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우곡정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주 우곡정
Ugokjeong Pavilion, Jinju
진주 우곡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진주 우곡정
영문명칭 Ugokjeong Pavilion, Jinju
한자 晉州 隅谷亭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사봉면 우곡길 79-34
지정번호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65호
지정일 1983년 7월 20일
분류 유적건조물/주거생활/조경건축/누정
수량/면적 1동
웹사이트 진주 우곡정,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우곡정은 고려 말에 우곡 정온(鄭溫)이 태조의 역성혁명(易姓革命)을 반대하여 숨어 지내던 곳이다.

우곡정은 1393년(태조 2)에 우곡 정온이 이곳에 지내기 위해 지은 정자로 1849년(헌종 15)에 보수하는 등 여러 차례 고쳐 짓다가 다시 지어 지금의 모습을 갖추었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고려 말 대사헌을 지낸 정온이 새 왕조인 조선에 협력하지 않자 태조가 사위 이제(李濟)를 보내 초빙하였으나 왕명을 거역하지 못하고 눈뜬 봉사라는 핑계로 거절하였다고 한다.

이때 이제가 사실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솔잎으로 눈을 찔렀더니 눈동자는 움직이지 않고 피가 흘렀다고 한다.

이러한 정온의 절의를 기려 출입문에 절의문(節義門)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는데 윤보선 대통령의 글씨이다.

영문

Ugokjeong Pavilion, Jinju

This pavilion was first built in 1393 by Jeong On (1324-1402, pen name: Ugok), a civil official of the Goryeo period (918-1392). It was rebuilt in 1849 and repaired in 1976.

When the Goryeo dynasty fell and the Joseon dynasty (1392-1910) was founded, Jeong On remained loyal to the old dynasty, declined an official government post, and retired to his hometown of Jinju. According to a story, King Taejo (r. 1392-1398), who was the founding king of the Joseon dynasty, offered Jeong On a position, but Jeong On persistently refused and even made up an excuse that he went blind due to a disease. King Taejo sent his son-in-law Yi Je (?-1398) to confirm this. It is said that Yi Je poked Jeong On in the eye with a pine needle causing the eyeball to bleed, but the pupil of the eye did not even flinch.

The complex consists of a gate quarters and a pavilion. The pavilion consists of a wooden-floored hall in the center with an underfloor-heated room on either side. In the front, there is an elevated wooden-floored porch with a balustrade. The gate quarters features a plaque with the name of the gate, Jeoruimun, meaning “Gate of Unbroken Loyalty.” This plaque was calligraphed by Yun Posun (1897-1990), the fourth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There is a pond outside the gate, where it is said that Jeong On enjoyed fishing.

영문 해설 내용

고려시대의 문신 정온(1324-1402, 호: 우곡)이 1393년에 지은 정자이다. 1849년에 고쳐 지었으며, 1976년에 보수하였다.

정온은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고려 왕조에 대한 절의를 지키고자 벼슬을 사양하고 고향인 진주에서 은거하였다. 전하는 이야기에 따르면, 조선 태조(재위 1392-1398)가 정온에게 벼슬을 내렸지만, 정온은 병에 걸려 장님이 되었다는 거짓 핑계를 대고 계속 거절하였다. 이에 태조가 사실을 확인하기 위해 사위인 이제(?-1398)를 보냈고, 이제가 솔잎으로 정온의 눈을 찔렀더니 눈동자는 움직이지 않고 피만 흘렀다고 한다.

대문채와 정자로 이루어져 있다. 정자는 중앙에 대청이 있고 좌우에 온돌방을 두었으며, 앞면에는 툇마루를 두고 난간을 둘렀다. 대문채에는 '절의문'이라고 쓴 현판이 걸려 있는데,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인 윤보선(1897-1990)의 글씨이다. 대문 밖의 연못은 정온이 낚시를 즐기던 곳이라고 전해진다.

참고자료

  • 우곡정, 디지털진주문화대전 http://www.jinju.go.kr/02232/02830/02248.web?amode=view&idx=250 -> 건물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3량 구조(三樑構造)로 팔작지붕이다. 중앙 어칸(御間)에 대청이 있고 좌우에 방이 있는 평면이다. 전면 뒷마루에는 계자난간(鷄子欄干)으로 둘러진 누(樓)마루 형식이지만 지면에는 그리 높지 않고, 아궁이는 배면(背面)에 있다. 그리고 대문 밖 앞뜰에는 낚시하던 못이 거의 원형(原形)으로 보존되어 있다.
  • 청맹(靑盲)을 핑계로 이성계의 부름을 피한 정온(鄭溫), 경남미디어, 2019.8.23 http://www.mediagn.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48 -> 고려 말 이성계가 혁명을 일으켜 조선을 건국하자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 하여 두문동과 지리산 청학동에 은거 수양하다가 진주로 낙향하여 우곡정을 짓고 말년을 보냈다. 우곡은 정자 앞뜰에 못을 파고 주위에 백일홍 나무를 6그루 심고,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忠節)을 지켜 은둔생활을 하였는데 태조(太祖)가 사위 이제(李齊)를 이곳까지 보내어 초빙하였으나 차마 왕명(王命)을 거역치 못하여 눈을 뜬 봉사가 되었다고 거짓 핑계로 사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