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보백당 종택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2년 국문집필

기존 국문

이 서원은 보백당(寶白堂) 김계행(金係行)과 응계(凝溪) 옥고(玉沽)를 봉향하는 곳으로 조선 숙종(肅宗) 13년(1687)에 처음 건립되었다. 보백당은 성종(成宗) 때 대제학을 지냈고 응계는 세종(世宗) 때 사헌부 장령을 지냈다. 서원철폐령으로 훼철 되었는데, 1925년 강당과 읍청루․진덕문․동재 건물 등이 복원되었다.

강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으로 가운데 3칸에 마루를 두었고 좌우에 온돌방이 있다. 서원의 왼쪽에는 정면 6칸, 측면 5칸의 ‘口’자형 주사가 있다.

묵계종택은 정침(正寢)과 별당 및 사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정침은 ‘口’자형 건물로 정면 6칸, 측면 6칸의 규모가 비교적 큰 건물이다. 안채에는 용계당(龍溪堂)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다. 사당은 낮은 담장에 둘러싸여 있는데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2021.12.13. 명칭변경 (묵계서원 및 안동김씨 묵계종택 → 안동 묵계서원 및 보백당종택)

수정 국문

초고

보백당 종택은 청백리로 유명했던 문신 김계행(金係行, 1431~1517)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김계행은 안동 김씨 가운데 안동 소산마을에 처음 들어온 김삼근(金三近, 1390~1465)의 둘째 아들이다. 성종 11년(1480) 과거에 급제해 여러 관직을 지내다가 두 번의 사화를 겪은 후 고향인 안동으로 돌아왔으며, 연산군 4년(1498)에 처가가 있는 이 마을에 정착하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

집은 행랑채, 사랑채, 안채, 가묘, 별채인 보백당 등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랑채와 안채는 ㅁ자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국전쟁이 일어났을 때 별채인 ‘보백당(寶白堂)’과 가묘를 제외한 집의 건물들이 파괴되어 후대에 다시 지었다고 한다.

보백당은 건물 좌측에 대청마루를 두고, 우측에 온돌방을 배치한 구조이며, 지금은 조상의 제사를 지내기 위한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건물의 이름은 김계행이 청렴함을 강조하며 남긴 유훈이자 그의 호를 따서 붙인 것으로, ‘집안의 보물은 오직 청렴함 뿐’이라는 의미이다.

  • 사랑채에 걸려 있는 2개의 편액과 보백당 편액의 글씨는 모두 독립운동가로도 활약한 후손 김가진이 썼다.
  • 사랑채의 편액 중 ‘용계당’의 용계는 8대 종손 김중망의 호이다.

1차 수정

보백당 종택은 조선시대의 문신 보백당 김계행(寶白堂 金係行, 1431~1517) 가문의 종택이다. 종택은 한 가문의 맏이가 대대로 살아온 집을 말한다.

김계행은 안동김씨 가운데 안동 소산마을에 처음 정착한 김삼근(金三近, 1390~1465)의 둘째 아들이다. 성종 11년(1480) 문과에 급제해 여러 관직을 지내다가 사화를 겪은 후 안동으로 돌아와 은거하였다. 보백당이라는 호는 김계행이 쓴 ‘우리 집에는 보물이 없지만, 보물로 여기는 것은 오직 청렴과 결백이네[吾家無寶物, 寶物惟淸白]’라는 글에서 따왔다.

김계행은 소산과 묵계를 오가며 지냈는데, 후손 어느 대에서 종택이 고란리에 자리 잡게 되었다. 김계행을 기리는 묵계서원이 1687년 묵계리에 창건된 이후, 1880년대 들어 묵계서원 근처로 종택을 옮긴 것으로 추정된다. 종택을 옮긴 이는 김계행의 15대손인 김학규(金學圭, 1852~1922)이다. 어느 날 묵계서원 원장이 고란리를 지나다 김학규가 살던 종택에 들렀는데, 집이 협소하고 위치가 좋지 않은 것을 보고는 묵계리로 옮길 것을 권했다고 한다.

집은 대문채, 본채, 사랑채, 사당으로 이루어져 있다. 1906년에 지은 사랑채가 이 집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고, 사당은 1909년에 지었다. 본채는 한국전쟁 때 소실되었다가 1957~1958년에 다시 지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