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행중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상
Stone Buddha Triad in Daesan-ri, Haman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상
영문명칭 Stone Buddha Triad in Daesan-ri, Haman
한자 咸安 大山里 石造三尊像
주소 경상남도 함안군 함안면 대산리 1139번지
지정(등록) 종목 보물 제71호
지정(등록)일 1963년 1월 21일
분류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시대 고려시대
수량/면적 3구
웹사이트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함안 대산리 석조삼존상은 큰 절이 있었다고 전해지는 대사(大寺)골 마을 앞에 있다. 세 구의 돌로 만들어져 있는데, 가운데 불상은 앉아있고, 양 옆의 불상은 서 있다. 불상 아래 있는 대좌 등을 볼 때 하나의 삼존불은 아니며, 서 있는 불상은 어느 삼존상의 협시불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가운데 있는 불상은 머리 부분과 광배, 무릎 부분이 깨진 상태이다. 한쪽 어깨에만 옷을 걸치고 있다. 단순하게 표현한 옷 주름이나 불상 뒤의 광배 문양 등으로 볼 때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볼 수 있다.

서있는 두 보살상은 옷 주름이나 얼굴 표현, 머리의 보관 등이 같아서 다른 불상과 삼존불을 이뤘던 것으로 추정된다. 왼쪽에 서있는 보살상은 왼손에 정병을 쥐고 있고, 오른쪽에 서 있는 보살상은 한 손은 가슴 앞에, 한 손은 배 앞으로 올리고 있다. 단순하게 표현된 옷 주름과 허리와 어깨, 양 무릎 사이 꽃모양 매듭이 특징이다. 두 발 아래에는 2단의 대좌(臺座)*가 있고, 아래 대좌에는 두 겹의 연꽃잎이, 위 대좌는 3단의 연꽃문양이 새겨져 있다.

대좌는 통일신라시대의 형식을 따르고 있지만, 양 무릎에 대칭적으로 표현된 타원형의 옷 주름이나 간결하고 단순한 옷 주름의 표현 등으로 보아 고려시대 지방화 된 불상양식으로 보인다. 특히 가운데 불상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불상 가운데 상품상생인(上品上生印)**의 손 모양[手印]을 하고 있어서 부처의 형상 연구에 귀중한 자료이다.


  • 대좌臺座 : 부처나 보살이 앉거나 서는 자리
  • 상품상생인 : 왼손 위에 오른손을 놓고 손바닥을 위로 하여 집게손가락을 구부려 엄지에 대는 모습

영문

Stone Buddha Triad in Daesan-ri, Haman

These three stone statues are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Goryeo period (918-1392). The different styles of their overall design and pedestals suggest that these statues were not originally made as a triad set.

The seated statue at the center lost its head and halo, and its legs are also partially destroyed. The robe covering his left shoulder is carved with simple folds.

The two standing statues display similar styles on their facial expressions and headdresses. Also, their robes are decorated with knots at the shoulder, waist, and between the knees. They each stand on a two-tiered pedestal which is carved with lotus petal designs. It is presumed that they were made as attendant bodhisattvas to a main buddha. The statue on the left is holding a kundika, or a bottle of pure water, in his left hand.

영문 해설 내용

이 세 구의 불상은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적인 양식이나 대좌의 모습이 다른 것으로 보아 원래부터 하나의 삼존불로 만들어진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가운데의 좌상은 머리와 광배가 없어졌고, 다리가 일부 파손되었다. 왼쪽 어깨를 감싼 옷은 주름이 단순하게 표현되었다.

두 입상은 얼굴 표현과 보관 등에서 유사한 양식을 보인다. 옷 역시 어깨, 허리, 무릎 사이에 매듭으로 장식하였다. 연꽃잎 문양을 새긴 2단의 대좌 위에 서 있다. 이 두 입상은 다른 불상의 협시보살상으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왼쪽에 서있는 보살상은 왼손에 정병을 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