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녕 도성암 석조아미타여래좌상
창녕 도성암 석조아미타여래좌상 Stone Seated Amitabha Buddha of Doseongam Hermitage, Changnyeong |
|
대표명칭 | 창녕 도성암 석조아미타여래좌상 |
---|---|
영문명칭 | Stone Seated Amitabha Buddha of Doseongam Hermitage, Changnyeong |
한자 | 昌寧 道成庵 石造阿彌陀如來坐像 |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자하곡길 147 (송현리 8) |
지정(등록) 종목 |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37호 |
지정(등록)일 | 2005년 10월 13일 |
분류 | 유물/불교조각/석조/불상 |
시대 | 조선시대 |
수량/면적 | 1구 |
웹사이트 | 창녕 도성암 석조아미타여래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
|
해설문
국문
창녕 도성암 석조아미타여래좌상은 창녕 도성암의 대웅전에 모셔진 본존불이다. 양쪽의 협시보살상은 1991년 대웅전을 신축하면서 새로 조성하였다. 불상을 받치고 있는 대좌도 후대에 제작된 것이다.
이 불상은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크며 전체적으로 균형감 좋은 몸체, 머리를 앞으로 숙인 자세, 손의 표현 등 조선 후기 불상의 형식적인 특징을 따르고 있다. 법의를 표현하는데 오른쪽 어깨에 비스듬히 곡선을 그리며 내려오는 옷자락이나 양 다리 사이에 두 개의 옷주름이 겹쳐 흘러내리는 등의 특징은 17세기 후반 활동한 승일(勝日) 계보의 조각승에서 보여 지는 특징이다. 다만 이 불상은 승일 계보의 조각승이 만든 불상의 얼굴이나 옷주름 등의 표현과는 이질적이 부분이 보이며, 삼도의 표현이 없고 눈머리 아래 곡선을 그리며 내려오는 코의 표현 등 전통적인 불상의 얼굴 특징과는 다른 부분이 있어 수리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영문
Stone Seated Amitabha Buddha of Doseongam Hermitage, Changnyeong
This is a statue of Amitabha Buddha, the Buddha of Western Paradise. It is believed that all beings who call the name of Amitabha while reflecting on his meritorious virtues can be reborn in the Buddhist paradise of the West.
This statue is presumed to have been made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is worshipped as the main buddha of Doseongam Hermitage. Amitabha’s right hand reaches down toward the ground, and his left hand rests on his lap, indicating the defeat of worldly desires and attainment of spiritual enlightenment. The head is slightly inclined forward and larger than the body, but the statue’s proportions are balanced. These features are characteristic of Buddhist statues made in the late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o Amitabha’s left and right, respectively, are statues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of Great Compassion) and Mahasthamaprapta (Bodhisattva of Wisdom and Strength), which were made in 1991 when Daeungjeon Hall was rebuilt.
영문 해설 내용
이 불상은 아미타불을 나타낸 것이다. 아미타불은 극락정토의 부처로, 아미타불의 공덕을 기리고 그의 이름을 염(念)하는 모든 중생들은 극락세계에 왕생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도성암 대웅전의 본존불인 이 불상은 17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오른손은 땅을 향하고 왼손은 무릎 위에 있는데, 이는 부처가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상징한다.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크며 전체적으로 균형감 좋은 몸체, 머리를 앞으로 숙인 자세 등은 조선 후기 불상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불상의 왼쪽과 오른쪽에는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모셔져 있는데, 이 협시보살상은 1991년에 대웅전을 신축하면서 새로 조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