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의곡사 한글 비석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주 의곡사 한글 비석
Hangul Stele of Uigoksa Temple, Jinju
진주 의곡사 한글 비석, 진주 관광, 진주시청.
대표명칭 진주 의곡사 한글 비석
영문명칭 Hangul Stele of Uigoksa Temple, Jinju
한자 晉州 義谷寺 한글 碑石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의곡길 72, 의곡사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596호
지정일 2015년 10월 15일
분류 유적건조물/종교신앙/민간신앙/기타
수량/면적 1기(16㎡)
웹사이트 진주 의곡사 한글 비석,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의곡사 한글비는 의곡사 주차장 오른쪽 산자락에 있는 빗돌이다. 빗돌에는 한글과 한문이 섞여 새겨져 있는데, 빗돌 앞면의 가운데에는 ‘南無阿彌陀佛塔(나무아미타불탑)’, 오른쪽에는 ‘父母生天目蓮經(부모생천목련경)’, 왼쪽에는 ‘부모쳔목련경’이라고 새겨져 있다.

빗돌을 세운 연도를 ‘丙辰三月(병진삼월)’로 새겼는데 한글 사용 시기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ㆁ’을 쓰지 않고 있어서 임진왜란 이후이고 ‘텬’이 ‘쳔’으로 쓰인 것은 1700년대 전후이므로 병진년은 18세기 중 후반의 병진년으로 추정된다.

영문

Hangul Stele of Uigoksa Temple, Jinju

This is a stele of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at features inscriptions written in both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s well as Hangeul, the Korean alphabet. It is one of the five extant steles of the Joseon period that feature inscriptions in Hangeul.

The inscription in the middle i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nd says “The Stele of Homage to Amitabha Buddha.” The inscriptions to the left and right are made in Hangeul and Chinese characters, respectively, and say “The Maudgalyayana Sutra.” The Maudgalyayana Sutra is concerned with the filial piety of Maudgalyayana, one of the Buddha’s ten principal disciples.

At the bottom left corner of the stele, there is an inscription of when the stele was erected. It reads the “third (lunar) month of the Byeongjin year,” referring to the sexagenary calendar cycle which repeats every 60 years. Based on the spelling of the Hangeul, the stele can be dated to the 18th century, in which case, the “Byeongjin year” refers to either 1736 or 1796.

영문 해설 내용

한글과 한자가 함께 새겨져 있는 조선시대의 비석이다. 현존하는 조선시대의 비석 중 한글이 새겨진 것은 5개 뿐이다.

앞면 가운데에는 '나무아미타불탑'이라고 새겨져 있고, 왼쪽과 오른쪽에는 '부모생천목련경'이라는 경전의 이름이 각각 한글과 한자로 새겨져 있다. 부모생천목련경은 부처님의 10대제자 중 한 사람인 목련의 지극한 효성에 대한 경전이다.

왼쪽 아래에는 비석의 건립 연도가 '병진삼월'이라고 새겨져 있다. 병진년이 정확히 언제인지는 확실하지 않으나, 비석에 쓰인 한글 표기법으로 보아 18세기에 해당하는 1736년, 1796년 가운데 하나일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자료

  • 진주 의곡사 한글비석,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3413805960000 -> 진주 의곡사 한글비석은 전면에는 중앙에 “(南)無阿彌陀佛 塔”이라 새겨져 있고, 좌측에 이보다 좀 작은 글씨로 “父母生天目連經”이라 한자로 새겨져 있으며, 우측에 대칭이 되도록 이 한자의 음을 한글로 “부묘생쳔목연경”이라 새겨 두었다. 그리고 한글과 중앙 글씨의 사이 하단에 ‘丙辰三月’이라 새겨진, 설립연월로 보이는 기록이 있으며 이 비석은 비슷한 모양의 같은 석질로 세워져 의곡사 경내에 보존되어 있는 비석과 비교해 보면, 세워진 지 100년 미만의 근대기의 비석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전국적으로 한글이 새겨져 있는 비석이 워낙 드물고 아직 경상남도 에서는 이보다 먼저 새겨진 것으로 판단되는 한글 비석에 대해 보고된 바없는 중요한 자료이므로 경상남도 문화재자료로 지정
  • 의곡사 한글비석, 진주시청 https://www.jinju.go.kr/02793/02258/02286.web?amode=view&idx=1017 -> 이미지 출처 / 기본 정보는 국가문화유산포털 내용과 동일함.
  • 진주-의곡사 한글비석, 바람 속 갈팡질팡, 네이버 블로그 https://m.blog.naver.com/leedongkil/222005312536 -> 문화재청 안내 기준 1916년 / 현지 안내문구(2020년 사진) 기준 1796년 / 새로운 년도 1856년 언급 – 옛이응 사용 여부가 기준이 되는 것 같다는 의견
  • (참고) 진주, 의곡사 삼층석탑, 한글 비석, 옛님의 숨결. 그 정취를 찾아, 다음 블로그 http://blog.daum.net/12977705/8726743 -> 의곡사 연혁
      • 의곡사는 665년에 ‘근정사’라는 이름으로 창건되었다고 하며, 진주성 함락 이후 왜군에게 대항하는 승병과 의병들의 거점이 되었다가 전쟁 후 폐허가 된 것을 1618년 남의흥이 중건하였다. 임진왜란 때의 일을 기려 ‘의곡사’로 개칭하게 되었으며, 1898년에도 중건되었다.
  • (참고) 조령 산불됴심 표석(鳥嶺 산불됴심 標石), 경북북부권문화정보센터 , 2015년도 글 http://m.cultureline.kr/contents/page/culture_focus_view.asp?article_seq=15477&page=3 -> 현전 ‘한글’ 비석 총 5기(일본 소재 1기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