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만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전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화성 만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전적
Wooden Seated Sakyamuni Buddha Triad and Excavated Documents of Manuisa Temple, Hwaseong
대표명칭 화성 만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전적
영문명칭 Wooden Seated Sakyamuni Buddha Triad and Excavated Documents of Manuisa Temple, Hwaseong
한자 華城 萬儀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및 腹藏典籍
지정(등록) 종목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지정(등록)일 2024년 4월 30일
분류 유물 / 불교조각 / 목조 / 불상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3구 9점
웹사이트 화성 만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복장전적, 국가유산포털, 국가유산청.



해설문

국문

만의사 대웅전에는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아미타여래좌상과 약사여래좌상으로 구성된 삼존불이 봉안되어 있다.

중앙의 석가여래좌상의 높이는 113㎝, 왼쪽 아미타여래좌상의 높이는 96㎝, 오른쪽 약사여래좌상의 높이는 93㎝이다. 삼존불은 크기를 통해 위계를 명확히 알 수 있다. 삼존불의 이목구비는 균형 있게 조각되었으며, 대의* 주름은 깊고 선명하게 표현되었다. 이는 조선 후기 불상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양 옆의 협시불 역시 본존과 유사한 조형적 특징을 지니며, 좌우 대칭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내부에서는 『묘법연화경』 7종 22권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서로 다른 시기와 장소에서 제작된 목판에서 인출*된 것이다. 이 중 일부 판본*은 15세기부터 16세기에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에서 간행된 것으로 확인된다. 『묘법연화경』과 함께 「상량문」도 발견되었는데, 이를 통해 대웅전이 1761년에 중창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17세기 이후 불상은 대개 조각 기술에 능숙한 스님들이 제작하였는데, 만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금문 스님이 제작한 작품이다. 금문 스님은 경기도 남부를 중심으로 전국 여러 사찰에서 불상을 만들며 활동한 조선 후기의 주요 조각승 중 한 명으로 평가된다.

만의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과 내부 복장전적은 조선 후기 불교 조각사에서 중요한 자료로 학술적·서지학적 가치가 크다.


  • 대의(大衣):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불상·보살상이 착용한 의복 중 가장 바깥쪽에 걸치는 옷.
  • 인출(印出): 전통적인 목판 인쇄 방식으로, 목판에 새겨진 글자를 종이에 먹으로 찍어 내는 작업. 주로 불교 경전, 문헌 혹은 중요한 기록물을 대량으로 제작하기 위해 활용되었다.
  • 판본(板本): 특정 목판(木板)에서 인출된 책이나 경전.

영문

Wooden Seated Sakyamuni Buddha Triad and Excavated Documents of Manuisa Temple, Hwaseong

This wooden triad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of Manuisa Temple depicts the Buddhas of the Three Realms. This triad comprises the buddhas of the east and past, the here and now, and the west and future, namely Bhaisajyaguru (the Medicine Buddha), Sakyamuni (the historical Buddha), and Amitabha (the Buddha of the Western Paradise). All three statues were made in the 17th century by the monk artisan Geummun, one of the leading Buddhist sculptors of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who was active in temples across the country, but primarily in the southern Gyeonggi region.

Each buddha sits atop a wooden pedestal. The Sakyamuni image in the center measures 113 cm in height, while the Bhaisajyaguru and Amitabha images on the right and left measure 96 cm and 93 cm, respectively, thus clearly emphasizing Sakyamuni’s prominence at the triad’s principal buddha. The postures of the two attendant buddhas are reflected symmetrically. The images feature well-balanced facial features, while the folds of their robes are deeply and prominently carved, reflecting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late-Joseon Buddhist sculpture.

Various documents were discovered inside the statues, including 22 volumes of the Lotus Sutra in seven different editions. The editions were printed using woodblocks from varying locations and periods, including those from the Gyeonggi and Chungcheong regions betwee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Along with the Lotus Sutra, a document recording the reconstruction of Daeungjeon Hall in 1761 was also found.

영문 해설 내용

만의사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이 목조 삼불상은 삼세의 부처를 나타낸 것으로, 약사여래, 석가여래, 아미타여래로 구성되어 있다. 약사여래는 동방(東方)의 부처이면서 과거불이고, 석가여래는 이 세계의 부처이면서 현세불이며, 아미타여래는 서방(西方)의 부처이면서 미래불이다. 세 불상 모두 17세기에 승려조각가 금문이 만들었다. 금문은 경기도 남부를 중심으로 전국 여러 사찰에서 불상을 만들며 활동한 조선 후기의 주요 승려 조각가 중 한 명이다.

각 불상은 목조로 만든 대좌 위에 앉아 있다. 석가여래상의 높이는 113㎝, 왼쪽의 아미타여래상의 높이는 96㎝, 오른쪽의 약사여래상의 높이는 93㎝로, 본존불인 석가여래를 가장 크게 만들어 위계를 명확히 나타냈다. 양옆의 협시불은 좌우 대칭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다. 삼존불의 이목구비는 균형 있게 조각되었으며, 대의의 주름은 깊고 선명하게 표현되었다. 이는 조선 후기 불상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세 불상 안에서는 『묘법연화경』 7종 22권이 발견되었다. 서로 다른 시기와 장소에서 제작된 목판으로 찍어낸 것이며, 이 중 일부 판본은 15세기부터 16세기에 경기도와 충청도 지역에서 간행된 것이다. 『묘법연화경』과 함께, 대웅전이 1761년에 중창되었음을 알려주는 「상량문」도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