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
Stele of Chae Je-gong with Inscription by King Jeongjo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대표명칭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
영문명칭 Stele of Chae Je-gong with Inscription by King Jeongjo
한자 正祖 御製 蔡濟恭 誄文碑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역북동 산3-4번지
지정번호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76호
지정일 1978년 11월 10일
분류 기록유산/서각류/금석각류/비
시대 조선시대
수량/면적 1기
웹사이트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 국가문화유산포털, 문화재청.



해설문

국문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는 조선 후기 정조가 명재상 채제공의 죽음을 애도하며 친히 지어 보낸 뇌문을 새긴 석비이다. 뇌문은 죽은 이의 명복을 신에게 비는 글로 제문의 일종이다.

채제공은 조선 후기 영조, 정조 대의 문신이자 명재상으로 평가받는 인물로, 23세 때인 영조 19년(1743) 문과에 급제한 후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예문관* 사관과 충청도 암행어사를 지냈으며 도승지, 병조판서, 평안도 관찰사를 거쳐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지냈다.

영조 34년(1758) 영조와 사도세자의 사이가 악화되고 세자 폐위가 결정되자 채제공은 죽음을 무릅쓰고 세자 폐위를 막아 철회시켰다. 이를 두고 후일 영조는 정조에게 “진실로 나의 사심 없는 신하이고 너의 충신이다”라고 이야기했다는 일화가 있다. 채제공은 재상으로 일했던 10여 년 동안 여러 분야에 걸쳐 정조를 보필하였다. 정조 13년(1788) 우의정에 특채된 후 영의정에 올라 수원 화성을 건립하는 성역(城役)을 담당하다가 정조 23년(1798) 사직하였다.

비는 비각 안에 있으며, 네모난 받침돌 위에 비의 몸을 세우고, 지붕돌을 얹었다. 받침돌과 지붕돌은 화강암이며 몸돌은 검은 빛깔의 오석으로 되어 있다. 비문을 누가 썼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비문에는 채제공의 공적을 기리는 내용과 애도의 마음이 담겨 있는데, 서두에 “소나무처럼 높고 높아 우뚝 솟았고, 산처럼 깎아지른 듯 험준하여라”라고 칭송하였고, “그 기개는 엷은 구름같이 넓고, 도량은 바다를 삼킬 듯 크다”라고 하였다. 이어서 정조는 “경(채제공)을 알고 경을 씀에 내 독실하게 믿었노라”, “조정에 노성(老成, 채제공)이 없다면 국가를 어찌 보존하랴. 또한 어버이에게 효도한다는 소문이 자자하니 경 같은 이는 매우 드물도다”라고 하며 채제공의 죽음을 슬퍼하였다.

건립 연대는 ‘기미(己未) 삼월(三月) 이십육일(二十六日)’이라고만 쓰여 있는데 채제공 문집인 『번암집(樊巖集)』에 ‘무덤 길에 비를 세우도록 명했다.(命竪碑墓道)’라는 기록이 있어 1799년 채제공이 죽은 후에 바로 정조의 명령에 따라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 예문관: 조선시대에 국왕의 말이나 명령을 담은 문서의 작성을 담당하기 위해 설치한 관서

영문

Stele of Chae Je-gong with Inscription by King Jeongjo

This stele was erected in 1799 to honor the renowned politician Chae Je-gong (1720-1799) and bears an inscription personally composed by King Jeongjo, the 22nd monarch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Chae Je-gong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in 1743 and served as a civil official during the reigns of Kings Yeongjo (r. 1724-1776) and Jeongjo (r. 1776-1800). He held many high-ranking posts, including chief royal secretary, minister of war, governor of Pyeongan-do Province, third state councilor, second state councilor, and chief state councilor. He was also a proponent of several important reforms.

Chae was a cherished confidant of both Kings Yeongjo and Jeongjo, who were grandfather and grandson. At the time of Chae’s appointment as chief royal secretary in 1758, Yeongjo had ordered that his son Crown Prince Sado (1735-1762), who was Jeongjo’s father, be taken out of the line of succession, but Chae persuaded him to rescind the order. However, continued personal conflict and political strife led ultimately to Crown Prince Sado’s execution, which put Jeongjo first in line to the throne. It is said that Yeongjo once told Jeongjo that “Chae Je-gong is truly my selfless vassal and your loyal subject.”

