interest of preserving these trees.
 +
 +
The grove was quite large and dense up until the 1980s, but the number of trees has declined since the construction of Imha Dam. Nonetheless, the grove still holds an important cultural value due to its documented origin and history of maintenance.
  
 
===영문 해설 내용===
 
===영문 해설 내용===

2024년 6월 24일 (월) 20:26 기준 최신판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
Baegunjeong Pavilion and Gaehosongsup Pine Grove, Andong
대표명칭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
영문명칭 Baegunjeong Pavilion and Gaehosongsup Pine Grove, Andong
한자 安東 白雲亭 및 開湖松 숲 一圓
주소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천전리 93-1번지 등
지정번호 명승 제26호
지정일 2007년 12월 7일
분류 자연유산/명승/문화경관
수량/면적 238,822㎡
웹사이트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은 조선 선조 1년인 1568년 김수일(金守一)이 세운 백운정과 인근의 숲, 강변 송림이 낙동강의 지류인 반변천과 잘 어우러진 명승이다. 또한 이 일대는 의성 김씨 집성촌*인 내앞(川前)마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씨족 마을의 모습을 보여 주는 역사적 가치를 지닌 곳이다.

내앞마을은 15세기 말 김만근이 정착한 이래로 의성 김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고 있으며, 의성 김씨 종택(보물)을 비롯한 많은 고택이 보존되어 있다. 김만근의 증손 김수일은 아버지 김진으로부터 땅을 받아 백운정을 세웠고, 강 언덕 위에서 내앞마을과 개호송 숲을 한 폭의 그림으로 조망할 수 있게 하였다.

반변천 한가운데 반월형의 모래섬 위에 있는 개호송 숲은 김만근이 처음 조성한 것으로 전해진다. 풍수지리상 주변 지형의 모자란 기운을 채우고, 내앞마을의 농경지를 보호하기 위해 소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원래의 숲은 1605년 대홍수 때 유실되었고, 1617년 김수일의 맏아들 김용이 다시 조성하였다. 이때 의성 김씨 문중에서는 숲을 보호하기 위해 「개호금송완의開湖禁松完議」라는 규약을 만들었는데, 여기에는 ‘선조가 가문의 터전을 보호하기 위해 소나무를 심었으니, 선조를 높이고 가문을 중히 생각하는 자는 내앞을 지키는 소나무를 보호하는 데 힘을 다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개호송 숲은 198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넓고 울창했지만, 임하댐이 건설되면서 소나무의 개체 수가 줄어든 편이다. 그러나 마을 숲으로서의 조성 경위가 밝혀져 있고, 숲의 관리에 대한 사료가 전해진다는 점에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집성촌(集姓村): 같은 성(姓)을 가진 사람들이 모여 사는 촌락.

영문

Baegunjeong Pavilion and Gaehosongsup Pine Grove, Andong

Baegunjeong Pavilion was established in 1568 by the scholar Kim Su-il (1528-1583) of the Uiseong Kim clan. Surrounded by lush vegetation, it commands a spectacular view of Gaehosongsup Pine Grove stretching along the opposite bank of the Bannyeoncheon Stream, a tributary of the Nakdonggang River. The whole area is also of historical importance due to its connection to Naeap Village, a clan village of the Uiseong Kim clan.

The history of Naeap Village begins at the end of the 15th century when Kim Man-geun (1446-1500) settled here. It has since remained home to many generations of the Uiseong Kim clan with many preserved old houses, including the head house of the clan (Treasure), and is considered a representative clan village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Kim Su-il, a great-grandson of Kim Man-geun, built Baegunjeong Pavilion on the land that he received from his father Kim Jin (1500-1580). The pavilion was built on a hillside to enjoy the picturesque view of the pine grove and Naeap Village.

Located on the crescent-shaped island in the middle of the stream is another pine grove, which is said to have been originally planted by Kim Man-geun himself. It is said he did so to enhance the energy of the local terrain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feng shui principles and to protect the nearby farmland. The original trees were lost during a severe flood in 1605 and were replanted by Kim Su-il’s eldest son Kim Yong (1557-1620) in 1617. It was then that the clan formulated a guideline to protect the grove. The guideline states that those who honor their clan and revere their great ancestor, who planted pines to protect the clan’s land, must use all their strength in the interest of preserving these trees.

The grove was quite large and dense up until the 1980s, but the number of trees has declined since the construction of Imha Dam. Nonetheless, the grove still holds an important cultural value due to its documented origin and history of maintenance.

영문 해설 내용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은 김수일(1528-1583)이 1568년에 세운 백운정과 인근의 숲, 강변 송림이 낙동강의 지류인 반변천과 어우러져 뛰어난 절경을 자아내는 명승이다. 또한 이 일대는 의성김씨 집성촌인 내앞마을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조선시대 대표적인 씨족 마을의 모습을 보여주는 역사적 가치를 지닌 곳이다.

내앞마을은 15세기 말 김만근(1446-1500)이 정착한 뒤로 의성김씨 후손들이 대대로 살고 있으며, 의성김씨 종택(보물)을 비롯한 많은 고택이 보존되어 있다. 김수일은 김만근의 증손으로 아버지인 김진(1500-1580)으로부터 땅을 받아 백운정을 세웠고, 강 언덕 위에서 내앞마을과 개호송 숲을 한 폭의 경관으로 조망할 수 있게 하였다.

반변천 한가운데 반월형의 모래섬 위에 있는 개호송 숲은 김만근이 처음 조성한 것으로 전해진다. 풍수지리상 주변 지형의 모자란 기운을 채우고 내앞마을의 농경지를 보호하기 위해 소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원래의 숲은 1605년 대홍수 때 유실되었고, 1617년 김수일의 맏아들 김용(1557-1620)이 다시 조성하였다. 이때 의성김씨 문중에서는 숲을 보호하기 위한 규약을 만들었는데, 이 규약은 ‘선조가 가문의 터전을 보호하기 위해 소나무를 심었으니, 선조를 높이고 가문을 중히 생각하는 자는 내앞을 지키는 소나무를 보호하는 데 힘을 다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개호송 숲은 198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넓고 울창했지만, 임하댐이 건설되면서 소나무의 개체 수가 줄어들었다. 그러나 마을 숲으로서의 조성 경위가 밝혀져 있고 숲의 관리와 관련한 사료가 전해진다는 점에서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