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천 묵와고택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합천 묵와 고택
Mugwa House, Hapcheon
합천 묵와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합천 묵와 고택
영문명칭 Mugwa House, Hapcheon
한자 陜川 默窩 古宅
주소 경상남도 합천군 묘산면 화양안성길 150-6 (화양리)
지정(등록) 종목 국가민속문화재 제206호
지정(등록)일 1984년 12월 24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주거건축/가옥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5필지/2,021㎡
웹사이트 합천 묵와고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이 고택은 조선 선조 때 선전관을 지낸 윤사성(尹思晟)이 지었다고 전하며, 윤사성의 10대손인 독립운동가 만송(晩松) 윤중수(尹中洙, 1891~1931)의 생가이기도 하다. 가야산에서 뻗어 내린 해발 1,000미터가 넘는 산속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처음 지을 당시에는 집터가 600평에 달할 정도로 넓었다고 한다.

현재는 솟을대문을 들어서면 경내에 안채, 사랑채, 행랑채, 문간채, 사당, 헛간 등의 건물이 짜임새 있게 배치되어 있고, 남녀 생활공간과 동선을 엄격하게 구분하고 있다. 특히 사랑채의 높은 누각식 마루는 조선시대 양반 주택의 권위와 품격을 잘 표현하고 있으며, 기둥과 대들보 등 목부재의 견실한 맞춤과 세련된 형식은 조선 중기 양반집의 특징을 잘 보여 준다.

대문채는 5칸 규모이고 그 안쪽 마당 왼편에 높게 자리잡은 사랑채가 있다. 사랑채에는 4칸 크기의 내루(內樓)가 돌출해 있고 중랑채가 그 동편으로 이어지고 있다. 중랑채의 중문을 통해 안마당에 들어서면 높은 댓돌 위에 자리잡고 있는 안채가 있다. 사랑채는 맞배지붕 건물이지만 내루 앞 부분은 합각(合閣)을 세운 팔작지붕으로 되어 있다. 안채는 ㄴ자형 홑처마 맞배지붕 건물로서 대청이 6칸으로 넓게 조성되어 있다.

이 고가와 관련하여 영사재(永思齋)는 윤사성의 6대조가 후학을 양성하기 위하여 지은 것으로 현재 전하고 있다. 일제시대 유생들이 중심이 된 독립청원서 파리장서(巴里長書)에 서명한 윤중수(尹中洙)도 이 집안의 인물이다.

영문

Mugwa House, Hapcheon

This house is said to have been built by Yun Sa-seong (1557-1619), a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Hwayang-ri Village, where the house is located, has been home to many generations of the Papyeong Yun Clan, ever since the civil official Yun Jang moved here in the mid-15th century. The house’s name comes from the pen name of Yun Sa-seong’s great-great-grandson Yun U (1784-1836) and means “Silent House."

The house is located at the foot of Dumusan Mountain (1,036 m above sea level). It is said that the total area of the property once surpassed 2,000 m². Because of the sloping terrain, retaining walls were constructed to create three levels. On the lower level is a main gate quarters, a men’s quarters, and a servants’ quarters. On the middle level is a women’s quarters and a storehouse, and on the upper level is a family shrine. The shrine is surrounded by an enclosure wall to separate the residential and ritual areas of the property. The location of the men’s and women’s quarters in separate sections of the property is in accordance with the Confucian custom of separation of the sexes. The large wooden veranda extending from the front of the men’s quarters is a prominent feature which evokes the prestige and elegance of Joseon-period upper-class houses.

This house was also the birthplace of Yun Jung-su (1891-1931), a 10th-generation descendant of Yun Sa-seong and a prominent leader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In 1919, following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Confucian scholars nationwide planned to submit a petition to the Paris Peace Conference for Korea’s independence from imperial Japan’s rule. The petition was signed by 137 representatives from the Confucian community, including Yun Jung-su. He actively collected money to help finance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devoted his whole life to struggle against the Japanese colonial regime.

Yugudang Ritual House (Gyeongsangnam-do Cultural Heritage Material No. 556), dedicated to the six sons of Yun U, is located in the house’s vicinity.

