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 삼존좌상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Wooden Seated Sakyamuni Buddha Triad of Cheonggoksa Temple, Jinju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영문명칭 Wooden Seated Sakyamuni Buddha Triad of Cheonggoksa Temple, Jinju
한자 晉州 靑谷寺 木造釋迦如來三尊坐像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갈전리 18
지정(등록) 종목 보물 제1688호
지정(등록)일 2010년 12월 21일
분류 유물/불교조각/목조/불상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3구
웹사이트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진주 청곡사 목조석가여래 삼존좌상은 청곡사 대웅전에 모셔져 있다.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양쪽에 문수보살, 보현보살이 자리하고 있다.

영조 26년(1750)에 기록된 「개금불사동참결연작복록(改金佛事同參結緣作福錄)」에는 ‘만력삼십삼년을묘 불상조성 .......’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불상의 제작 연대가 광해군 7년(1615)임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으로 불에 탄 청곡사를 다시 세우면서 불상도 함께 만들었다. 불상의 제작과 관련된 직접적인 자료가 없어 제작자나 불상 조성과 관련된 상세한 자료는 알 수 없다. 그러나 불상의 손 모양, 옷 모양, 머리 모양 등에서 임진왜란을 전후한 불상 조성의 양식 변화를 살필 수 있어 그 자료적 가치가 높다.

영문

Wooden Seated Sakyamuni Buddha Triad of Cheonggoksa Temple, Jinju

This triad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was made in 1615 and consists of Sakyamuni Buddha in the center flanked by two attendant bodhisattvas, namely Manjusri (Bodhisattva of Wisdom and Insight) to his left and Samantabhadra (Bodhisattva of Great Conduct) to his right. It is unknown who made these statues.

In the 17th century after the devastating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 and Manchu invasions of 1636-1637, many damaged and destroyed temples across the country were repaired and reconstructed. Cheonggoksa Temple was among the temples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and needed to be reconstructed, and this triad was made when Daeungjeon Hall was rebuilt.

The principal buddha, Sakyamuni, is portrayed with his right hand reaching down toward the ground, and his left hand resting on his lap, which indicates his defeat of worldly desires and attainment of spiritual enlightenment.

영문 해설 내용

대웅전에 모셔져 있는 이 삼존불은 1615년에 조성된 것으로,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왼쪽에는 문수보살이, 오른쪽에는 보현보살이 자리하고 있다. 제작자가 누구인지는 알 수 없다.

17세기에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으로 인해 파괴된 전국의 사찰들이 중수되거나 새로 조성되기 시작하였다. 청곡사도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이 시기에 다시 세워졌으며, 이 삼존불도 대웅전을 중건하면서 조성되었다.

본존불인 석가모니불은 오른손은 땅을 향하고 있고 왼손은 무릎 위에 있는데, 이는 부처가 모든 악마를 항복시키고 깨달음을 얻은 순간을 상징한다.

참고자료

  •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1123816880000 -> 청곡사 목조석가여래삼존불상의 제작자는 관련 기록이 현전하지 않아 알 수 없지만 상호의 표현과 신체의 비례, 착의의 표현 등이 1629년 조각승 현진이 조성한 관룡사 목조석가여래삼불과 유사하다.
  • 문화재대관 보물 불교조각Ⅱ , 문화재청, 2017 -> 임진왜란으로 인한 피해를 복구하면서 사찰의 재건불사가 활발했던 광해군 재위시 대웅전을 중건하면서, 이 불상도 조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삼존불을 1750년 개금하면서 기록한 「불사동참길연작복록佛事同叅結緣作福錄」을 통해서 이러한 사정을 유추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