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구읍리 석불입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2020 국문

초고

이 불상은 고려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석불입상이다. 불상 앞에 2단의 석축이 있고, 주변에는 기와와 토기 조각이 흩어져 있어 옛 절터였음을 알 수 있다. 불상은 신체 전체가 하나의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머리에는 부처의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가 있고, 얼굴은 마모가 심하지만 윤곽은 파악할 수 있다. 목에는 깨달음에 이르지 못한 중생이 걷게 되는 세 가지의 길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세 줄의 주름이 새겨졌다. 다리 부분은 땅속에 묻혀있어 불상의 전체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없다. 불상은 가슴 쪽에서 오른손을 들고 있고, 왼손은 배 부분에서 손바닥이 위로 향하도록 하고 있으며, 양쪽 어깨를 덮은 법의를 입고 있다. 하지만 마모된 부분도 있고 섬세하지 못한 조각 기법으로, 손 모양과 옷 주름은 뚜렷하지 않다. 노출된 부분은 총 높이 2m이다. 이 불상은 포천 지역의 불상 중 가장 시대가 오래된 것으로 고려 전기 불교 미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한다.

수정

고려 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석불입상이다. 불상 앞에 2단의 석축이 있고, 주변에는 기와와 토기 조각이 흩어져 있어 옛 절터였음을 알 수 있다.

불상은 신체 전체가 하나의 화강암으로 만들어졌다. 머리에는 부처의 지혜를 상징하는 육계가 있고, 얼굴은 마모가 심하지만 윤곽을 파악할 수는 있다. 목에는 깨달음에 이르지 못한 중생이 걷게 되는 세 가지의 길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세 줄의 주름을 새겼다. 수인(手印)은 가슴 쪽에서 오른손을 들고 있고, 왼손은 배 부분에서 손바닥이 위를 향하고 있다. 의상은 양쪽 어깨를 덮은 법의를 입었다. 그러나 섬세하지 못한 조각 기법과 마모 등으로, 손 모양과 옷 주름이 뚜렷하지 못하다. 다리의 하단 부분이 땅속에 묻혀있어, 노출 부분의 총 높이는 2m이다.

이 불상은 포천 지역의 불상 중 가장 시대가 오래된 것으로, 고려 전기 불교 미술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