After becoming king, Jeongjo made great efforts to reinstate his late father’s honor. In 1789, he moved his father’s tomb from today’s Hwigyeong-dong, Seoul, to a more auspicious site in today’s Hwaseong, Gyeonggi-do. To be nearer to his father’s tomb, he also initiated the construction of Hwaseong Fortress, where he intended to reside upon retirement. Jeongjo entrusted Chae Je-gong with overseeing the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fortress, which Chae did until 1798 when he retired due to old age.

The rectangular stele consists of a pedestal, a body stone, and a roof-shaped capstone. The pedestal and the capstone are made of granite, while the body stone is made of black obsidian.

The inscription on the body stone composed by King Jeongjo both commemorates Chae’s achievements and laments his death. It includes passages such as “You are as tall as a pine tree and as rugged as a mountain,” “Your spirit is as bright and immense as a cloud in the sky and your magnanimity is greater than the sea,” “The more I knew you, the more devotedly I trusted you,” “How will we keep the country safe without your presence at court?” and “There are even reports attesting to your filial devotion to your parents. A person the likes of you is truly one of a kind.”

영문 해설 내용

이 비석은 조선 제22대 왕 정조가 명재상 채제공(1720-1799)의 죽음을 애도하며 친히 지은 글을 새겨 1799년에 세운 것이다.

채제공은 1743년 과거에 급제한 후 영조(재위 1724-1776)와 정조(재위 1776-1800) 두 국왕을 거치며 관직 생활을 하였다. 도승지, 병조판서, 평안도 관찰사,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 등 고위 관직을 지냈으며, 여러 개혁 정책을 추진하였다.

채제공은 영조와 정조 모두에게 신임을 받은 신하였다. 채제공이 도승지로 임명된 1758년, 영조는 자신의 아들이자 정조의 아버지인 사도세자(1735-1762)의 세자 폐위를 명하였으나, 당시 채제공이 왕을 설득하여 이를 철회하였다. 그러나 왕과 세자 사이의 갈등은 계속 커졌고 둘을 둘러싼 정쟁까지 심화되면서, 사도세자는 결국 처형 당하였으며 정조가 영조의 뒤를 잇게 되었다. 영조가 정조에게 “(채제공이야말로) 진실로 나의 사심 없는 신하이고 너의 충신이다”라고 이야기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왕위에 오른 정조는 아버지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한 여러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1789년 사도세자의 묘를 지금의 서울 휘경동에서 지금의 경기도 화성 명당으로 옮겼다. 또한 왕위에서 물러난 뒤 아버지의 묘 가까이에서 지내기 위해 화성을 건설하기 시작하였다. 이때 전체 공사를 총괄하는 책임을 채제공에게 맡겼으며, 채제공은 1798년 노환으로 사직할 때까지 화성 건설과 운영의 대부분을 책임졌다.

네모난 비석은 받침돌, 몸돌, 지붕돌로 이루어져 있다. 받침돌과 지붕돌은 화강암이며, 몸돌은 검은 빛깔의 오석으로 되어 있다.

비문에는 채제공의 공적을 기리는 내용과 애도의 마음이 담겨 있다. 서두에 “소나무처럼 높고 높아 우뚝 솟았고, 산처럼 깎아지른 듯 험준하여라”라고 칭송하였고, “그 기개는 엷은 구름같이 넓고, 도량은 바다를 삼킬 듯 크다”라고 하였다. 이어서 정조는 “경(채제공)을 알고 경을 씀에 내 독실하게 믿었노라”, “조정에 노성(老成, 채제공)이 없다면 국가를 어찌 보존하랴. 또한 어버이에게 효도한다는 소문이 자자하니 경 같은 이는 매우 드물도다”라고 하며 채제공의 죽음을 슬퍼하였다.

참고자료

  • “정조 어제 채제공 뇌문비”, 『경기도 문화재 총람 도지정편 1』, 경기도, 경기문화재연구원, 2017, 86~8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