영문 해설 내용

이 집은 조선시대의 문신 윤사성(1557-1619)이 지었다고 전해진다. 이 집이 위치한 화양리 마을은 윤장이 15세기 중반에 이주해 온 이후로 파평윤씨 가문의 후손들이 대대로 살고 있다. 집의 이름은 윤사성의 현손인 윤우(1784-1836, 호: 묵와)의 호에서 따온 것으로, '고요한 집'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해발 1,036m의 두무산 기슭에 자리잡고 있으며, 한때 집터가 2,000여 제곱미터에 달할 정도로 넓었다고 한다. 가파른 경사지에 집을 지었기 때문에 단을 두어 건물들을 배치하였다. 가장 아랫단에는 대문채, 사랑채, 행랑채를 두었고, 중간 단에 안채와 곳간채를 두었으며, 가장 높은 단에는 사당을 두었다. 사당은 별도의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생활공간과 제향공간을 구분하였다. 남성과 여성의 공간을 구분한 것은 남녀유별이라는 조선시대 유교 사상이 건축에 반영된 것이다. 가장 높은 단에 있는 사랑채 전면에 돌출해 있는 넓은 누마루는 조선시대 양반 주택의 권위와 품격을 잘 나타낸다.

이 집은 윤사성의 10대손인 독립운동가 윤중수(1891-1931)의 생가이기도 하다. 일제시대인 1919년 전국적으로 3.1운동이 일어난 후 유림들은 프랑스 파리에서 개최되는 강화회의에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는 서한을 제출하기로 하였다. 이에 전국의 유림대표 137명이 서명한 서한이 파리로 보내졌는데, 윤중수는 서한에 서명한 유림대표 중 한 사람이었다. 윤중수는 독립운동 자금을 모금하는 일에도 앞장섰으며, 평생 항일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가옥 인근에는 윤우의 여섯 아들을 기리기 위해 세운 재실인 육우당(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56호)이 있다.

참고자료

  • 합천 묘산 묵와고가, 들꽃-문화재 다 모여라, 네이버 블로그, 2017.03.09. https://blog.naver.com/hyeng19/220954227738 -> 집 사진 상세(실제 답사)
  • [고택을 찾아서] 7. 합천 묘산 묵와고가, 부산일보, 2018.4.11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80411000233 -> 화양리는 파평 윤씨 집성촌이다. 이 유서 깊은 집이 처음 지어진 것은 조선 인조 때 선전관을 지낸 윤사성에 의해서였다. 1650년께였다. 그 뒤로 4대에 걸쳐 증축됐다. 한때는 가세가 융성해 집의 규모가 100여 칸에 이르고, 여덟 채의 기와집이 있었다고 전하지만, 현재는 문간채, 사랑채, 행랑채, 안채, 헛간채, 사당채 등이 남았다. -> 진한 글씨 정보 확인 필요함.(집이 지어진 시기로 언급한 1650년은 인물 생몰년과 안 맞음. 4대 걸쳐 증축한 이야기는 여기에서만 확인됨.)
  • 존재를 알리고 싶지 않은 듯, 키 작은 굴뚝, 오마이뉴스, 2018.4.29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427830 -> 인조 때 윤사성이 지었다 하니 350년은 넘은 집이다. 윤사성의 현손, 묵와 윤우(1784-1836)에 이르러 가세가 번성하였다 한다. 고가 옆 육우당(六友堂)은 묵와의 여섯 아들의 뜻을 잇기 위해 후손이 건립한 제실로 묵와 이후 번창한 가세를 짐작케 한다. 묵와고가는 한창 때 600평대지에 집채만 여덟 채, 칸수는 100칸에 이르렀다. 지금은 솟을대문채, 사랑채, 안채, 중문채, 중문행랑채, 사당채만 남아 있다. 독립자금을 댄 것과 연관이 없지는 않을 터, 건국훈장애족장이나 겸손하게 대문에 달려 있는 '독립유공자의 집' 명패, 마을회관 앞에 있는 공적비로는 이 집안을 위로하기에 부족해 뵌다.
  • 한국의 전통 가옥 12 - 합천 묘산묵와고가(陜川 妙山默窩古家) (중요민속자료(206호) 기록화 보고서), 문화재청, 2006. -> 보수 실적 상세(1986년~2000년까지 10차례 보수됨.) / 건물 상세 설명 ; 가파른 구릉지에 위치한 고가는 마을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옥 전체를 따라 담장이 설치되어 있다. 남동향한 고가는 대지 북쪽에 ㄱ자형 안채를 배치하고, 안채 전면에 T자형 사랑채와 곳간채를 두어 가옥의 중심을 이루게 했으며, 좌우에 부속건물들이 배치되어 있다.사랑채와 동측면의 곳간채와의 사이에 중문을 두어 안채로 진입하도록 되어 있다. 아궁이는 모두 3개가 조사되었는데, 굴뚝이 구조물로 축조되지 않고 기단 상부면에 접한 연도를 두어 연기가 바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했다.
  • 1000미터가 넘는 산중에 은거한 합천 묘산 묵와 고가, 지역N문화. https://local.nculture.org/kt2s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