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 이이

Heritage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해설문

국문

이이(李珥, 1536~1584)는 조선전기의 학자이자 문신이다.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숙헌(叔獻),호는 율곡(栗谷)‧석담(石潭)‧우재(愚齋)이다.아버지는 이원수(李元秀, 1501~1561), 어머니는 신사임당(申師任堂, 1504~1551)이며, 1536년(중종 31) 음력 12월 26일 오죽헌 몽룡실에서 태어났다.

8세 때에 파주 율곡리에 있는 화석정에 올라 시를 짓고, 10세 때에 강릉 경포대에 올라 「경포대부」를 지을 정도로 학문적 재능이 뛰어나 1548년(명종 3) 13세 때 진사 초시에 합격하였다. 1551년 16세 때 어머니 신사임당이 작고하자 파주 두문리 자운산에 장례하고 3년간 시묘한 후 금강산에 들어가 불교를 공부했다. 20세 때 금강산에서 하산하여 오죽헌에 돌아와 유교적 수양론을 담은 「자경문」을 짓고 학문에 전념했다.

1557년(명종 12) 성주목사 노경린의 딸과 혼인하였다. 1558년 예안의 도산으로 이황을 찾아가 강론하였고, 그해 겨울의 별시(문과 초시)에서 「천도책」을 지어 장원하는 등 13세 이후 여러 차례의 과거에서 장원하여 학문적 출중함을 드러냈다.

1564년(명종 19) 호조좌랑을 시작으로 예조‧이조좌랑 등을 역임하고, 1568년(선조 1)에 천추사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부교리로 춘추기사관을 겸임해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1569년에는 임금에게 왕도정치의 실천 방안을 담은 「동호문답」을 지어 올렸다. 1574년에 우부승지에 임명되고, 지진 등의 재해가 잦자 당시 정치‧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한 「만언봉사」를 올렸다. 1575년에는 제왕학의 지침서인 『성학집요』를 편찬하여 임금에게 바쳤다.

1577년(선조 10)에 관직에서 물러나 해주로 낙향하여 아동교육서인 『격몽요결』, 1580년에는 기자의 해적을 정리한 『기자실기』를 저술했다. 이 무렵 해주 석담에 은병정사를 건립하여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썼으며 향약을 제정하여 지방자치제를 장려하고 사창제를 시행하여 빈민 구제에 힘쓰기도 했다.

1582년(선조 15)에 이조판서에 임명되고, 어명으로 「인심도심설을 지어 올렸다. 이 해에 『김시습전』을 쓰고, 『학교모범』을 지었으며, 1583년에는 「시무육조」를 올려 외적의 침입에 대비해 십만양병을 주청하였다. 그러나 당쟁을 조장한다는 동인의 탄핵을 받아 관직에서 물러났으며, 이후 다시 이조판서와 판돈령부사 등으로 임명되었다.

1584년(선조 17) 음력 1월 16일 서울 대사동에서 영면하여 파주 자운산 선영에 안장되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1624년(인조 2)에 ‘문성공’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파주의 자운서원, 강릉의 송담서원, 풍덕의 구암서원, 황주의 백록동서원 등 전국 20여 개 서원에 배향되었으며, 1682년(숙종 8)에 성혼과 함께 문묘에 배향되었다.

율곡은 성리학을 집대성한 대학자이자 조선을 개혁하고자 각종 사회제도 정비에 앞장선 탁월한 정치가였다. 평생 청빈을 잃지 않았고, 윤리성과 합리성까지 겸비한 최고의 지성인으로 추앙받았다.

영문

Yi I (1536-1584)

Yi I, widely known by his pen name Yulgok, was a scholar and civil official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A prolific Neo-Confucian scholar and a talented, reform-oriented politician, he was revered as the greatest intellectual of his time. He lived a humble and honorable life, embodying ethical virtues and rationality.

As the second son of Yi Won-su (1501-1561) and Sin Saimdang (1504-1551), Yi I was born on the twenty-sixth day of the twelfth lunar month in 1536 in Mongnyongsil Room of the detached quarters of Ojukheon House. When still just a young boy, Yi I visited Hwaseokjeong Pavilion in Paju in 1543 and Gyeongpodae Pavilion in Gangneung in 1545 to compose poems and passed the first stage of the literary licentiate examination in 1548, attesting to his precocious literary talent. When his mother died in 1551, Yi spent the multi-year mourning period living in a hut by her tomb on Jaunsan Mountain in Paju, after which he set off to Geumgangsan Mountain to study Buddhism. Upon his return home from Geumgangsan in 1555, Yi wrote Self-cautionary Comments (Jagyeongmun), a treaty on self-cultivation according to Confucian principles, marking his further commitment to Confucian learning.

In 1557, Yi married a daughter of No Gyeong-rin (1516-1568), the magistrate of Seongju. In 1558, he visited the renowned scholar Yi Hwang (1501-1570) in Andong to engage in academic discussions. In the winter of that year, Yi placed first in the first stage of a special state examination. In the following years, he placed first in several other state examinations, proving himself an excellent scholar.

