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주읍성 북문(망화문)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홍주읍성 북문(망화문) 洪州邑城 北門(望華門)
Northern Gate of Hongjueupseong Walled Town (Manghwamun Gate)
Goto.png 종합안내판: 홍성 홍주읍성



해설문

국문

홍주읍성 북문은 조선 초기 성을 쌓을 때부터 출입문의 역할을 하였다. 당시에는 문루* 없이 옹성*만 있었으나 1823년 대대적으로 읍성을 보수하면서 문루를 설치한 것으로 보인다.

1870년 수리 기록과 1872년 지도에 묘사된 북문의 모양을 살펴보면, 북문은 개거식* 성문으로 정면 3칸의 팔작지붕*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문루는 1894년에 발생한 동학농민혁명 당시 서문과 함께 없어졌으며, 주변 성벽도 일제 강점기 이후 읍성 안에 민가와 공공기관이 들어서면서 대부분 훼손되었다.

2017년 발굴 조사에서는 북문지와 성벽, 옹성의 전체 현황과 구조를 확인하고, 2020년 문루를 제외한 체성*과 옹성을 복원하였다. 이후 고증을 거쳐 2024년에 문루를 세우고, 북문 일대를 복원하였다.


  • 문루(門樓): 성위에 쌓은 구조물
  • 옹성(甕城): 성문 보호 목적으로 성문 밖에 이중의 성벽을 둔 구조물
  • 개거식(開渠式): 성곽을 축조할 때 성문의 넓이만큼 성벽을 띄어 쌓고 상부에 문루를 만드는 방식
  • 팔작(八作)지붕: 지붕의 모습이 팔(八)자와 비슷한 모양
  • 체성(體城): 적의 공격을 막아내기 위해 성곽을 둘러싼 성벽

영문

Northern Gate of Hongjueupseong Walled Town (Manghwamun Gate)

Manghwamun Gate served as the northern gate of Hongjueupseong Walled Town from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until 1894, when it was destroy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adjacent fortress walls were also lost through urban develop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e current structure, which consists of an arched stone passageway and wooden pavilion, was built in 2020-2024 based on historical records from the 1870s and the findings of an archaeological excavation conducted in 2017. The gate features a semi-circular wall on the outside for added defense, while the wooden pavilion has a hip-and-gable roof and measures three bays in width.

영문 해설 내용

망화문은 조선 초기부터 홍주읍성의 북문으로 사용되었고, 1894년 동학농민혁명 때 없어졌다. 주변의 성벽도 일제강점기 때 도시 개발에 따라 훼손되었다. 현재 이 문은 돌로 쌓은 문과 목조 문루로 이루어져 있으며, 1870년대의 기록과 2017년 발굴조사 결과를 토대로 2020년~2024년에 복원하였다. 망화문에는 방어력을 높이기 위해 바깥에 옹성을 세웠고, 문루는 정면 3칸 규모에 팔작지붕을 얹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