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예산 이산해의 묘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0 안내문안 초안 작성 지원 사업

기존 국문

조선 선조 때 영의정을 지낸 정치가이자 문장가 이산해(李山海, 1539~1609)의 합장묘이다. 상단 봉분 앞에 혼유석 상석이 있으며, 상석 좌우측면에 귀석과 좌측에 묘비석이 세워졌다. 하단 상석 전면에 향로석과 좌우에 망주석, 문인석이 대칭을 이루고 있다. 현재의 석물은 1609년 묘 조성시 세웠으며, 묘비는 1856년 중수하였다.

본관은 한산이며, 자는 여수, 호는 아계, 죽피옹, 초성이라 불릴 만큼 초서에 능하였다. 광국, 평난공신 아성부원군에 봉군되었다.

수정 국문

초고

조선 선조 때 영의정을 지낸 정치가이자 문장가인 이산해(李山海, 1539~1609)와 부인 양주 조씨의 합장무덤이다. 이산해가 말년에 거주하였던 예산에 무덤을 쓰고, 풍수지리상의 이유로 연못을 함께 만들었다. 무덤은 둥근 모양으로 둘레 11m, 높이 1.8m이다. 무덤 꼬리[龍尾]가 있으며, 무덤의 주위를 반달모양으로 둘러쌓았다.

무덤 앞에는 길고 평평하게 다듬은 돌을 놓아 단을 위아래로 구분하였다. 윗단 무덤 바로 앞에는 넋이 나와 놀도록 한 돌[魂遊石]이 있으며, 왼쪽에는 이산해의 행적을 밝힌 빗돌이 서 있는데 1856년 새로 만들었다. 아랫단에는 상돌, 그리고 상돌을 사이에 두고 거북돌 한 쌍이 마주하고 있다. 그리고 상돌 앞 좌우로 무덤을 쓸 당시 함께 만든 문인석과 망주석 각각 한 쌍이 대칭해 서 있다.

이산해의 본관은 한산이며, 자는 여수, 호는 아계, 죽피옹이다. 그림과 서예를 모두 잘하였는데, 특히 초서는 초서의 성인이라 불릴 만큼 잘 썼다. 어려서부터 작은아버지인 토정 이지함에게 글을 배웠으며, 오성과 한음이야기로 유명한 이덕형이 그의 사위이다.

1차 수정

조선 선조(1567~1608 재위) 때 영의정을 지낸 정치가이자 문장가인 이산해(李山海, 1539~1609)와 부인 양주조씨의 합장무덤이다.

이산해는 그림과 서예를 모두 잘하였는데, 특히 초서는 초서의 성인이라 불릴 만큼 잘 썼다. 어려서부터 작은아버지인 이지함(李之菡, 1517~1578)에게 글을 배웠으며, 오성과 한음이야기로 유명한 이덕형(李德馨, 1561~1613)이 그의 사위이다.

봉분 주위의 여러 석물들은 모두 1609년 묘역을 조성할 때 만들었으며, 이산해의 행적을 기록한 비석은 1856년에 새로 만들어서 봉분 왼쪽에 세웠다.

묘역으로 올라가는 입구에는 네모난 연못이 있다. 묘가 위치한 곳의 풍수지리상 부족한 기운을 보충하기 위해 이산해의 아들인 이경전(李慶全, 1567~1644)과 사위 이덕형이 만들었다고 한다. 연못 중앙에는 작고 둥근 섬이 세 개 있으며, 신선이 산다는 삼신산(三神山)을 상징한다.

자문의견

  1. 분야별 자문위원 1
    • 여러 석물들은 → 여러 석물은
    • 부인 양주조씨의 합장무덤이다. → 부인 양주조씨의 합장무덤이다. 이산해는 고려말 의 학자 관료인 이색으로 후손으로 서울에서 태어나고 죽었으나, 인근 보령이 집안의 근거지이며 어렸을 때와 만년에 그곳에서 생활하기도 했다.
      • 수정이유: 무덤이 예산에 마련된 연유를 설명하는 것이 좋겠음.
      • 이산해가 죽은 곳 근거: 漢陰先生文稿卷之十二 / 雜著, 輸忠翼謨光國推忠奮義協策平 / 難功臣,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鵝城府院君李公墓誌銘。幷序
  2. 분야별 자문위원 2
    • “이산해는 그림과 서예를~그의 사위이다”→ “이산해는 작은 아버지인 토정 이지함(李之菡, 1517~1578)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1561년 문과에 급제한 뒤 이조와 병조 판서를 비롯해 삼정승을 모두 역임하였다. 광국공신과 평난공신에 책록되었다. 정치적으로 동인으로, 그리고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나뉜 뒤에는 북인의 영수로 활동하였다. 문장도 뛰어나 당대 문장팔가(文章八家)의 한 사람으로 불렸다”
    • 신도비 관련 내용의 추가 →“1856년에 다시 만들어서 봉분 왼쪽에 세웠다. 묘소 입구의 신도비는 채제공(蔡濟恭, 1720~1799)가 지은 것으로, 1819년에 세웠다.”

2차 수정

조선 선조(1567~1608 재위) 때 영의정을 지낸 정치가이자 문장가인 이산해(李山海, 1539~1609)와 부인 양주조씨의 합장묘이다.

이산해는 작은 아버지인 토정 이지함(土亭 李之菡, 1517~1578)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1561년 문과에 급제한 뒤 이조와 병조 판서를 비롯해 삼정승을 모두 역임하였다. 그림과 서예를 모두 잘하였고, 문장에도 뛰어났다. 오성과 한음이야기로 유명한 이덕형(李德馨, 1561~1613)이 그의 사위이다. 이산해는 서울에서 태어나고 죽었으나, 어렸을 때와 만년에는 집안의 근거지인 인근 보령에서 생활하였기 때문에 이곳에 묘소가 조성되었다.

봉분 주위의 여러 석물은 모두 1609년 묘역을 조성할 때 만들었으며, 이산해의 행적을 기록한 비석은 1856년에 새로 만들어서 봉분 왼쪽에 세웠다. 묘소 입구의 신도비는 1819년에 세운 것으로 채제공(蔡濟恭, 1720~1799)이 비문을 지었다.

묘역으로 올라가는 입구에는 네모난 연못이 있다. 묘가 위치한 곳의 풍수지리상 부족한 기운을 보충하기 위해 이산해의 아들인 이경전(李慶全, 1567~1644)과 사위 이덕형이 만들었다고 한다. 연못 중앙에는 작고 둥근 섬이 세 개 있는데, 신선이 산다는 삼신산(三神山)을 상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