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광제산 봉수대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진주 광제산 봉수대
Gwangjesan Beacon Station, Jinju
진주 광제산 봉수대, 진주 관광, 진주시청.
대표명칭 진주 광제산 봉수대
영문명칭 Gwangjesan Beacon Station, Jinju
한자 晋州 廣濟山 烽燧臺
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덕곡리 산1
지정번호 경상남도 기념물 제158호
지정일 1997년 1월 30일
분류 유적건조물/교통통신/통신/봉수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진주 광제산 봉수대,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봉수는 높은 산에서 불을 피위 밤에는 불[烽]로 낮에는 연기[燧]로 소식을 전하는 전통시대 통신제도(通信制度)이다.

우리나라에서 봉수제도가 제대로 갖추어진 것은 조선 세종시절이다. 평상시에는 하나의 불꽃 또는 연기(一炬 또는 一煙), 절이 멀리 바다에 나타나면 두 개, 적이 육지에 접근하면 세 개, 싸움이 있게 되면 네 개, 육지에 오르면 다섯 개를 올렸다.

광제산 봉수대는 조선시대 다섯 개의 중심 봉수로 중 동래다대포에서 서울에 이르는 제2봉수로에 연결되는 간봉(間烽)으로 진주 망진산봉수대의 신호를 산청 입암산봉수대에 전닽하는 봉수대이다.

발굴조사를 통하여 불구덩이[火口]와 돌로 쌓은 유적이부가 드러나서 복원하였다.

  • 광제산 봉수대 전달경로 : 대방산봉수 – 각산봉수 – 안점산봉수 – 망진산봉수 – 입암산봉수- 목멱산봉수(서울)

영문

Gwangjesan Beacon Station, Jinju

Beacons were a type of a smoke-and-fire-signal communication system to warn of military events such as enemy invasions. The beacons, which are located atop mountains for visibility, had five furnaces which were lit in a particular pattern to indicate the severity of the situation.

In the Joseon period (1392-1910), the information was relayed to the central government through a network of beacon stations across the nation. The beacon tower network was comprised of five main lines and other local auxiliary lines. This system was operational until 1894 when the modern communication system was introduced.

This station belonged to an auxiliary line and received a signal from Mangjinsan Beacon Station in Jinju to the south and sent it north to Ibamsan Beacon Station in Sancheong.

Excavations conducted here in 2003 and 2004 revealed a number of structural remains, such as five furnaces, a building site, and an enclosure wall. The current stone walls and three furnaces were newly built in 2004.

영문 해설 내용

봉수는 횃불과 연기로 적의 침입과 같은 군사정보를 알리던 통신 수단이다. 신호가 잘 보이도록 산봉우리에 설치했고, 정해진 규칙에 따라 다섯 개의 연조에 불을 피워서 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전달했다.

조선시대에는 전국의 봉수망을 통해 중앙으로 정보가 전달되었다. 다섯 개의 직봉을 중심으로, 직봉 사이에는 간봉을 두기도 했다. 이러한 제도는 1894년 근대통신수단이 도입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광제산 봉수대는 간봉에 속하는 것으로, 남쪽의 진주 망진산 봉수대에서 신호를 받아 북쪽의 산청 입암산 봉수대로 전달하였다.

2003년과 2004년 발굴조사 결과 불을 피우는 아궁이 5개, 건물지, 방호벽 등이 확인되었으며, 조사 결과를 토대로 2004년에 방호벽과 3개의 아궁이를 복원하였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