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봉서정, 도촌별묘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합천 봉서정‧도촌별묘
Bongseojeong Pavilion and Dochonbyeolmyo Shrine, Hapcheon
합천 봉서정‧도촌별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합천 봉서정‧도촌별묘
영문명칭 Bongseojeong Pavilion and Dochonbyeolmyo Shrine, Hapcheon
한자 陜川 鳳棲亭⋅陶村別廟
주소 경상남도 합천군 봉산면 압곡리 716 봉서정과 도촌별묘
지정(등록) 종목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5호
지정(등록)일 1983년 8월 12일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서당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2동
웹사이트 합천 봉서정‧도촌별묘,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봉서정은 오계 조정립(梧溪 曺挺立, 1583~1660)이 정주목사(定州牧使)와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후 고향으로 돌아와 1623년(인조1)에 지은 건물로, 후학을 양성하고 인근의 학자들과 교류하면서 지낸 곳이다. ‘봉이 머무르는 정자’라는 뜻의 봉서정은 경치를 바라보기 위해 벽을 두지 않는 정자(亭子)의 형태가 아니라, 남부지방의 ‘일(ㅡ)’자형 민가와 비슷하다.

도촌별묘는 도촌 조응인(陶村 曺應仁, 1556~1624)과 그의 아들 조정립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별도의 담장을 둘러서 경계를 구분하고, 봉서정 뒤쪽에 계단을 두어 중문을 통해 출입할 수 있게 하였다.

공부하는 봉서정이 앞에 있고, 사당이 뒤에 있다. 건물의 배치 형태로 미루어 자연을 감상하고 심신을 휴양하는 정자의 역할보다 조상을 모시고 학문을 닦으며 후학을 지도하는 서원의 성격이 크다. 이 건물들은 본래 이곳에서 4㎞ 정도 떨어진 금봉천 변에 있었다. 그러나 합천댐의 건설로 그곳이 물에 잠기게 되자, 1988년에 이곳으로 옮겨왔다.

영문

Bongseojeong Pavilion and Dochonbyeolmyo Shrine, Hapcheon

Bongseojeong Pavilion was built in 1623 by Jo Jeong-rip (1583-1660),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as a place for teaching his students. Its name means “Pavilion Where the Phoenix Resides.” Dochonbyeolmyo Shrine, located behind the pavilion, was built to enshrine the spirit tablet of Jo Jeong-rip’s father, Jo Eung-in (1556-1624, pen name: Dochon). Jo Jeong-rip’s spirit tablet was added to the shrine after his death.

Jo Jeong-rip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609 and served various official posts. When he retired and returned to his hometown, he dedicated himself to teaching his students and having discussions with other scholars living nearby.

These buildings originally stood on the bank of Geumbongcheon Stream, but were moved to their current location in 1988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Hapcheon Dam. The pavilion and the shrine are each surrounded by their own stone enclosure wall. There is a staircase and an inner gate leading from the pavilion to the shrine. The shrine’s location on higher ground denotes its greater status.

영문 해설 내용

봉서정은 조선시대의 문신인 조정립(1583-1660)이 후학을 양성하기 위해 1623년에 지은 건물이다. 봉서정이라는 이름은 ‘봉황이 머무르는 정자’라는 뜻이다. 봉서정 뒤에 있는 도촌별묘는 조정립이 아버지 조응인(1556-1624, 호: 도촌)의 위패를 모시기 위해 지은 사당이다. 조정립이 죽은 후 그의 위패도 함께 모셔졌다.

조정립은 1609년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다. 벼슬에서 물러나 고향으로 돌아온 후에는 봉서정에서 후학 양성에 힘쓰며 인근의 학자들과 교류하였다.

이 건물들은 원래 금봉천 변에 있었으나, 합천댐의 건설로 1988년 이곳으로 옮겨왔다. 봉서정과 도촌별묘는 각각 별도의 담장을 둘러 영역을 구분하였고, 봉서정 영역과 도촌별묘 영역 사이에는 계단과 중문을 두었다. 사당을 뒤편 높은 곳에 두어 위엄을 나타냈다.

참고자료

  • 현재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는 봉서정이 창건된 해를 1623년이라고 함. 조정립의 후손은 조정립이 남긴 간찰의 내용을 토대로 봉서정이 1644년에 건립된 것으로 주장함. 확인 필요.
  • 합천 봉서정과 도촌별묘(경상남도 유형문화재 235호), 여행&사진,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dbsqkqh/2166 -> 실제 답사 사진(2012) ; 벽에 나무판 벽을 세운 건물 사진이 있는데, 어떤 건물인지 알 수 없음.
  • 봉서정과 도촌별묘, 닥마들,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shinh-k791104/4920 -> 옮긴 위치 지도 표시, 실제 답사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