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양 법인사 감로왕도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함양 법인사 감로왕도
Buddhist Painting of Beobinsa Temple, Hamyang (The King of Sweet Dew)
함양 법인사 감로왕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함양 법인사 감로왕도
영문명칭 Buddhist Painting of Beobinsa Temple, Hamyang (The King of Sweet Dew)
한자 咸陽 法印寺 甘露王圖
주소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금성길 14, 법인사 (금천리)
지정(등록) 종목 보물 제1731호
지정(등록)일 2011년 12월 23일
분류 유물/불교회화/탱화/기타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폭
웹사이트 함양 법인사 감로왕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함양 법인사 감로왕도는 영조 2년(1726)에 채인, 일민, 태현이 조성한 불화이다. 안국암에 모시기 위해 함양군 금대암에서 만들어졌으나 지금은 함양 법인사 극락보전에 있다. 감로왕도는 지옥에서 고통 받는 중생을 구제하고 망자의 영혼을 극락으로 안내하는 내용이 담긴 불화이다. 화면 윗부분에는 칠여래, 인로왕보살, 관음보살, 지장보살이 있고, 중간에는 재단과 아귀, 법회를 주관하는 승려 등이 있다. 아래쪽에는 산불, 호랑이, 홍수 등 사람들이 죽음을 맞이하는 다양한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전체적인 화면 구성이 뛰어나고 섬세한 필선으로 그려낸 인물은 사실적이고 생동감이 있으며 차분한 색감은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현재 남아 있는 감로왕도 가운데 제작 시기가 비교적 이른 편이며 18세기 전반에 제작된 감로왕도의 양식을 잘 보여 주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영문

Buddhist Painting of Beobinsa Temple, Hamyang (The King of Sweet Dew)

The King of Sweet Dew (Gamnowangdo) is a motif of Buddhist paintings created to be used when performing a ceremony to rescue the souls suffering in hell and guide the dead to the rebirth in the Western Paradise. Sweet Dew refers to the teachings of Buddha, which embody eternal life, and to the enlightenment attained through this teaching.

This painting was made in 1726 at Geumdaeam Hermitage by the painter-monks Chaein, Ilmin, and Taehyeon. Although the painting is currently enshrined in Geungnakbojeon Hall of Beobinsa Temple, it was originally intended to be placed in Anguksa Temple in Macheon-myeon Township.

At the very top of the painting are the Seven Buddhas of Antiquity. They are flanked by the Bodhisattva of Guiding Souls to the left and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Great Compassion) and Ksitigarbha (Bodhisattva of Great Vows) to the right. The middle section of the painting depicts Buddhist monks performing a worship ceremony in front of an altar, as well as the people participating in the ceremony. A hungry ghost stands in front of the altar. At the bottom of the painting are scenes of various types of human death such as wildfire, tiger attack, and flood.

The painting can be characterized by its well-organized composition, detailed brushwork that creates realistic and dynamic figures, and soft color palette. It is one of the earliest extant paintings of its kind in Korea and a good example of the King of Sweet Dew motif during the early 18th century.

영문 해설 내용

감로왕도는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을 구제하고 망자의 영혼을 극락세계로 천도하는 의식에 사용되는 불화이다. ‘감로’란 영원한 생명을 가진 부처님의 가르침 또는 가르침에 의한 깨달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이 감로왕도는 1726년 승려 화가 채인, 일민, 태현 등이 제작하였다. 본래 함양군 마천면에 있는 안국사에 모시기 위해 금대암에서 조성하였으며, 지금은 법인사 극락보전에 모셔져 있다.

화면 윗부분에는 일곱 여래, 인로왕보살, 관음보살, 지장보살이 있고, 중간에는 음식과 공양물이 놓인 재단과 배고픔에 굶주린 귀신인 아귀, 망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기 위해 법회를 주관하는 승려 등이 있다. 아래쪽에는 산불, 호랑이, 홍수 등 사람들이 죽음에 이르는 다양한 모습이 표현되어 있다. 전체적으로 화면 구성이 뛰어나고, 섬세한 필선으로 그려낸 인물은 사실적이고 생동감이 있으며, 차분한 색감은 부드러운 느낌을 준다. 현재 한국에 남아 있는 감로왕도 가운데 제작 시기가 비교적 이른 편이며 18세기 전반에 제작된 감로왕도의 양식을 잘 보여 주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문맥요소

