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
Kiln Sites in Sansu-ri and Samyong-ri, Jincheon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
영문명칭 Kiln Sites in Sansu-ri and Samyong-ri, Jincheon
한자 鎭川 山水里와 三龍里 窯址
주소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면 산수리 196-3
지정(등록) 종목 사적 제511호
지정(등록)일 2011년 7월 28일
분류 유적건조물/산업생산/요업/토기가마
수량/면적 8,108㎡
웹사이트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산수리와 삼용리 가마터는 삼국시대 초기, 토기의 제작과 성립 과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곳이다. 특히 3세기 이전부터 사용한 두드림무늬 토기*는 4세기경 백제토기로 발전되는 과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지금까지 발굴된 가마터는 총 19기로 소형(2~3m)부터 대형(7m 이상)으로 낮은 언덕에 분포되어 있는데, 이곳 삼용리(6기)와 산수리(8기) 가마가 대표적이다.

가마는 아궁이 바로 밑에 불을 때는 곳과 토기를 놓았던 곳, 연기가 빠져나가는 곳으로 구성되었다. 소형의 경우, 바닥과 벽은 땅속에, 천장은 땅 위로 나온 반지하식 오름가마 형태이고, 대형은 아궁이 쪽에 굴을 파고 들어선 완전지하식이다.

여기에서 생산된 토기는 집에서 사용하는 그릇, 대장간 등에서 사용되는 송풍관, 무덤에 함께 넣을 물건 등으로 여러 지방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 두드림무늬 토기: 토기의 몸통을 다지거나 부풀리기 위하여 안쪽에 판을 대고 두들개로 두드릴 때 새겨진 무늬
  • 요지(窯址): 토기·질그릇·오지그릇·도자기·기와·벽돌·숯 따위를 구워내는 시설인 가마터

영문

Kiln Sites in Sansu-ri and Samyong-ri, Jincheon

This is the site of clusters of kilns that were used by Baekje kingdom for baking pottery in the 3-4th centuries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57 BCE-668 CE). The kilns were first discovered in 1986.

Through excavations conducted in the 1980s and 1990s, a total of 19 kilns were found in the area. Among them, eight in Sansu-ri and six in Samyong-ri were in decent condition and thus designated as heritages. The size of the kilns ranges 2-8 m in length. The kilns are either semi-underground climbing kilns or underground tunnel-type climbing kilns. They consist of a firing chamber, stocking chamber, combustion chamber, and chimney.

Excavated pottery shards are mostly from round jars and deep bowls. Some of the pottery shards bear impressions created by paddles, which were used to force out air pockets and compress the clay surface.

영문 해설 내용

이곳은 삼국시대인 3-4세기경 백제의 토기를 굽던 가마터이다. 1986년에 처음 발견되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 이루어진 발굴조사를 통해 총 19기가 확인되었으며, 산수리에 8기, 삼용리에 6기의 가마가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어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가마의 규모는 길이가 2-8m 사이이며, 반지하식 오름가마이거나 지하식 굴가마이다.

이곳에서 발굴된 토기편은 대부분 구형호나 심발형 토기이다. 이중 일부 토기는 표면을 다지거나 기포를 제거하기 위해 두들개로 두드릴 때 새겨진 두드림무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