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진도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1 안내문안 초안 작성 지원 사업

기존 국문

'대웅'이란 현세불인 석가모니불의 존칭 중에 하나이며 큰 장부라는 뜻이다. 그래서 석가모니불을 모신 금당을 ‘대웅전’이라고 한다. 쌍계사 대웅전의 목조삼존불좌상은 중앙에 석가모니불과 양쪽에는 협시불인 문수보살 · 보현보살이 있다. 그 모습이 원만하고 조각기법이 우수하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이 불상에서는 조성기(제작 연대 · 장소, 제작자, 시주자 등을 기록한 문서)가 나오지 않았으나, 대웅전이 조선 숙종 23년(1697)에 건립되었다는 상량문이 발견되어 그 연대를 짐작할 수 있다. 각 불상의 규격(높이)은 석가모니불 140cm, 문수보살 126cm, 보현살 131cm 이다.

17세기 후반에 만들어진 불상들과 같은 모습을 띠고 있어 전남에 남아있는 조선시대 불상의 편년을 아는 기준작이라 할 수 있다. 전남 지방의 17세기 불상은 영광 불갑사 대웅전 목조삼신불좌상(1635년), 강진 옥련사 목조석가여래좌상(1684년) 등이 있다.

수정 국문

초고

쌍계사(雙溪寺)의 중심건물인 대웅전(大雄殿,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에 모셔져 있는 삼존불상으로, 본존인 석가모니불과 좌우 협시불로 이루어져 있다.

2015년 대웅전을 해체보수 하기 위해 불상을 옮기는 과정에서 불상의 내력과 시주자 명단 등이 적혀 있는 발원문을 포함해 경전, 다라니 등 다수의 복장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를 통해 조선 현종 6년(1665)에 승려 조각가 희장(熙壯)을 중심으로 한 9명의 조각승이 이곳 쌍계사에 봉안하기 위해 이 불상들을 조성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존불인 석가모니불은 오른손은 땅을 향하고 있고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채 무릎 위에 두었는데, 이는 부처가 모든 악마를 항복시키고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상징한다. 좌우의 두 보살은 손의 방향만 반대로 되어 있을 뿐, 모두 머리에 보관을 쓰고 목에 장신구를 둘렀으며, 손에 연꽃 가지를 들고 있다.

희장은 17세기 중엽 전라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주로 활동한 승려 조각가로, 시왕전(十王殿)에 모셔져 있는 목조지장보살상(木造地藏菩薩像,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2호)의 제작에도 참여하였다. 건장한 신체 표현과 통통하게 살이 오른 어린아이 같은 얼굴은 희장이 제작한 불상 조각의 특징이다.

  • 본존 석가여래와 좌우 협시보살상의 보존 상태와 도상의 구성이 조성 당시와 크게 변한 것 없이 완전한 편이며, 17세기 중·후반기 불상의 복장법식 연구에도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 진도 쌍계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좌우협시불은 발원문에 존상의 이름이 명시되어 있지 않다. 그러나 희장이 참여했던 다른 삼존상의 예시(희장이 이보다 3년 전에 조성한 범어사 대웅전 석가여래삼존상에서는 석가-미륵-제화갈라, 즉 수기삼존상을 제작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나 그가 활동했던 17세기 후반의 불상 구성을 감안하면(조선 후기의 삼존상 구성에서 주존 석가모니불의 좌우 협시는 아미타불-약사불이거나 제화갈라-미륵의 두 경우가 있을 뿐이다.) 좌우 협시불의 존명은 기존 안내문의 문수-보현보살이 아니라 미륵-제화갈라로 보는 것이 더욱 타당할 것이다.(문화재청 회의록 내용 요약) -> (해당 내용 밝혀 적는 경우 2020년 작업한 대웅전 안내판 문안도 수정 필요하므로 고민 필요)

1차 수정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은 본존인 석가여래와 양옆에서 본존을 모시는 두 보살로 이루어졌으며, 사찰의 중심건물인 대웅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에 모셔져 있다. 조선 현종 6년(1665) 승려 조각가 희장(熙壯)을 중심으로 한 9명의 조각승이 이곳 쌍계사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하였다.

본존불인 석가모니불은 오른손은 땅을 향하고 있고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채 무릎 위에 두었는데, 이는 부처가 모든 악마를 항복시키고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상징한다. 좌우의 두 보살은 손의 방향만 반대로 되어 있을 뿐, 모두 머리에 보관을 쓰고 목에 장신구를 둘렀으며, 손에 연꽃 가지를 들고 있다. 2015년 대웅전을 해체보수 하기 위해 불상을 옮기는 과정에서 불상의 내력과 시주자 명단 등이 적혀 있는 발원문을 포함해 경전, 다라니 등 다수의 복장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 삼존상을 조성한 희장은 17세기 중엽 전라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주로 활동한 승려 조각가로, 쌍계사 시왕전에 모셔져 있는 목조지장보살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2호) 제작에도 참여하였다. 건장한 신체 표현과 통통하게 살이 오른 어린아이 같은 얼굴은 희장이 제작한 불상의 특징이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오류없음
  2. 분야별 자문위원 2
    • 서술의 순서를 수정할 필요가 있음: (아래의 순서과 같이 문장을 정리하면 좋을 듯 함)
    1. 부처와 보살로 구성된 삼존형식
    2. 복장유물이 발견된 경위, 이에 따라 조성시기와 제작자를 알 수 있었음.
    3. 불상의 형태적 특징
    4. 조각승 희장에 대한 내용
  3. 읽기 쉬운 문안 자문위원
    • 첫 문장이 너무 깁니다. 길어지면 뒤에 이어지는 글을 읽지 않게 되니 끊어주세요.
    • 두 번째 문장은 ‘사찰의 중심건물인 대웅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에 모셔져 있다. 조선 현종 6년(1665) 승려 조각가 희장(熙壯)을 중심으로 한 9명의 조각승이 이곳 쌍계사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하였다. => 사찰의 중심건물인 대웅전(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121호)에 모신 이 불상은~봉안하기 위해 조성하였다.

2차 수정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은 본존인 석가여래와 양옆에서 본존을 모시는 두 보살로 이루어져 있다. 조선 현종 6년(1665) 승려 조각가 희장(熙壯)을 중심으로 한 9명의 조각승이 이곳 쌍계사에 봉안하기 위해 조성하였다.

본존불인 석가모니불은 오른손은 땅을 향하고 있고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채 무릎 위에 두었는데, 이는 부처가 모든 악마를 항복시키고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상징한다. 좌우의 두 보살은 손의 방향만 반대로 되어 있을 뿐, 모두 머리에 보관을 쓰고 목에 장신구를 둘렀으며, 손에 연꽃 가지를 들고 있다. 2015년 대웅전을 해체보수 하기 위해 불상을 옮기는 과정에서 불상의 내력과 시주자 명단 등이 적혀 있는 발원문을 포함해 경전, 다라니 등 다수의 복장 유물이 발견되었다.

이 삼존상을 조성한 희장은 17세기 중엽 전라도와 경상도 지역에서 주로 활동한 승려 조각가로, 쌍계사 시왕전에 모셔져 있는 목조지장보살상(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22호) 제작에도 참여하였다. 건장한 신체 표현과 통통하게 살이 오른 어린아이 같은 얼굴은 희장이 제작한 불상의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