In 1564, Yi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and began his official career. In 1568, he was sent to China as a member of the official delegation to congratulate the crown prince on his birthday and also participated in the compilation of the Annals of King Myeongjong (Myeongjong sillok). In 1569, he presented King Seonjo (r. 1567-1608) with Questions and Answers at the Eastern Lake (Dongho mundap), in which he described the ways of implementing royal politics. In 1574, following a series of earthquakes and other natural disasters, he presented the king with his Memorial in Ten Thousand Words (Maneon bongsa), in which he pointed out the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of the time. In 1575, he wrote and presented to the king Edited Essentials for the Learning of the Sage (Seonghak jibyo), a guidebook on the disciplines of kingship.

In 1577, Yi retired from office and moved to his wife’s hometown of Haeju, where he wrote the children’s education book The Secret of Expelling Ignorance (Gyeongmong yogyeol, 1577) and True Records of Gija (Gija silgi, 1580), the chronicles of the historical figure. Around this time, Yi established Eunbyeongjeongsa Study Hall in Haeju to pursue his studies and teach. There, he implemented a village code and grain loan system to encourage local self-governance and protect the poor.

In 1582, he was given the post of minister of personnel and was commissioned by the king to write Doctrine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Insim dosimseol), a philosophical discussion on the duality of mind. In the same year, he wrote A Story of Kim Si-seup (Kim Si-seup jeon) and Models for Schools (Hakgyo mobeom). In 1583, he completed Six Urgent Matters (Simu yukjo), in which he advised the king to train 100,000 soldiers to be prepared for a possible Japanese invasion. However, due to the accusations of instigating partisan strife from the opposing fraction, Yi had to resign, but was eventually reinstated as minister of personnel and later appointed as the first minister of the Office of the Royal Clan.

Yi I died on the sixteenth day of the first lunar month in 1584 in Daesa-dong, Seoul. He was buried near his ancestors’ tombs on Jaunsan Mountain in Paju. Yi was posthumously awarded with an honorary title of chief state councilor and was given the posthumous name Munseong in 1624. He is venerated at more than 20 Confucian academie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Jaunseowon in Paju, Songdamseowon in Gangneung, Guamseowon in Pungdeok, and Baengnokdongseowon in Hwangju. Since 1682, he has also been venerated at Munmyo Confucian Shrine in Seoul.

영문 해설 내용

율곡 이이는 조선의 학자이자 문신이다. 이이는 성리학을 집대성한 대학자이자, 조선을 개혁하고자 각종 사회제도 정비에 앞장선 탁월한 정치가였다. 평생 청빈을 잃지 않았고, 윤리성과 합리성까지 겸비한 최고의 지성인이었다.

이이는 이원수(1501-1561)와 신사임당(1504-1551)의 둘째 아들로 1536년 음력 12월 26일 오죽헌 몽룡실에서 태어났다. 아직 어린 나이였던 1543년과 1545년에 각각 파주 화석정과 강릉 경포대에 올라 시를 지었고, 1548년 진사 초시에 합격하였을 정도로 학문적 재능이 뛰어났다. 1551년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자 파주 자운산에 장례하고 3년간 시묘한 후 금강산에 들어가 불교를 공부했다. 1555년 금강산에서 하산하여 오죽헌에 돌아와 유교적 수양론을 담은 「자경문」을 짓고 학문에 전념했다.

1557년에는 성주목사 노경린(1516-1568)의 딸과 혼인하였다. 1558년에는 안동에 있는 이황(1501-1570)을 찾아가 강론하였고, 그해 겨울의 별시에서 장원하는 등 여러 차례의 과거에서 장원하여 학문적 출중함을 드러냈다.

1564년 문과에서 과거 급제한 후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1568년에는 명나라 황태자의 생일을 축하하기 위한 사절단의 일원으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했다. 1569년에는 임금에게 왕도정치의 실천 방안을 담은 「동호문답」을 지어 올렸다. 1574년 지진 등의 재해가 잦자 당시 정치‧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한 「만언봉사」를 지어 왕에게 올렸다. 1575년에는 제왕학의 지침서인 『성학집요』를 편찬하여 임금에게 바쳤다.

1577년에 관직에서 물러나 처가가 있는 해주에 머물며 아동교육서인 『격몽요결』을 지었고, 1580년에는 기자의 행적을 정리한 『기자실기』를 저술했다. 이 무렵 해주에 은병정사를 건립하여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썼으며 향약을 제정하여 지방자치제를 장려하고 사창제를 시행하여 빈민 구제에 힘쓰기도 했다.

1582년에 이조판서에 임명되고, 어명으로 심(心)의 양면성에 관한 학설을 정리한 「인심도심설」을 지어 올렸다. 이 해에 『김시습전』을 쓰고, 『학교모범』을 지었으며, 1583년에는 「시무육조」를 올려 외적의 침입에 대비해 십만양병을 주청하였다. 그러나 당쟁을 조장한다는 동인의 탄핵을 받아 관직에서 물러났으며, 이후 다시 이조판서와 판돈령부사 등으로 임명되었다.

1584년 음력 1월 16일 서울 대사동에서 영면하여 파주 자운산 선영에 안장되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1624년에 ‘문성(文成)’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파주의 자운서원, 강릉의 송담서원, 풍덕의 구암서원, 황주의 백록동서원 등 전국 20여 개 서원에 배향되었으며, 1682년에 문묘에 배향되었다.