Nodes

ID Class Label Description
함양_법인사_감로왕도 Object 함양_법인사_감로왕도
B00-1731-0000 Heritage (보물_제1731호)_함양 법인사 감로왕도
채인 Actor 채인(彩仁) 채인은 법인사 감로왕도의 제작에 수화승으로 참여했다.
법인사_극락보전 Place 법인사_극락보전 현재 법인사의 극락보전 내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의 향우측에 봉안되어 있다.
의겸 Actor 의겸(義謙) 18세기 전반에 지리산 자락에서 전라도와 경상도를 넘나들며 불화 제작에 명성을 떨쳤던 화승이다.
고성_운흥사_감로도 Object 고성_운흥사_감로도 채인은 의겸과 함께 운흥사 감로왕도의 제작에 참여했다. 법인사 감로왕도의 도상과 운흥사 감로왕도의 도상은 매우 유사하다.
H38-0356-0000 Heritage (경상남도_유형문화재_제356호)_고성 운흥사 감로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56호로 지정되어 있다.
감로왕도 Concept 감로왕도
함양_마천면_안국사 Place 함양_마천면_안국사 이 불화는 본래 안국암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되었다.
함양 마천면 금대암 Place 함양 마천면 금대암 이 불화는 해인사의 말사인 금대암에서 제작되었다.

Links

Source Target Relation
함양_법인사_감로왕도 법인사_극락보전 currentLocation
함양_법인사_감로왕도 채인 creator
의겸 채인 isRelatedTo
채인 고성_운흥사_감로도 isRelatedTo
함양_법인사_감로왕도 함양 마천면 안국사 formerLocation
함양_법인사_감로왕도 함양 마천면 금대암 isProducedIn
함양_법인사_감로왕도 감로왕도 type
고성_운흥사_감로도 H38-0356-0000 isDesignatedAs
함양_법인사_감로왕도 B00-1731-0000 isDesignatedAs

참고자료

  • 2011년 문화재위원회 제6차 동산문화재분과위원회 회의록, 문화재청 → 문화재 지정 이유(특징) 및 도상 특징 설명
  • 함양 법인사 감로왕도,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cbaCpno=1123817310000 → 문화재 기본 설명 / 이 감로왕도는 화기에 의하면 원래 안국암에 봉안하기 위하여 함양군 금대암에서 제작되었다. 화면의 구성은 상부에 칠여래, 인로왕보살, 관음·지장보살을, 중심부에는 재단(齋壇), 아귀, 법회를 주관하는 작법승, 참여하는 후손들이, 그리고 하단에는 산불, 호랑이, 홍수 등 사람들이 죽는 다양한 모습이 표현되어 있는 등, 18세기의 일반적인 감로왕도 도상의 범주에 속하고 있다. 이 그림은 화면 아래의 화기에 의하면 1726년에 채인(彩仁), (일민)日敏, 태현(太玄) 등 세 화사에 의하여 제작되었으며, 이들은 18세기 전반 지리산을 중심으로 전라도와 경상도 일대에서 활동하던 의겸(義謙)의 화업에도 참여하였다. 수화승인 채인은 운흥사 감로왕도(1730,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56호) 제작에도 참여하였기 때문인지 양자는 도상적으로 매우 유사하다.
  • 함양 법인사 감로왕도, 디지털함양문화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hamyang.grandculture.net/hamyang/toc/GC07200703 → 채인(彩仁)의 주도로 일민(日敏), 태현(太玄)이 함께 이 감로탱을 그렸다는 것을 화기에서 밝히고 있다. 이들은 18세기 전반에 지리산 자락에서 전라도와 경상도를 넘나들며 불화 제작에 명성을 떨쳤던 화사 의겸(義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탱화는 조선 중후기에 지리산권역의 감로탱 제작에 상당한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되는 귀중한 작품이다.
  • 함양 법인사 감로왕도, 함양박물관, https://www.hygn.go.kr/03565/03566/03567.web?amode=view&idx=26& → 함양 법인사 감로탱의 구도는 상·중·하 3단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상단 중앙에는 구름을 타고 내려오는 칠여래를 중심으로 하여 향좌측에 인로왕보살, 향우측에 지장보살과 관세음보살을 다른 등장인물보다 크게 묘사하였다./ 그리고 화면의 중단에서는 도상의 구분과 경계를 위해 구름 처리를 하고 있으며, 특히 중단과 상단의 경계에는 거리감과 공간감을 나타내기 위해 산수화 원경에 등장하는 침엽수를 먹으로 그렸다.
  • 정명희, “감로도”, 국립중앙박물관 선정 우리 유물 100선, 네이버 캐스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8840&docId=3572151&categoryId=58851


  • 이 불화는 한 쌍의 아귀상을 그려넣는 다른 감로왕도와 달리 1구의 아귀상만을 단독으로 그린 점과, 관모를 착용한 인물들을 그린 점 등에서 나름의 독창성을 인정받았다.'
  • 채인 등은 18세기 전반 지리산 일대에서 활동한 승려 화가 의겸(義謙)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영혼을 수묵 기법으로 그린 도상은 1730년 의겸(義謙)과 채인이 함께 제작에 참여했던 운흥사 감로왕도(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356호)에서도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