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합성동 고분군 2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창원 합성동 고분군 2
Ancient Tombs No. 2 in Hapseong-dong, Changwon
창원시 공고 제2022-1580호, 『창원시 향토문화유산 지정 행정예고』, 2022.09.14.
대표명칭 창원 합성동 고분군 2
영문명칭 Ancient Tombs No. 2 in Hapseong-dong, Changwon
주소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 산 14-1 일원
시대 삼국시대
수량/면적 1호분 390㎡ / 2호분 81㎡ / 3호분 92㎡



해설문

국문

창원 합성동 고분군 2는 팔룡산(해발 328m) 북서 능선의 말단 구릉에 위치한 삼국 시대의 무덤 유적이다. 정상부의 대형 고분 3기는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규모로 보아 당시 유력한 지배자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1982년, 2004년 두 차례의 지표 조사에서 확인된 세 무덤 중 가장 큰 1호분은 연접분*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호분과 3호분은 봉토가 대부분 깎여나가 다소 평평해진 상태이다.

2005년 고분군 남쪽 하단 건물 신축부지 발굴조사 결과, 청동기 시대 주거지 2동과 수혈(竪穴)* 1기, 삼한 시대 목곽묘 3기, 삼국 시대 목곽묘 10기, 석곽묘 76기, 옹관묘 3기, 고려·조선 시대 기와 가마 4기와 수혈 1기 등 약 100여 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또한 가야 시대의 토기와 함께 고대 일본과 백제 양식의 토기도 일부 출토되어 창원 지역의 고대 세력 집단이 주변 지역과 활발하게 교류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2022년 1호분을 조사한 결과, 최대 길이 26m, 최대 높이 3.9m의 남북 방향으로 긴 장타원형을 이루는 평면 형태에, 매장 주체부*는 남북방향의 구덩식 돌덧널 무덤이란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 창원시에 남아 있는 삼국 시대 봉토분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큰 것이라는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2022년 창원시의 향토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연접분: 하나의 무덤을 축조한 다음 이어서 다른 무덤을 축조하여 봉분을 이어 붙인 무덤.
  • 수혈(竪穴): 땅을 파서 만든 구멍 또는 그러한 형태의 주거지
  • 유구: 인간의 활동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운반가능한 유물과 달리 장소에서 분리되지 않는 잔존물
  • 매장주체부: 시신이나 관을 비롯하여 부장품을 직접 보호하는 시설.

영문

Ancient Tombs No. 2 in Hapseong-dong, Changwon

These ancient tombs located at the top of the northwestern slope of Pallyongsan Mountain (328 m above sea level) in Hapseong-dong, Changwon, date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68 CE). The three large tombs located at the very top are presumed to have been built at the turn of the 5th and 6th centuries and, based on their size, are thought to have belonged to members of the local ruling class. In recognition of their historical and academic value as the largest Three Kingdoms-period tombs in Changwon, the Ancient Tombs in Hapseong-dong were designated as a Changwon Local Cultural Heritage in 2022.

Based on archaeological surveys in 1982 and 2004, it was found that Tomb No. 1, the largest among the three, is likely to have been a connected tomb, in which a later tomb was attached to an earlier tomb. As for Tombs No. 2 and 3, their earthen burial mounds were found to have been slightly flattened due to erosion. In 2022. Tomb No. 1 was further surveyed, confirming it to be a stone-lined pit tomb. Its earthen burial mound, which measures up to 26 m in length and up to 3.9 m in height, has an elongated oval shape that is aligned along a north-south axis.

In 2005, about 100 other structural remains were discovered to the south of the tombs, including two dwelling sites and one pit site from the Bronze Age, three wooden chamber tomb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1st century BCE-4th century CE), ten wooden chamber tombs, 76 stone-lined tombs, and three jar coffin tombs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four roof tile kiln sites and one pit site from the Goryeo (918-1392) and Joseon (1392-1910) periods. Various artifacts were excavated from the site, the majority of which consists of earthenware made by the Gaya confederacy (42-562). However, some earthenware presumably produced in the Baekje kingdom (18 BCE-660 CE) and Japan was also found, suggesting that the local ruling class actively traded with its neighbors.

영문 해설 내용

창원 합성동 고분군 2는 팔룡산(해발 328m) 북서 능선의 말단 구릉에 위치한 삼국시대의 무덤 유적이다. 정상부의 대형 고분 3기는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규모로 보아 당시 유력한 지배자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합성동 고분군은 현재 창원시에 남아 있는 삼국 시대 봉토분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큰 것이라는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2022년 창원시의 향토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982년과 2004년 두 차례의 지표 조사 결과, 정상부의 세 고분 중 가장 큰 1호분은 하나의 무덤을 축조한 다음 이어서 다른 무덤을 축조하여 이어 붙인 연접분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2호분과 3호분은 봉토가 대부분 깎여나가 다소 평평해진 상태이다. 2022년 1호분을 조사한 결과 구덩식 돌덧널무덤으로 확인되었다. 봉분은 최대 길이 26m, 최대 높이 3.9m으로 남북방향의 장타원형을 이루는 평면을 가지고 있다.

2005년 고분군 남쪽에서는 청동기시대의 주거지 2동과 수혈 1기, 삼한시대의 목곽묘 3기, 삼국시대의 목곽묘 10기, 석곽묘 76기, 옹관묘 3기와 고려·조선시대 기와 가마 4기와 수혈 1기 등 약 100 여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가야 양식의 토기가 대부분이지만 고대 일본과 백제 양식의 토기도 함께 출토되어, 창원 지역의 고대 세력 집단이 주변 지역과 활발하게 교류하였던 것을 알 수 있다.

참고자료

  • 창원시 향토문화유산 지정 조사보고서.
  • 『2022년 제2회 창원시 향토문화유산보호위원회 회의록』, 창원시 문화유산육성과, 2022.07.28.
  • 창원시 공고 제2022-1580호, 『창원시 향토문화유산 지정 행정예고』, 2022.09.14.
  • 합성동 고분군, 『한국고고학 전문사전(고분편)』, 국립문화재연구원. https://portal.nrich.go.kr/kor/archeologyUsrView.do?menuIdx=797&idx=5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